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간 독도 문제에 있어서 언론의 성향연구 = How the Korean and Japanese Media ‘Frame’ the Issue of Do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1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analyzed Korean and Japanese news media’s ‘framing’ of sovereignty over Dokdo. We selected two conservative and two progressive newspapers in Korea and Japan and evaluated their headlines and key words related to sovereignty. While conservati...

      We analyzed Korean and Japanese news media’s ‘framing’ of sovereignty over Dokdo. We selected two conservative and two progressive newspapers in Korea and Japan and evaluated their headlines and key words related to sovereignty. Whil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diverged on domestic issues, these ideological differences did not show in their Dokdo coverage; instead, the newspapers demonstrated nationalistic tendencies. We propose three explanations. First, on nationalist issues, Korean and Japanese media fear a public backlash from presenting minority opinions. Second, Japanese media elites consider the Dokdo dispute precedent for territorial disputes with Russia (Kuril Islands) and China (Senkaku Islands). Third, Japanese and Korean media have reified the small islets into 'territorial nationalism,' leaving no space for political compromise. We propose that future research focus on deconstructing the media’s territorial nationalism fra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프레임 이론을 바탕으로 한·일 양국 각각의 진보-보수 언론이 독도 문제를 어떻게 틀 짓고(framing)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독도 관련 보도를 분석하기 ...

      본 연구는 프레임 이론을 바탕으로 한·일 양국 각각의 진보-보수 언론이 독도 문제를 어떻게 틀 짓고(framing)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독도 관련 보도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 언론인 ≪조선일보≫와 진보 언론인 ≪한겨레신문≫을 선정하였고, 일본은 보수 신문인 ≪요미우리신문≫과 진보를 대변하는 ≪아사히신문≫을 대상으로 각 신문의 표제어와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의 언론은 국내 문제에 있어서는 대립되고 상반되는 주장을 하지만, 독도라는 영토 문제에 있어서는 동일한 민족주의적 성향을 주장함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를 세 가지로 설명한다. 첫째, 민족주의와 관련된 문제에서 한국과 일본의 언론은 소수의 의견을 내는 것을 두려워 한다는 점, 둘째, 일본 언론의 입장에서 독도 문제는 러·일간의 북방영토 문제, 중·일간의 센카쿠열도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직접적 선례가 되기 때문에 일본 정부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 그리고 셋째, 한·일의 언론은 공히 독도를 한 조각 땅이라는 의미를 넘어‘영토 내셔널리즘’으로 물신화(reification)시켰기 때문에 한 치의 양보도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연구자는 독도 문제를 내셔널리즘으로 물신화된 독도 문제를 해체(deconstruct)하는 것이 한·일 협력을 위한 후속 연구자의 과제라고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우, "해양영토문제에 관한 뉴스매체의 보도 경향과 패턴-독도와 센카쿠열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1) : 353-383, 2014

      2 김용호, "한미관계에 대한 미디어의 프레임연구: 여중생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23-149, 2003

      3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사종합검색 사이트 KIND"

      4 심흥식, "한국언론의 보수와 진보 프레임에 관한 분석적 고찰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한미 FTA 사설 분석-" 16 (16): 2013

      5 "한국ABC협회 홈페이지"

      6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7 조지 레이코프, "프레임 전쟁" 창비 2007

      8 김수정, "프레임 분석에 있어서 무보도 현상의 적용 효과 연구: 미디어법에 대한 헌재판결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82-404, 2010

      9 조지 레이코프,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삼인 2006

      10 "조선일보 아카이브"

      1 이상우, "해양영토문제에 관한 뉴스매체의 보도 경향과 패턴-독도와 센카쿠열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1) : 353-383, 2014

      2 김용호, "한미관계에 대한 미디어의 프레임연구: 여중생 사망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23-149, 2003

      3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사종합검색 사이트 KIND"

      4 심흥식, "한국언론의 보수와 진보 프레임에 관한 분석적 고찰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한미 FTA 사설 분석-" 16 (16): 2013

      5 "한국ABC협회 홈페이지"

      6 김경희,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361-387, 2011

      7 조지 레이코프, "프레임 전쟁" 창비 2007

      8 김수정, "프레임 분석에 있어서 무보도 현상의 적용 효과 연구: 미디어법에 대한 헌재판결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4 (54): 382-404, 2010

      9 조지 레이코프,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삼인 2006

      10 "조선일보 아카이브"

      11 김영,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에 대한 일본 언론의 보도 분석" (15) : 2013

      12 김병우,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과 보도 경향 분석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를 중심으로" (15) : 2013

      13 정일권, "사회적 통합 요구에 따른 신문보도 다양성의 위축 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타 국가와의 갈등 보도 비교" 한국언론학회 51 (51): 199-225, 2007

      14 윤영욱,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 한미 쇠고기 협상과 촛불집회 보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15 김성은, "부산지역 언론의 독도 관련 보도경향과 인식 -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을 기점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397-436, 2013

      16 최장근, "독도의 지위와 영토 내셔널리즘과의 관계" 대한일어일문학회 (50) : 387-405, 2011

      17 문철영, "독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영남대 독도연구소 학제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독도연구소 (21) : 219-243, 2016

      18 和田春樹, "領土問題をどう解決するか:対立から対話へ" 平凡社 2012

      19 玄大松, "領土ナショナリズムの誕生―「独島/竹島問題」の政治学" ミネルヴァ書房 2006

      20 "聞蔵Ⅱ"

      21 平井一臣, "日韓ナショナリズムと自治体間関係 : 日本側アンケート調査を手掛かりとして" (60) : 2013

      22 岡田充, "尖閣諸島問題―領土ナショナリズムの魔力" 蒼蒼社 2012

      23 "ヨミダス歴史館"

      24 大石裕, "メディア· ナショナリズムのゆくえ―「日中摩擦」を検証する" 朝日新聞社 2006

      25 신용하, "‘민족’의 사회학적 설명과 ‘상상의 공동체론’ 비판" 한국사회학회 40 (40): 32-58, 2006

      26 Gamson. W. A, "Talking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7 Iyengar. S, "Is Anyone Responsible?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28 Entman. Robert, "Framing :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 1993

      29 Goffman. Erving,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86

      30 박기수, "4대강 사업 뉴스에 대한 보도 프레임 연구: 경향신문ㆍ동아일보ㆍ한국일보 등 3개 종합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5 (55): 5-26,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10-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 · 평화연구소 -> 독도연구소
      영문명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 Dokdo Research Institute
      2007-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독도연구소 -> 독도 · 평화연구소
      영문명 : Dokdo Research Institute -> Dokdo and Peace Research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