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지방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 =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45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지방의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중 편의 추출한 3개 기관의 전체 간호사를 468명을 ...

      목적: 본 연구는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지방의 500병상 미만의 종합병원 중 편의 추출한 3개 기관의 전체 간호사를 468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8일에서 23일까지 2주간 윤(2004)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성향과 조 등 (201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검증한 한국어 버전 간호근무환경 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기술적 통계. 일원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평균점수는 각 각 3.3 (±0.4), 2.3 (±0.4)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은 연령과, 교육수준, 경력, 현재 직위,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변량 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 교육수준,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 중에 간호사-의사의 협력관계의 관련성 확인되었다. 결론: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교육을 포함한 개인적 접근뿐 아니라 간호근무환경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직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468 registered nurs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local general hospitals. Methods: A convenience sample of 468 registered nurses was obtained from three local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November, 2012. The survey tools were the K-PES-NWI verified by Cho et al (2011) and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developed by Yoon (2004).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with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for practice environment of nursing was 3.3 (±0.4) and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2.3 (±0.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ngth of career, current position, and marital status. In multivariate analysis, factors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in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re related to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u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ractice environment as well using individual approaches including on-the-job training to improve nurs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은희,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간호과학회 41 (41): 325-332, 2011

      2 권정옥,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414-423, 2012

      3 성미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호행정학회 15 (15): 26-36, 2009

      4 정삼출,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7 (17): 443-450, 2011

      5 최혜란,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 17 (17): 265-274, 2011

      6 성기산,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4 (24): 155-172, 2010

      7 박승미,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영향 요인 - 비판적 사고 성향을 중심으로 -" 한국간호과학회 37 (37): 863-871, 2007

      8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 18 (18): 71-78, 2011

      9 Lake ET,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55 (55): 1-9, 2006

      10 Lee HJ, "Stud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owerment of clinical nurses" Kyung Hee University 2002

      1 조은희,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한국간호과학회 41 (41): 325-332, 2011

      2 권정옥, "중소병원 간호단위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18 (18): 414-423, 2012

      3 성미혜,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호행정학회 15 (15): 26-36, 2009

      4 정삼출, "암전문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 의사결정능력,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7 (17): 443-450, 2011

      5 최혜란,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과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 17 (17): 265-274, 2011

      6 성기산, "비판적 사고를 위한 교육"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4 (24): 155-172, 2010

      7 박승미,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영향 요인 - 비판적 사고 성향을 중심으로 -" 한국간호과학회 37 (37): 863-871, 2007

      8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 18 (18): 71-78, 2011

      9 Lake ET, "Variations i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Relation to staffing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55 (55): 1-9, 2006

      10 Lee HJ, "Stud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owerment of clinical nurses" Kyung Hee University 2002

      11 Kawashima A, "Study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Japan" 24 (24): 286-292, 2004

      12 Boschma G, "Strengthening communication education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28 (28): 1-14, 2010

      13 Mangena, A, "Strategies to overcome obstacles in the facilitation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25 (25): 291-298, 2005

      14 Myrick, F., "Preceptorship and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41 (41): 154-164, 2002

      15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30th anniversary ed" Continuum Press 43-70, 2000

      16 Fowler LP,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practice" 14 (14): 183-187, 1998

      17 Benner P, "From novice to expert" 82 (82): 402-407, 1982

      18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25 : 176-188, 2002

      19 Yoon J.,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4

      20 Bittner NP, "Critical thinking: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14 (14): 267-272, 1998

      21 Raterink G., "Critical thinking: Reported enhancers and barriers by nurses in long-term care: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27 (27): 136-142, 2011

      22 Kaya H,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Anatomy of a course" 23 (23): 159-173, 2011

      23 Wangensteen 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66 (66): 2170-2181, 2010

      24 Park J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decision making of emergency nurses" Ajou University 2012

      25 Feng RC, "Critical thinking competence and disposition of clinical nurses in a medical center" 18 (18): 77-87, 2010

      26 Fero LJ,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ew graduate and experienced nurses" 2009 : 139-148, 2009

      27 Ennis R, "Critical thinking : A streamlined conception" 14 (14): 44-48, 1991

      28 Weinberg DB, "Code green: Money-driven hospitals and the dismantling of nursing" ILR Press 1-18, 2003

      29 Chan ZCY, "A systematic review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33 : 236-240, 2013

      30 Lee MH, "A comparative study o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hospital size" Dankook University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