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일시 남북한의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방안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남북경제협력관점에서 - = Constituitional review on economic gap settlement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 economic cooperation oriented standpoint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reorganization of fiscal law is necessary to achieve reunification than anything else because unification financing is the key component. but actually considering financial status of south korea, we can not complete uni...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reorganization of fiscal law is necessary to achieve reunification than anything else because unification financing is the key component.
      but actually considering financial status of south korea, we can not complete unification through financial input of south korea. so economic cooperation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including Private capital invesment is essential method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Debating unification cost, we must discuss net unification cost(including unification profit) not total cost, because unification total cost can cause fear of south korean peoples. Especially, I call this unification investment which means net unification profit. On north korea land ownership allocation after unification, We must this not in the point of private land ownership principle, but in the point of public interest to lesson unification cost. restriction on north koreans’ freedom of residence into south korea.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among the korean economists. restriction on north koreans’ freedom of residence into south korea is not permitted for a long time. Instead through land allocation to north koreans and Private capital investment, we induce north koreans to live in north korea. This means that instead of returning north korea land ownership to original owner or compensating, thorough nationalization of north korea land ownership, we can save unification cost . Finally, because our fiscal conditions is greatly poor, compared with germany, we must prepare differently for our unification financing.
      unification invesment economic cooperation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is based on constituitional doctrine of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의 통일논의는 독일식의 단순한 경험을 소개하고 추상적으로 논의하는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한국은 독일과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국가재정적 측면에서 독일과는 전혀 다른 ...

      지금까지의 통일논의는 독일식의 단순한 경험을 소개하고 추상적으로 논의하는 경향이 많았다. 하지만 한국은 독일과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국가재정적 측면에서 독일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서 한국에서의 현실적인 통일의 대안을 찾고자 이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남북간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가 남국한 통일에서 중요한 이유는 통일비용측면에서 사실상 국가적으로 재정투입이 국가부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어렵기에 실질적으로 유일한 대안이기 때문이다. 언급된 통일재원 중 가장 실효성있고 지속가능성이 있는 방안은 현재의 한국의 재정여건을 고려하고 무리없는 통일을 위하여서는 국내외민간자본의 투자, 북한의 소유권제도 정비, 기타의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 등의 방안이 최종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가 지향할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의 이념은 개인의 자유로운 인권의 보장을 전제로 하는 시장경제질서를 원칙으로 하여야 하고 또한 우리 헌법 119조 2항의 소득불평등의 해결을 위한 경제민주화를 위하여 북한의 지역적 격차 측면과 북한 주민의 소득 격차 해소를 위해서 지역균형적 측면의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는 통일전에는 사전적으로 치밀하게 준비하고 사후에는 신속히 재정적 지원과 법 제도적 지원을 통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다.
      헌법 제120조 ②항상의 국토 균형 있는 개발과 이용 원칙상 그리고 제123조 제2항상 지역균형정책시 지역경제육성 균형정책을 직접적으로 규율하여 적극적인 남북한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를 가능함을 간접적으로 근거지우고 있다고 할 것이고 이는 국가의 당연한 의무라고도 해석할 수 있지만 123조 제2항상 지역균형정책시 지역경제육성 균형정책을 직접적으로 규율하여 적극적인 남북한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를 가능함을 간접적으로 근거지우고 있지만 예멘처럼 좀 더 적극적인 사회통합과 공공정책으로서의 지역개발을 명확히 규율할 필요는 있다고 보인다.
      대한민국의 통일을 위한 경제협력은 자유시장경제체제에 의한 통일을 목표로 하고 있어 중국-홍콩과 같은 일국양제 모델은 지향할 수 없으며, 실제 중국과 홍콩의 경우 일국양제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홍콩의 민주화사태에서 보듯이 이는 사실상 붕괴되었고 단일국가가 일국양제라는 것은 국가의 동일성을 추구하는 정체성에도 맞지 않고 이는 우리가 지해하는 통일정신에도 어긋나기에 기에 일국양제는 사실상 단일국가에서는 불가능한 이상향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다만 급격한 통일이나 급변사태의 경우 한시적으로 체제변환기에 제한적으로 운용되는 것은 예외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구체적인 남북통일을 위한 경제협력 수단 측면에서는 진정한 경제적 경제적 지역격차 해소를 이루기 위해서는 독일처럼 재화나 자본, 노동려의 자유로운 이동 시장경제개혁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는 북한의 경우 이러한 자유로운 이동들이 가능해지면 북한의 독재정권은 스스로 무너지기에 북한은 독일통일의 예를 보면서 더욱더 폐쇄적인 통제경제를 유지하고자 하는 남북한의 정치환경과 경제적 격차 등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통일 전에는 불가능해 보이고 실질적으로 통일이 이루어진 후에 가능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미 검토한 북한의 소유권제도를 정비하여 헌법적 관점에서 통일비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