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음란물 중독 경향 청소년의 성태도 및 성지식 수준과 심리사회적 특성 = Sexual attitude and knowledge, and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addicted youth to obscene mate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39850

      • 저자
      • 발행사항

        안양 :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안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03. 2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3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ii, 70p. ; 26cm.

      • 일반주기명

        권말부록수록
        참고문헌: p. 54-56

      • 소장기관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안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음란물 중독 청소년과 비중독 청소년 사이에 성지식 수준 및 성태도, 개인적, 가정적 변인, 그리고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

      본 연구는 음란물 중독 청소년과 비중독 청소년 사이에 성지식 수준 및 성태도, 개인적, 가정적 변인, 그리고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학생 1,0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는 학생들의 가정환경, 성지식 수준, 성태도, 그리고 심리사회적 특성으로서 자기존중감, 교우관계, 학교생활 적응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란물 접촉과 성태도, 자기존중감 및 학교적응간에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음란물 접촉이 많은 학생의 경우 성태도가 상대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자기존중감이 낮으며, 학교생활 적응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음란물 접촉과 성지식 및 교우관계 영역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음란물 중독 학생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정환경에 있어서는 PC 보유 유무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요인들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지식 수준 및 성태도에 관한 분석 결과, 음란물 중독이 청소년의 왜곡된 성태도 형성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인 성지식 수준에 있어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중독집단의 경우 단순지식은 많이 알고 있으나, 건전한 성상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사회적 특성 중에서 자기존중감 척도에 있어서는 음란물 중독집단이 비중독집단에 비해 자기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관계를 질적으로 나타내 주는 가정적 자기존중감에서는 중독집단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음란물 중독 청소년에 있어서 가족과의 유대관계나 가정적 안정감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우관계에서는 중독 집단과 비중독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중독학생의 경우라도 유사성향의 친구들과 어울리게 됨으로써 외톨이적 특성이 잘 관찰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위영역 분석 결과, 음란물 중독학생들은 친구관계에서 소외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적응 척도에서는 음란물 중독학생들이 학교적응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검증 결과, 음란물에 중독된 학생들의 경우 학교수업 태도가 좋지 않고, 학교규칙을 잘 지키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교사관계 영역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음란물 중독 청소년의 성태도 및 성지식 수준과 개인적, 가정적 배경의 차이에 대한 검증뿐 아니라, 이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알아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음란물 중독을 예방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sexual attitude and knowledge, individual, family,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ddicted youth to obscene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taken on 1,080 midd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sexual attitude and knowledge, individual, family,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ddicted youth to obscene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taken on 1,080 middle school students. Two groups, the addicted and the non- addicted group,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osure to obscene mate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xposure to obscene materials'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variables,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his implies that the addicted youth tend to have relatively undesirable sexual attitude, low level of self-esteem and problems in school life.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level of exposure to obscene materials' and the variables, 'level of sexual knowledge' and 'peer relation'.
      Second, the proportion of boys and high-grade students was much higher in the addicted group compared with the non-addicted group. With regard to family characteristic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with exception of the variable, 'possession of a home PC'.
      Third, sexual attitude can be distorted by frequent exposures to obscene materials, though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 analysis on the sub-categories of the 'level of sexual knowledge' suggested that the addicted youth have higher level of simple sexual knowledge, but are deficient in healthy sexual knowledge.
      Fourth, the addicted group had much lower level of self-esteem, as expected. And students who have problems in their family relations or poor stability at home a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obscene materials. As for the 'peer relat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The addicted group, however, expressed stronger feelings of alienation in the relation with their friends. And the adaptability to school lif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ddicted group. Particularly, the addicted youth tend to show bad attitude in class and not to abide by school regul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n the fact that it examined not only sexual attitude and knowledge, and individu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but also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ddicted youth to obscene materials. And based on the results, appropriate strategies to prevent and cope with addiction to obscene material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목차 = i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 2
      • 요약
      • 목차 = i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및 가설 = 2
      • 3. 용어의 정의 = 4
      • Ⅱ. 이론적 배경 = 7
      • 1. 청소년과 성문제 = 7
      • 2. 청소년의 성태도와 성지식 = 12
      • 3. 청소년의 음란매체 접촉 = 17
      • 4. 음란물 중독 청소년의 특성 = 26
      • Ⅲ. 연구 방법 = 28
      • 1. 연구대상 = 28
      • 2. 연구 도구 = 30
      • 3. 자료분석 방법 = 33
      • Ⅳ. 연구 결과 = 34
      • 1.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분석 = 34
      • 2. 집단간 개인적, 가정적 특성에서의 차이 = 37
      • 3. 집단간 성지식 및 성태도에서의 차이 = 39
      • 4. 집단간 자기존중감에서의 차이 = 42
      • 5. 집단간 교우관계에서의 차이 = 43
      • 6. 집단간 학교생활 적응에서의 차이 = 45
      • Ⅴ. 논의 = 47
      • 1. 논의 = 47
      • 2. 결론 및 제언 = 51
      • 참고문헌 = 54
      • Abstract = 57
      • 부록 = 59
      • 감사의 글 = 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