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협력적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부적응 유아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 Focusing on Maladjusted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6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and apply a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to resolve difficulties of maladjusted children, and then to verify its effects.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 maladjusted children of age 5, 2 mothers, 1 teacher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and apply a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to resolve difficulties of maladjusted children, and then to verify its effects.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2 maladjusted children of age 5, 2 mothers, 1 teacher and 1 child psychology specialist. In the collaborative consulting program, psychological approach, parenting approach and educational approach are done comprehensively. The child psychology specialist, the mothers and th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and total 12 times at the playroom, home and the classroom respectively. The change of children was inspected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ability that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and social relation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 showed highly increased self-regulation such as self-monitoring and self-control and improved social skills such as cooperation mind and interaction. However, behavior problems such a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anxiety were decreased.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change of social relations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hange as they get through chaos period, growth period, regression period and stability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적응 유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참여자는 만 5세 부적응 유아 2명, 어머니 2명, ...

      본 연구는 부적응 유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참여자는 만 5세 부적응 유아 2명, 어머니 2명, 담임교사 1명, 심리전문가 1명이다. 협력적 컨설팅프로그램은 심리적 접근, 양육적 접근, 교육적 접근을 통합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즉, 심리전문가, 어머니, 교사가 놀이실, 가정, 교실에서 주1회 총12회기 프로그램을 각각 실시하였다. 유아의 변화는 자기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을 사전․사후 실시하여 살펴보았고, 사회적 관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자기점검, 자기통제와 같은 자기조절력에서 높게 증가하였으며, 협력성, 상호작용 등 사회적 기술이 향상된 반면 행동과다,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불안 등 행동문제는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의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본 결과, 카오스기, 성장기, 퇴행기, 안정기 단계를 거치면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교사-심리전문가 간 협력을 통한 컨설팅프로그램이 부적응 유아의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선미,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93-107, 2010

      2 김태인, "유아교육 기관 내에서의 상담 자원과 관련된 요구" 육아정책연구소 4 (4): 63-78, 2010

      3 남궁령,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31-157, 2014

      4 최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03-530, 2016

      5 이정희, "산학협력을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사례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59-86, 2009

      6 송영혜, "비사회적 놀이 아동의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1 (11): 37-51, 2007

      7 이경숙, "반응성 애착장애 유아의 상징놀이 능력, 놀이기초기능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치료적 개입 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1 (11): 109-123, 2007

      8 정계숙, "놀이치료에 나타난 적응전략과 갈등전략 사용 특징 분석: 아동의 특성에 기초하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1-19, 2011

      9 하영례, "공감적 교사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이해와 행동의 변화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67-289, 2013

      10 G. L. Landreth,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Routledge Publishers 2012

      1 신선미,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4 (14): 93-107, 2010

      2 김태인, "유아교육 기관 내에서의 상담 자원과 관련된 요구" 육아정책연구소 4 (4): 63-78, 2010

      3 남궁령,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31-157, 2014

      4 최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녀의 부적응 행동특성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03-530, 2016

      5 이정희, "산학협력을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사례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59-86, 2009

      6 송영혜, "비사회적 놀이 아동의 부모-자녀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1 (11): 37-51, 2007

      7 이경숙, "반응성 애착장애 유아의 상징놀이 능력, 놀이기초기능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의 치료적 개입 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1 (11): 109-123, 2007

      8 정계숙, "놀이치료에 나타난 적응전략과 갈등전략 사용 특징 분석: 아동의 특성에 기초하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1-19, 2011

      9 하영례, "공감적 교사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보육교사의 이해와 행동의 변화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67-289, 2013

      10 G. L. Landreth,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Routledge Publishers 2012

      11 J. L. Miner, "Trajectories of externalizing behavior from age 2 to age 9:Relations with gender, temperament, ethnicity, parenting, and rater" 44 (44): 771-786, 2008

      12 L. G. Anthon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ur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ur problems in the classroom" 14 : 133-154, 2005

      13 S. Y. Lee, "The Consistency Level of Plan, Practice, and Evaluation of Play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Hanyang University 2007

      14 D. L. Westling, "Teachers and Challenging behavior: Knowledge, views, and practice" 31 (31): 48-63, 2010

      15 H. G. Ginott, "Teacher and Child" Avon Books Publishers 1775

      16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17 A. M. Doughty, "Psychological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in School and Community Settings" Brooks Cole Publishers 2012

      18 L. M. Brotman, "Promoting effective parenting practices and preventing child behavior problems in school among ethnically divers families from underserved, Urban communications" 82 (82): 258-276, 2011

      19 C. Logers, "On Becoming a Person" Mariner Books Publishers 2009

      20 김태인, "Mentoring을 통한 부적응 유아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제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431-458, 2007

      21 L. F. Guerney, "Introduction to Filial Therapy" A Source Book Publishers 1984

      22 K. Henry, "How do you change the nature" Soulmate Publishers 2012

      23 L. A. Gilmore, "Factor structure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using a normative sample" 38 (38): 48-55, 2008

      24 H. S. Koh, "Exploreing the Changes of Maladjusted Children through a Collaborative Consulting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Chaos Theory"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5

      25 Y. G. Choi, "Development of The school counselor's collaborative consultation model for kindergarten teachers" Korea National University 2007

      26 T. J. Kampwirth, "Collaborative Consultation in the Schools" Hakjisa Publishers 2010

      27 A. Fettig, "Collaborating with parents in using effective strategies to reduce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16 (16): 30-41, 2013

      28 N. A. Crawford, "Child internalizing symptoms: contributions of child temperament, maternal negative affect, and family functioning" 42 : 53-64, 2011

      29 J. Y. Kwon, "Child guidance" Hakjisa Publishers 2013

      30 "Child Care Statistics"

      31 S. M. Horwitz, "Barriers to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psychosocial issues in children and maternal depression" 119 (119): 208-218, 2007

      32 A. A. Schottelkorb, "ADHD Symptom Reduction in Elementary Students: A Single-Case Effectiveness Design" 13 (13): 11-22, 2009

      33 S. H. Cho, "A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Its Influence on the Sociah Competence of a Child:Analyzing a survey from Teacher" Korea National University 2007

      34 Y. O. Le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eer intervention Program model for Social Competence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8 (8): 5-2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