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성인의 자존감 유형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 간 차이 :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50125

      • 저자
      • 발행사항

        나주 : 동신대학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신대학교 대학원 , 상담심리학과 , 2020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186.3 판사항(6)

      • DDC

        616.89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i, 57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송연주
        권말부록: 설문지
        SNS는 "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어임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신대학교 학술문화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의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적응적인 SNS 이용을 돕고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강구하는...

      본 연구는 성인의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적응적인 SNS 이용을 돕고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강구하는 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G시 및 J지역에 거주하는 2-30대 성인 남녀 471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척도, 조건부 자존감 척도, SNS 이용동기 척도,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Hair와 Black이 제안한 2단계 군집분석을 통해 SNS 이용자들의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에 따라 군집을 나눈 후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통해 도출된 군집들 간에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조건부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라 안정된 높은 자존감 집단,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 자존감 평균 집단,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셋째, 안정된 높은 자존감 집단은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이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은 SNS 중독경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은 SNS 이용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이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서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군집의 특성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내담자의 중독경향성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 장면에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dults use SNS adaptively and to decrease SNS addiction tendencie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adults’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adults use SNS adaptively and to decrease SNS addiction tendencie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adults’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To do this, I conducted scale surveys to estimate self-esteem, contingent self-esteem,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The respondents are 471 adults living in G city or J area, both male and female, and all of them are between twenties and thirties. I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study variables and used SPSS 22.0 for cluster analysis to verify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Then, I conducted one-way ANOVA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by the cluste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tingent self-esteem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Second, four cluster typ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s follows. High and stable self-esteem type, low and unstable self-esteem type, normal self-esteem type, and high but unstable self-esteem type. Third, high and 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low level of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low and un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high level of SNS addiction tendencies, and high but unstable self-esteem cluster type showed high level of motivation for SNS use. All of these findings come down to the fact that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ffect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This study verified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a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nd found differences in motivation for SNS use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yp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unselors who consult clients experiencing problem against SNS use, so that counselors can have a way to decrease clients’ SNS addiction tendenc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8
      • Ⅱ. 이론적 배경 10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 10
      • 2.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14
      • 3. 자존감과 SNS 이용동기의 관계 17
      • 4. 자존감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18
      • Ⅲ. 연구방법 20
      • 1. 연구대상 20
      • 2. 측정도구 21
      • 1) 한국판 자존감 척도 21
      • 2) 조건부 자존감 척도 21
      • 3) SNS 이용동기 척도 22
      • 4) SNS 중독경향성 척도 23
      • 3. 연구절차 24
      • 4. 자료 분석 24
      • Ⅳ. 연구결과 26
      • 1.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6
      • 2.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군집분석 27
      • 3. 자존감 유형의 각 군집별 SNS 이용동기의 차이 검증 30
      • 4. 자존감 유형의 각 군집별 SNS 중독경향성의 차이 검증 32
      • Ⅴ. 논의 34
      • 1. 결론 34
      •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38
      • 3.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39
      • 참고문헌 41
      • 영문초록 50
      • 부록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