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보통신기술확산이 임금불평등의 한 원인인가?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Wage Ine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83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using the traditional Mincer-type earnings equation augmented by a proxy for ICT progress, whether the differing pa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s an effect on both within- and between-group wage inequal...

      This paper explores, using the traditional Mincer-type earnings equation augmented by a proxy for ICT progress, whether the differing pa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s an effect on both within- and between-group wage inequalities. We found that the pace of ICT progress caused the widening of both within- and between-group wage inequalities.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as the forces of labor demand tend to increase wage inequalities among workers at least until the pace of ICT progress stabilizes, policy measure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job experience for workers and the extension of the social safety net for vulnerable workers are necess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산업 및 사업체 수준의 자료를 이용한 Mincer류의 임금방정식 추정을 통해 산업간 혹은 사업체간 상이한 수준의 ICT 확산이 동일직능집단 내 임금불평등 확대 및 고직능-저직능노동간 ...

      본고는 산업 및 사업체 수준의 자료를 이용한 Mincer류의 임금방정식 추정을 통해 산업간 혹은 사업체간 상이한 수준의 ICT 확산이 동일직능집단 내 임금불평등 확대 및 고직능-저직능노동간 임금불평등 확대에 기여하는지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ICT 확산속도의 차이가 부문간 임금격차 확대를 통해 동일직능 집단내 임금불평등 확대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CT확산속도의 차이가 집단간 임금불평등 확대에도 기여함을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기술변화속도가 급격한 시기에는 노동수요구조가 고용안정성 및 소득분배 상황을 양극화시키는 경향을 띠므로 근로자의 직업교육 및 직업경험 기회를 확대하고, 저직능근로자에 대한 사회안전망의 충실도를 제고하는 등의 정책적 배려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강식, "한국의 학력간 임금격차 추세 및 요인 분해" 9 (9): 183-208, 2003

      2 허재준, "정보통신기술투자와 숙련노동 수요변화" (4) : 267-292, 2002

      3 허재준, "정보통신기술 투자와 숙련노동수요" 한국노동연구원 2002

      4 신일순, "정보기술 도입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T 자본의 초과수익 및 무형자산과의 보완성 관점에서" SK텔레콤 13 (13): 396-407, 2003

      5 최강식, "기술진보와 노동시장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1997

      6 Acemoglu, Daron, "Why Do New Technologies Complement Skills? Directed Technical Change and Wage Inequality" 114 (114): 1055-1089, 2002

      7 Machine, Stephen, "Wage Inequality in the UK" 12 (12): 47-64, 1996

      8 Kevin Murphy, "Wage Inequality and the Rise in Returns to Skill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410-442, 1993

      9 Anna L, "The Impact o Competition on Employment and Wages in US Manufacturing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255-84, 1992

      10 Aghion, Philippe, "Technology, Knowledge and Inequality" University College 1998

      1 최강식, "한국의 학력간 임금격차 추세 및 요인 분해" 9 (9): 183-208, 2003

      2 허재준, "정보통신기술투자와 숙련노동 수요변화" (4) : 267-292, 2002

      3 허재준, "정보통신기술 투자와 숙련노동수요" 한국노동연구원 2002

      4 신일순, "정보기술 도입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T 자본의 초과수익 및 무형자산과의 보완성 관점에서" SK텔레콤 13 (13): 396-407, 2003

      5 최강식, "기술진보와 노동시장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1997

      6 Acemoglu, Daron, "Why Do New Technologies Complement Skills? Directed Technical Change and Wage Inequality" 114 (114): 1055-1089, 2002

      7 Machine, Stephen, "Wage Inequality in the UK" 12 (12): 47-64, 1996

      8 Kevin Murphy, "Wage Inequality and the Rise in Returns to Skill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410-442, 1993

      9 Anna L, "The Impact o Competition on Employment and Wages in US Manufacturing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255-84, 1992

      10 Aghion, Philippe, "Technology, Knowledge and Inequality" University College 1998

      11 Machin,Stephen, "Technology and Changes in Skill Structure: Evidence from Seven OECD Countries" 113 : 1215-1244, 1998

      12 Violante, "Technological Acceleration, Skill Transferability, and the Rise in Residual Inequality" 117 (117): 297-338, 2002

      13 Acemoglu, Daron, "Technical Change, Inequality, and the Labor Market" 40 : 7-72, 2002.March

      14 Card, David, "Skill Biased Technological Change and Rising Wage Inequality: Some Problems and Puzzles" (8769) : 2002

      15 OECD, "Measuring the ICT Sector" OECD 2000

      16 Serrano,Lorenzo, "Is Technical Change Directed by the Supply of Skills? The Case of South Korea" 76 : 289-293, 2002

      17 Nelson, "Investment in Humans" and eco (and eco): 69-75, 1966

      18 Jacob,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Personal Income Distribu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Mincer 281-302, 1958

      19 Aghion, Philippe,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The Perspective of the New Growth Theories" 37 : 1615-1600, 1999.December

      20 Berman, Eli, "Implications of Skill- biased Technological Change: International Evidence" 113 (113): 1245-1279, 1998

      21 서환주, "ICT확산, 기업조직, 제품차별화, 숙련노동의 보완관계" 한국경제학회 52 (52): 33-65, 2004

      22 Hur, Jai-Joon, "ICT diffusion and Skill Upgrading in Korean Industries" UN University/Wider 111 : 2002

      23 Aghion, Philippe, "Endogenous Growth Theory" MIT Press 1998

      24 Gottschalk, Peter,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Earnings and Income Inequality" 35 (35): 633-687, 1997

      25 Autor, David H, "Computing Inequality: Have Computers Changed the Labor Market?" 113 (113): 1169-1213, 1998

      26 Boun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Wages in the 1980s An Evaluation of Alternative Explanations" 371-392, 1992

      27 Berman, "Changes in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within U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367-398, 1994

      28 Johnson,George, "Changes in Earnings Inequality:The Role of Demand Shifts" 11 : 41-54,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5 0.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