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 및 지식, 태도, 수행 의지 = Current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d conviction to perform of government employe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6178

      • 저자
      • 발행사항

        대구 :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 (석사) --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대학원 , 2018. 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16.025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대구

      • 형태사항

        ii, 51 p.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홍남수
        참고문헌 수록

      • UCI식별코드

        I804:22001-000000093813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attempt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education program that suits government employee’s character by studying current education, knowledge, an...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hat attempt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develop customiz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education program that suits government employee’s character by studying current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d conviction to perform of some local government employe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and investigating influential factors for CPR. A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11th, 2017 to December 29th, 2017 on 283 government employees from C region in Gyeongsangbuk-do whom the author has conveniently sampled. SPSS 23.0 has been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is.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has been kept at p<0.05. Following is the result of my research.
      Knowledge on CPR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education, age of 40 and below, marriage, shorter work experience, and higher satisfaction from education; attitude on CPR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lower education background, working in civil complaint, time passed from recent education, and higher satisfaction from education; conviction to perform CP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ose with experience of CPR education, those who had education within 1 year, and who had higher satisfaction from education. Impeding factors for the attitude and conviction were lack of confidence for CPR, fear of hurting, concern for infective disease, and embarrassment.
      Based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conviction to perform CPR were attitude toward CPR, gender, and experience of CPR education, amongst which odd ratio of the attitude was 1.12, showing the highest relevance to the conviction.
      Therefore, as CPR attitude toward CPR is confirmed to be the most relevant factor to influence conviction to perform,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necessary to overcome impeding factors for CPR and make positive alteration. Also, preference of subject on CPR education must be reflected so that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for government employees to provide practical and systemic CP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부 지역 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와 지식, 태도, 수행 의지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의 수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공무원 특성에 적합한 맞...

      본 연구는 일부 지역 공무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와 지식, 태도, 수행 의지를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의 수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공무원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 연구로, 연구자가 편의추출 한 경상북도 C 군 소속 공무원 283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1일부터 2017년 12월 29일까지 설문조사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에서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소생술 교육 유경험자는 71.7%의 높은 수준이었고, 여자보다 남자인 경우, 연령은 40대, 미혼보다는 기혼인 경우, 최종학력은 대학원 이상인 경우, 민원업무와 관련 있는 경우, 응급상황 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교육 경험률이 더 높았으며, 근무경력은 많을수록 높았다.
      둘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은 연령(30세 이하), 혼인상태(미혼), 근무경력(3년 이하),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 경험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는 최종학력(전문대졸 이하),민원업무와 관련 있는 경우, 최근 교육 경과기간,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의하였다. 또한 심폐소생술에 대한 수행 의지는 66.1%가 긍정적이었고, 관련 요인으로는 성별(남자), 교육 경험 여부, 최근 교육 경과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의하였다. 심폐소생술 태도와 수행 의지의 저해요인으로는‘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부족, 환자에게 해를 끼칠까 두려움, 감염성 질환에 대한 걱정, 당황하여 여유가 없을 것 같다’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폐소생술 수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의 경우 남자에 비해 여자일 때와 교육 유경험자에 비해 무경험자에서 수행 의지가 낮았지만, 심폐소생술의 태도는 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수행 의지가 높았으며 가장 관련성이 높은 요인이었다.
      넷째,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수행 의지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이 증가할수록 심폐소생술의 태도와 수행 의지는 증가하고, 심폐소생술의 태도가 긍정일수록 심폐소생술의 수행 의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향후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의향 및 선호 조사 결과는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의무적 교육 참여, 1시간~3시간 이하의 교육시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교육 형태, 향후 교육에 대한 긍정적 희망, 자동제세동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심폐소생술 수행 의지의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심폐소생술의 태도로 확인되었으므로 심폐소생술 태도의 저해요인을 극복하고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행정적, 제도적 뒷받침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 공무원의 선호와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셋째, 심폐소생술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 및 만족도, 교육 효과 등에 대한 평가와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넷째, 본 연구는 일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로 이를 보완하여 향후 심폐소생술 교육 전·후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대상 및 방법 ..... 4
      • Ⅲ. 성적 ..... 7
      • Ⅰ. 서론 ..... 1
      • Ⅱ. 대상 및 방법 ..... 4
      • Ⅲ. 성적 ..... 7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7
      • 2.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교육 관련 실태 .....9
      • 3. 대상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 의지 .....11
      •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 교육 여부 .....14
      •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및 수행 의지 .....16
      • 6. 대상자의 심폐소생술 교육 관련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및 수행 의지 ..... 19
      • 7. 대상자의 심폐소생술의 지식, 태도 및 수행 의지 간의 상관관계 ..... 23
      • 8. 심폐소생술 수행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4
      • 9. 향후 심폐소생술 관련 교육 의향 및 선호 ..... 26
      • Ⅳ. 고찰 ..... 28
      • Ⅴ. 요약 및 결론 ..... 36
      • 참고문헌 ..... 39
      • 영문초록 ..... 43
      • 부록 [설문지] ..... 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