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 분석 = Structure Analysis of the Uni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2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class. The s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clas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total of 12 books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edited under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hich contain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system of unit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in each textbook is analyz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unit.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s are composed of the number of uni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ratio of unit composition, content presentation way, and the number of illustrations for each textbook. The unit composition elements include learning objectives, content composition system, experiment and practice activities, and evaluation by each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middle-class units are 2 ~ 3 and small-class units are 5 ~ 11.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units is within the range of 16.1 ~ 32.2% in all textbooks. In order to know how to present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contents of learning reflected in the standard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all textbooks. Illustration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picture, drawing.
      Second,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composition element. In the section on 'manufacturing technology', If the analysis of the statement type is divided into content-behavior classification, the learning goals are classified into cognitive domain, definitive domain, and dynamic domain in order of quantity. Most textbooks are similar in content structure. The type of supplementary enrichment activity is mostly survey activity. In order to summarize and evaluate large learning and intermediate learning units, the form of unit summarization and problem solving is mainly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조기술’ 수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

      이 연구는 ‘제조기술’ 수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제조기술’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①권으로 총 12권이며, 단원 조직 요소와 단원 구성 요소로 나누어 각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를 비교·분석하였다. 단원 조직 요소는 교과서별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 단원 구성 비율, 내용 제시 방식, 삽화 수로 설정하였으며, 단원 구성 요소는 교과서별 학습 목표, 내용 구성 체제, 실험·실습 활동, 보충 심화 활동, 정리 및 평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조직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는 중단원이 2~3개, 소단원이 5~11개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구성 비율은 모든 교과서가 기술 전체 분량 대비 16.1~32.2% 범위 내에 있다. ‘제조기술’ 관련 내용 제시 방식을 알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학습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하였으며, 삽화는 사진과 그림 순으로 많이 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원 구성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에서 학습 목표 진술 방식을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목표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구성 체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다. 실험·실습 활동은 교과서별로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충 심화 활동 형태는 조사활동이 가장 많았다. 대단원 정리 및 평가, 중단원 정리 및 평가를 위해 단원 정리 및 문제 풀이 형태가 주로 제시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남호, "초·중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내적 체제의 비교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윤인경, "중학교 기술·가정1" ㈜미래엔 2017

      3 최유현, "중학교 기술·가정1" ㈜지학사 2017

      4 최완식, "중학교 기술·가정1" ㈜교문사 2017

      5 채정현, "중학교 기술·가정1" ㈜삼양미디어 2017

      6 조강영, "중학교 기술·가정1" ㈜금성출판사 2017

      7 정성봉, "중학교 기술·가정1" ㈜교학사 2017

      8 이춘식, "중학교 기술·가정1" ㈜천재교과서 2017

      9 이봉구, "중학교 기술·가정1" ㈜교학도서 2017

      10 왕석순, "중학교 기술·가정1" 동아출판(주) 2017

      1 기남호, "초·중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내적 체제의 비교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윤인경, "중학교 기술·가정1" ㈜미래엔 2017

      3 최유현, "중학교 기술·가정1" ㈜지학사 2017

      4 최완식, "중학교 기술·가정1" ㈜교문사 2017

      5 채정현, "중학교 기술·가정1" ㈜삼양미디어 2017

      6 조강영, "중학교 기술·가정1" ㈜금성출판사 2017

      7 정성봉, "중학교 기술·가정1" ㈜교학사 2017

      8 이춘식, "중학교 기술·가정1" ㈜천재교과서 2017

      9 이봉구, "중학교 기술·가정1" ㈜교학도서 2017

      10 왕석순, "중학교 기술·가정1" 동아출판(주) 2017

      11 문성환, "중학교 기술·가정1" 씨마스 2017

      12 김지숙, "중학교 기술·가정1" ㈜비상교육 2017

      13 김기수, "중학교 기술·가정1" 원교재사 2017

      14 강혜경, "중학교 기술·가정 1 교과서에서 '기술과 발명' 단원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5 이경호, "중학교 기술 교과서의 외형 체제와 내용 제시 방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정진우, "실과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 발명 교육 내용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8 (18): 103-122, 2018

      17 교육부,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2015

      18 김경아, "기술․가정 2 교과서 ‘에너지와 수송 기술’ 단원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45-263, 2013

      19 박정훈, "국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전기·전자 영역의 내용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20 함승연, "교과서 선정률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 체제 비교 분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22, 2012

      21 천주영,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51-573, 2017

      22 진의남, "2015 개정 학교 기술․가정과 ‘기술의 세계’ 역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6 (16): 1-21, 2016

      23 김미영,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제조 기술’ 단원체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24 권혁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생명기술 관련 내용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8 (18): 44-63, 2018

      25 손다미, "2007년 개정 기술·가정교과 기술영역 1학년 교과서 내적 체제의 비교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2 1.52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2.24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