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점토치료를 활용한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자아효능감 회복 과정의 현상학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lf-efficacy recovery process of adolesc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using clay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44193

      • 저자
      • 발행사항

        안양 :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6.5 판사항(6)

      • DDC

        618.9289165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x, 289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동열
        권말부록: 초기 프로그램 등
        참고문헌: p. 257-28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 beings grow by acquiring developmental tasks. In this process, violence is harmful to individual growth, development is delayed, and it becomes a cause of deviation and abnormal life. In contrast to the effort to prevent this, the care for the v...

      Human beings grow by acquiring developmental tasks. In this process, violence is harmful to individual growth, development is delayed, and it becomes a cause of deviation and abnormal life. In contrast to the effort to
      prevent this, the care for the victims and the therapeutic system are inadequate and stability remains as the individual. Therefore, informing the pain of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studying their recovery process will be the basis for informing the sufferings of those who are overlooked by society and systemizing the help they desperately n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ogram that uses clay therapy to teenagers who experienced violence in school violence dur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so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recovery process and change of self - efficacy experienced by adolesc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First, what about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lay therapy experienced by school violence victims? Third, what is the recovery process and change of self - efficacy of adolesc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The study period wa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5. Four patients was selected who shows neuroticism after
      school violence and behaviors that were inappropriate for family and school life and visited treat room of a center located in Seoul and received clay treatment which is 50 minutes in one session every week for one year.

      Participants behaviors and language were classified into four aspects, which is Van Mane' s (1994) subject, existence, time, and space, according to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results of session. And
      we analyze the state of youth 's self as a psycho-dynamic point of view maintaining P. Ricoeur' s perspective. First, after school violence, victims experience angry bodies, desperate relationships, alienated time, and confined spaces. Adolescence is a time when the psychological state is difficult to be expressed in language, and stress caused by violence is manifested by the condition or symptom of the body. Second, they showed expressing anger, rejecting relation, time filled with crying, unfilled space, and self-reaction to treatment itself during clay treatment. The psychological state was expressed by the symbolized language and action such as expression, acceptance, and forgiveness, and that was interpreted.
      Third, through clay therapy, participants showed self-efficacy recovery and changed into proud, new relationship, productive time, planning space.
      Participants positive images such as hopes, coping methods, and finding resources were expresse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above results. First,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causes physical symptoms of adolescents, aggression and distrust of others, and has difficulties in emotional anger,
      depression, and impulse control. Especially, by expressing anger and anger against the peer, the victims showed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the violence without being able to escape the influence of the school violence.
      Second, juveniles suffering from school violence expressed their destructive instincts through clay therapy and were able to reestablish themselves through contained experiences. Clay therapy wa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for satisfying the self-efficacy of adolescents. Third, restoration of self-efficacy through clay therapy has the step of expression of anger, the stage of catharsis through clay, the stage of interaction with clay, the stage of mourning and self-forgiveness, and the stage of self-acceptance.

      Clay therapy is a process to promote degenerative development, to abandon a wounded self and to find a new self, and this process is illustrated in a diagram.

      Participants symptoms such as alopecia, nocturnal enuresis, baldness, and self-harm disappeared, there was changes their impulsive, avoiding, and passive emotions. As a result, they managed themselves externally and
      changed their appearance to clean and bright,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family and other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victims who can not express their own pain as well as the violence of school violence. Furthermore, preventive support for offender is also important, aggressive care should be planned for the victim who is suffering sile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교폭력의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은 수십 년을 고통 속에 살게 된다. 이로 인한 우울함과 공격성이 자신과 사회로 향할 경우 사회적 트라우마를 야기할 큰 문제임을 고려할 때 학교폭력을 ...

      학교폭력의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은 수십 년을 고통 속에 살게 된다. 이로 인한 우울함과 공격성이 자신과 사회로 향할 경우 사회적 트라우마를 야기할 큰 문제임을 고려할 때 학교폭력을 경험한 피해자의 이야기를 들어 이해하고 치유하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다수가 아닌 한사람 개인의 삶을 소중히 여기고 이들의 삶이 향후 건강한 삶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중등교육과정 중에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에게 점토치료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청소년이 경험하는 자아효능감 회복과정과 변화를 드러내는 것에 의의를 둔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학교폭력 피해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이 경험하는 점토치료의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자아효능감 회복 과정과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 시기는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이며, 학교폭력 이후 신경증 등을 보이고 가족과 학교생활에 부적응한 행동을 보여 00센터의 치료실을 내원한 청소년 중, 점토 치료를 1회기 50분으로 주 1회 이상, 1년 이상의 치료 기간이 유지한 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참여자의 행동과 언어를 참여관찰, 심층면담, 회기 결과물을 바탕으로 Van Manen(1994)의 주체, 실존의 관계, 시간성, 공간성의 4가지 측면에서 분류하고 이를 P. Ricoeur의 시원적 관점을 유지하며 정신역동적 관점으로 청소년 자아의 상태, 변화를 기술하고 해석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이후 피해자는 분노하는 신체, 절망하는 관계, 소외된 시간, 갇힌 공간을 경험한다. 청소년기는 심리상태가 언어로 표현되기 어려운 시기로, 폭력에 의한 스트레스는 몸의 상태나 증상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들은 점토치료 과정에서 표출하는 분노, 거절하는 관계, 울음으로 채워진 시간, 채워지지 않는 공간과 치료자체에 대한 자아반응을 보였다. 표출, 받아들임, 용서 등의 상징화된 언어와 행동으로 심리상태를 해석하였다. 셋째, 점토치료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자아효능감 회복을 보였으며, 자랑스러운 나, 새로운 관계, 생산적인 시간, 계획하는 공간으로 변화하였다. 참여자들이 나타내는 희망과 대처 방법, 자원 찾기 등의 긍정적인 심상이 표현되었다.

      위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폭력의 경험은 청소년에게 신체적 증상을 유발하고 타인에 대한 공격성과 불신으로 관계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서적으로도 분노, 우울, 충동조절 등의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특히 또래관계와 가해자에 대한 분노를 표현함으로 피해자들은 학교폭력 피해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통을 인내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둘째,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은 점토치료를 통해 파괴본능을 표출하였으며 담아지는 경험을 통해 자신을 재정립할 수 있었다. 점토치료는 청소년의 자아효능감에 충족을 주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셋째, 점토 치료를 통한 자아효능감 회복은 분노감의 표출의 단계, 점토를 통한 카타르시스의
      단계, 점토와 상호작용단계, 애도와 자기용서의 단계, 자아수용단계, 자아효능감 확인과 실행단계, 자신의 미래 계획단계의 과정을 갖는다.

      점토치료는 퇴행된 발달을 촉진되며 상처받은 자아를 버리고 새로운 자아를 찾는 과정이며, 이 과정은 도표로 제시되었다.

      참여자들은 탈모증, 야뇨증, 유분증, 자해 등의 증상이 사라졌으며 외현적으로 자신을 관리하여 깔끔하고 밝은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가족과 타인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여 공감과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고 적극적이며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이 생긴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폭력 피해 뿐 아니라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피해자들이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나아가 예방차원의 가해자 지원도 중요하지만 소리없이 고통을 겪고 있는 피해자에 대한 적극적인 돌봄을 계획되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한계점 7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한계점 7
      • II. 이론적 배경 8
      • 1. 점토치료에 대한 이해 8
      • 2. 학교폭력 피해자 29
      • 3. 정신 역동적 자아 33
      • 4. 자아효능감과 회복 41
      • 5. 선행 연구 50
      • III. 현상학적 연구 방법 및 연구 과정 57
      • 1. 질적 연구 57
      • 2. 현상학 연구 61
      • 3. 해석학적 현상학 64
      • 4. 연구 방법론 및 진행 과정 68
      • IV. 연구 결과 97
      • 1. 학교폭력 피해의 경험 97
      • 2.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이 경험하는 점토치료의 영향 122
      • 3. 자아효능감 회복 과정과 변화 157
      • V. 논의 187
      • 1. 참여자 피해경험의 상황 구조적 기술 187
      • 2.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이 경험하는 점토치료의 영향 195
      • 3. 자아효능감 회복 과정과 변화 200
      • 4. 정신역동적 참여자 분석 216
      • 5. 추후 상담 244
      • VI. 결론 및 제언 251
      • 1. 요약 및 결론 251
      • 2. 연구의 함의 254
      • 3. 후속을 위한 제언 256
      • 참고문헌 257
      • Abstract 281
      • [부 록] 28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병억, "도자공예", 서울産業大學, 서울: 태학원, 1988

      2 김용수, "자크라캉", 살림, 파주: 살림지식총서, 2008

      3 김병억, "도예장식기법", 서울: 태학원, 2002

      4 Kring, Ann M,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스그마프레스, 2012

      5 문용린, "학교폭력의 예방", 인문사회논총, 2005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8 김교헌, 현성용, 이봉건, 윤 병수, 유태용, 성한기, 박동건, 김현택, 김아영, 김미리혜, "현대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5

      9 박문호, "『뇌, 생각의 출현』", 서울: 휴머니스트, 2008

      10 Elisabeth Pensse Roudinesco, "양녕자 옮김. 자크라캉", 서울: 새물결, null

      1 김병억, "도자공예", 서울産業大學, 서울: 태학원, 1988

      2 김용수, "자크라캉", 살림, 파주: 살림지식총서, 2008

      3 김병억, "도예장식기법", 서울: 태학원, 2002

      4 Kring, Ann M, "『이상심리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스그마프레스, 2012

      5 문용린, "학교폭력의 예방", 인문사회논총, 2005

      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2012

      8 김교헌, 현성용, 이봉건, 윤 병수, 유태용, 성한기, 박동건, 김현택, 김아영, 김미리혜, "현대 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015

      9 박문호, "『뇌, 생각의 출현』", 서울: 휴머니스트, 2008

      10 Elisabeth Pensse Roudinesco, "양녕자 옮김. 자크라캉", 서울: 새물결, null

      11 교육부, "2016년 학교 내 대안교실", 서울: 교육부, 2016

      12 임진수, "부분대상에서 대상⍺로", 서울: 파워북, 2011

      13 김영민, "제3의 임상미술치료개론", 이담Books, 서울: 이담북스, 2010

      14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이유, 서울: 도서출판 이유, 2006

      15 Winnicott W. D., "이재훈 옮김. 놀이와 현실",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6 한상희, 신동열, "미술심리치료 이론과 실제", 파주: 양서원, 2016

      17 김형효,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서울: 청계출판사, 2000

      18 이해리,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작용", 서울: 한양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7

      19 송미경, 지승희, 조용선, 정제영, 장재홍, 이정윤, 이은경, 이규미, 유형 근, 오인수,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Knou PRESS, 서울: 학지사, 2015

      20 Bion, W. R., "임말희 옮김. 경험에서 배우기", 서울: 눈, 2010

      21 박 순, "상담학 질적연구 방법론 사례집", 시그마프레스,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6

      22 박문호, "그림으로 읽는 뇌과학의 모든 것.", Humanist, 서울: 휴머니스트, 2013

      23 한상희, 신동열, "점토를 통한 미술치료의기법연구", 상담심리치료학연 구. 경기: 상담심리치료학회. 57-75, 2016

      24 한상희, 신동열, "점토작업에 대한 내러티브적 고찰", 서울: 상담심리치료 학회.상담심리치료학연구. 47-94, 2015

      25 Jill Savege Schaff, "이재훈외옮김. 대상관계 개인치료2",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4

      26 Schedler, J., "년). The efficacy of psychodynamic psychotherapy", America n Psychologist, 65(2), 98, 2010

      27 한상희 ( Sang Hee Han ), 신동열 ( Dong Yeol Shin ), "상담가의 방어기제 사용에 관한 고찰", 아시아문화학술원, 전남: 인문사회 21.아시아문화학술원. 673-690, 2016

      28 조수철, 신성웅, 신민섭, 권석우,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서울: 소아․청소년정신의학.소아․청소년정신의학. 124-143, 2000

      29 Stephanie Mitchell, "Margaret Black. 이재훈 옮김. 프로이트 이후", 서울: 한국심리 치료 연구소, 2002

      30 신동열, "상담자가 쉽게 쓴 21C 상담의 이론과 실제", 산업진흥원, 천안: 도서출판 진흥원, 2013

      31 장안식, "학교 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발달적 변화", 대한범죄학회, 한국범죄학. Vol.2012. No.3 69-82. 서울: 대한범죄학회, 2012

      32 사사키, "히로미키. 김영민 옮김. 샤머니즘의 이해", 서울: 박이정. 30-32, 1999

      33 Winnicott W. D., "박경애 고승자, 이재훈 옮김. 박탈과 비행", 서울: 한국 심리치료 연구소, 2001

      34 백중열, "뇌 매카니즘과 도예치료 점토 연계성 연구", 한국도자학회, 한국도자학연구. Vol.13 No.1. 1738-8473. 서울: 한국도자학 회, 2016

      35 Frank Summers, "이재훈 옮김. 대상관계 이론가 정신병리학", 서울: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2004

      36 안현의, "복합외상(complex trauma)의 개념과 경험적 근거", 한국심리학회, 서울: 한국 심리학회지.한국심리학회. 1-21, 2007

      37 정옥분,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인관관계 모형", 서울: 한 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51-67., 2005

      38 이근매, "예술치료 전문가를 위한 표현예술활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4

      39 Robert K., "Yin. 박지연 옮김. 질적연구(시작부터 완성까지)", 학지사, 2013

      40 Winnicott W. D., "이재훈 옮김. 소아의학을 거쳐 정신분석학으로", 서울: 한국심리치 료연구소, 2011

      41 신혜섭, "중학생의 학교폭력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005

      42 이기숙, "학교폭력 피해 극복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천안, 단국대 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5

      43 한진이, "경찰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학교폭력 대응 연구", 서울: 경찰청, 2014

      44 김순양, 손능수,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 서 울: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 2015

      45 신동열, "성폭력 피해자의 자존감 회복에 관한 이론과 실제", 천안: 도 서출판 진흥원, 2009

      46 Otto Kemberg, "이재훈 외 옮김. 대상관계 이론과 임상적 정신분석", 서울: 한국 심 리치료 연구소, 2003

      47 김은경, 이호중, "학교폭력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소년사법 실험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6

      48 Van Manen, "M. 정관순, 김선영 옮김. ,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서울", 학지사, 2012

      49 정현희(Hyeon Hee Jeong), 전순화 ( Soon Hwa Chung ),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자기유능성 지각과 문제행동", 대한가정학회, 서울: 대 한가정학회.대한가정학회지. 93-103, 2007

      50 김병훈, "점토 반죽의 특성에 미치는 가소제의 영향 [전자자료]",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2

      51 한근석, "공예치료 프로그램 제안 , 학교부적응아동을 대상으로", 서울: 한국기초조형학회.기초 조형학연구. vol.8 no.4 . 741-752, 2007

      52 배준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북대 학교, 2010

      53 최길성, "韓國原始宗敎의 一考: 韓國샤마니즘의 性格과 分布問題", 서 울: 고려대학교국어국문학연구회, 語文論集. 11('68.12). 64-81., 2004

      54 유혜령 ( Hae Ryung Yeu ), "교육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의 성찰과 연구 기법의 문제", 한국아동교육학회, 서 울: 한국아동교육학회.아동교육. . 37-46, 2009

      55 유정이, 홍지영, "학교폭력 사건 피해학생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상담연구.안양: 안양대학교, 2013

      56 정은이(Chung, Eun Ee), "전문대생의 자아효능감과 직무열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부 산: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社會科學硏究, Vol.32 No.4, 277-304, 2016

      57 원동훈, "니체와 불의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서울: 한국니체학회.한국니체학회. 제18집, 205-226, 2010

      58 배미희, "청소년 학교폭력의 가해자, 피해자 및 방관자 예측모형 연구",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59 송동호, 노경선, 이호분, 육기환,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의학적 후유증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서울: 청소년정신의학. 청소년정신의학. 23 2- 24., 1997

      60 신윤미, "학교폭력가해자, 피해자의 정신건강 및 효율적 관리체계 연구", 수원: 아주대학 산학협력단, 2014

      61 이귀숙 ( Gui Sook Lee ), 정현희 ( Hyun Hee Chung ), "학령초기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과정에 관한 단기 종단적 탐색", 한국심리학회, 서울: 한국심리학회.한국심리학회지. 377-393, 2008

      62 양해림, "딜타이(Wilhelm Dilthey). 해석학의 인지과학적 프로네시스 (phronesis)",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서울: 한국철학사상연구회.시대와 철학. 279-310, 2012

      63 한영희, "점토미술치료 : 자기표현향상을 위한 발달장애 미술치료. 파 주", 서울: 이담북스, 2011

      64 고윤주, 홍상의, 최낙경, 김세주, 서동향, 손석한, 박민숙, 노주선, 김영신, "초등학생에서 집단따돌림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정신병리현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大韓神經精神醫學會. 876-883. 서울: 神 經精神醫學, 2001

      65 이승현,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선도정책의 방향. 형사정책연구소 식",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통권 제132호. 4-7, 2014

      66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인간과 문화. 융 기본 저작집 9", 서 울: 솔 출판사, 2004

      67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인격과 전이. 융 기본 저작집 3", 서 울: 솔 출판사, 2004

      68 장희정, 최선남, "성인 신체장애인의 도예작업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 구", 한국미술치료학회, 美術治療硏究, Vol.23 No.3. 863-893. 서울: 한국미술치료학회, 2016

      69 박종효, "“집단따돌림(왕따)에 대한 이해: 발달경향과 정신건강의 관련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학연구. 248-271. 서울: 한국청소년연구, 2007

      70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상징과 리비도. 융 기 본 저작집 7", 서울: 솔 출판사, 2004

      71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원형과 무의식. 융 기 본 저작집 2", 서울: 솔 출판사, 2004

      72 신승우, 안정숙, "집단 따돌림 피해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관련된 위험인자와 보호인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서울: 大韓神經精神醫學會神經精神醫學, Vol.40 No.6, 1166-1173, 2002

      73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영웅과 모성 원형. 융 기본 저작집 8", 서울: 솔 출판사, 2004

      74 김혜원, 이해경,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적, 심리적 변인", 서울: 한국심리학회지. 한국심리학회. 14(1), 45-64., 2000

      75 이혜선, "미술치료전문가의 윤리적 딜레마와 실천행동 연구-근거 이론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14

      76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융 기본 저 작집 4", 서울: 솔 출판사, 2004

      77 김영연, 조준오, 나정,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아동교육학회, 서울: 한국아동교육학회,아동교육, Vol.25 No.1, 261-276, 2016

      78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융 기 본 저작집 6", 서울: 솔 출판사, 2004

      79 박지도, "불량행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폭력 가해자의 사회인구 적 특성 및 정신병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640-655. 서울: 神經精神醫學, 2001

      80 조연수, "도예작업을 활용한 점토치료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변환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6

      81 황인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 상담협력관계가 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4

      82 C. G. Jung, "한국융연구원 & 변역위원회 옮김. 꿈에 나타난 개성화 과 정의 상징. 융 기본 저작집 5", 서울: 솔 출판사, 2004

      83 임종은, "운동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학교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 한국초등체육학회 지, Vol.21 No.4 103-116. 서울: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84 이정윤, "“자살생각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 문제행동, 자기존중감, 사회성기술,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 연구. 서울: 한국상담학회. . 제 1호, 통권 33호. 163-175., 2004

      85 Brenner, C., "이근후, 박영숙 옮김. 년). 정신분석학. 서울: 하나의학사. (An elementary textbook of psych oanalysis (2nd ed.)",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3

      86 최순주, "점토를 이용한 임상미술치료가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정서적 행동과 스트레스 변화에 미치는 효과", 경기: 차의과학대학교 의학과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87 김화숙, 한미경, 천성문, "「학교폭력 가해자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폭력가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평가학회, 한국: 한국상담평가학회. 47-57. 상담평 가연구, 2010

      88 이혜숙, "점토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에 미치는 효과: 자아존중감, 우울성향,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1. 1229-1412. 서울: 한국조형디자 인협회, 2013

      89 김제중, 정진복, 김혜림, "아동기 청소년기 외상 경험자의 외상 후 스트 레스 경향, 강박사고 경향 간의 관계: 초기 부적응 도식을 중심으로", 再活心理硏究: 韓國再活心理學會.韓國再活心理學會. 257-270., 2016

      90 박재연 ( Jae Yeon Park ), 정주연 ( Juyeon Jung ), ""청소년 자살시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자살시도 이전 단계, 자살시도 단계, 자살실패 이후 단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서울: 한국청소년학회.청소년학연구. 275, 2015

      91 정미경 , 김효원, 박효정,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분석: 초등학생 의학교폭력에 대한 인식, 태도 및 행동, 대처능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47-7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0

      92 서정기, "학교폭력에 따른 갈등경험과 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회복적 정의에 입각한 피해자, 가해자 대화모임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서울: 연 세대학교 대학원, 2011

      93 고경은, 이수림,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중학생의 특성 및 학교생 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학교폭력 유형별 집단비교를 중 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서울: 청소년상담연구.청소년상담연구. 1-28, 2015

      94 Corey, G., "조현준, 조현재, 문지혜, 이근배, 홍영근 옮김. 년). 심리 상담과 치료의 이 론과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8th ed.). Belmont", CA: Wadsworth),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