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댓글 읽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3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령 뉴스 기사의 분야 혹은 주제에 따라 댓글 읽기 양식은 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던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계조건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령 뉴스 기사의 분야 혹은 주제에 따라 댓글 읽기 양식은 어떻게 변화하며 그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또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댓글 읽기 양식과 그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근거로 하여 뉴스 기사를 경성과 연성 뉴스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기사 주제에 대한 관여도와 효능감, 자아 존중감 등을 개인의 특성으로 상정하고 이에 따라 댓글 읽기 양식과 댓글을 읽은 후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안구추적 장비로 조사한 댓글 읽은 수는 기사에 대한 평가와 댓글을 읽은 후의 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댓글 읽기 효과는 기사 주제와 개인 성별 및 주제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정치기사의 경우 성별과 읽은 댓글 수가 태도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일수록 태도변화가 많았으며 읽은 댓글 수가 많을수록 기사와 댓글을 읽은 후 기사에 대한 태도 변화가 많았다고 보고한 것이다. 그러나 연예 기상의 경우 성별과 읽은 댓글 수는 태도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 다만 평소 연예분야에 대한 관심도, 즉 주제 관여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사 주제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댓글의 읽기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댓글을 읽은 후 기사에 대한 평가와 태도가 동일하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주제와 기사에 대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읽은 댓글에 의해 혹은 평소의 관심정도에 의해 태도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기사의 댓글 읽기 효과에 대한 논의에서 기사의 주제와 개인의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reading online replies were assessed with an eye-tracker. Specifically, this research was embarked to examine whether reading online replies have impacts on the attitude towards the online news article and whether the i...

      In this research, the effect of reading online replies were assessed with an eye-tracker. Specifically, this research was embarked to examine whether reading online replies have impacts on the attitude towards the online news article and whether the impact can vary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artlce and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re involvement and efficacy. For that purpose, an experiment was performed in which the number of replies the participants read was measured using an eye-track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reading online replies does exist but the effect can vary according to the genre of the article an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