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licy of New Academic Year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학기・학년제와 관련된 문헌분석, 역사적 및 법적 분석 등에 기초하여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이 갖고 있는 함의와 정책...

      본 연구는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에 관한 기초 연구로서 학기・학년제와 관련된 문헌분석, 역사적 및 법적 분석 등에 기초하여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이 갖고 있는 함의와 정책 도입 시 예견되는 득과 실을 밝힘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가을 신학년제’ 도입 정책은 김영삼정부 시절부터 주기적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그 필요성은 나름 인정되면서도 막대한 비용 및 전환에 따른 혼란 문제로 인하여 유보되어 왔다. 근대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학년제는 봄이 아닌 가을에 시작하는 것이었으며, 일제 강점기 등을 거쳐 변화하면서 3월 신학년제가 된 것이다. 고등학교 이하 학교급에서 ‘가을 신학년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법률 개정이 필요하지만, 고등교육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은 현행 법제 아래에서도 가능하다. ‘가을 신학년제’로의 전환은 우선적으로 2월 학사의 파행적 운영 등 현행 제도의 문제점 해소 측면에서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지만, 최근에는 우리 교육의 국제적 통용성 제고 및 국제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더욱 부각되고 있다. 반면에 전환에 필요한 막대한 재정적 비용과 전환기에 예견되는 학생・학부모 등의 저항은 정책 결정의 중요 장애요인이다. 다만, 학생수 감소 현상 그리고 누리교육과정 등 최근의 새로운 정책들은 전환 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system and management of academic term through the lenses of history, law and policy, and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f adopting new system which begins academic year from not spring but fall. Th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

      This study analyzes system and management of academic term through the lenses of history, law and policy, and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f adopting new system which begins academic year from not spring but fall.
      Th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pting new academic year system has been brought up over the years since the Civilian Government, but the idea has been withdrawn due to financial concerns and possible confusions that caused by the change.
      Second, the academic year began in fall when Korean school system was modernized. And the current academic term in Korea was adopt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Third, in order to adopt the new system, legal amendment is necessar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but in the case of higher education, individual institutions may be alternate system under the current laws.
      Finally, the prior rationale for adopting new system is to revive academic affair in February and to enhance international compatibility. However, financial burden and resistance from the education stakeholder could interfere adopting the new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걸, "한국 근대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Ⅰ): 일제시대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4

      2 황준성, "학제의 안정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7

      3 교육현신위원회, "학제개편토론회 1차~6차 자료집"

      4 정일환, "학사력 충실을 위한 학기제 개선방안" 148 : 11-15, 2007

      5 정일환, "학년도 개시시점에 관한 종합연구" 교육부 1999

      6 김성혜, "학기제 변천과정 연구" 17 : 1-21, 2005

      7 정일환, "학기제 개편에 대한 논의: 학년도 개시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39-274, 2006

      8 이혜영, "학기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9 정재영, "학기제 개선 방안"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7

      10 고전, "일본 동경대학 가을 입학제 도입과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79-98, 2012

      1 정재걸, "한국 근대학교교육 100년사 연구(Ⅰ): 일제시대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 1994

      2 황준성, "학제의 안정적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7

      3 교육현신위원회, "학제개편토론회 1차~6차 자료집"

      4 정일환, "학사력 충실을 위한 학기제 개선방안" 148 : 11-15, 2007

      5 정일환, "학년도 개시시점에 관한 종합연구" 교육부 1999

      6 김성혜, "학기제 변천과정 연구" 17 : 1-21, 2005

      7 정일환, "학기제 개편에 대한 논의: 학년도 개시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39-274, 2006

      8 이혜영, "학기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9 정재영, "학기제 개선 방안" 대통령자문 교육개혁위원회 1997

      10 고전, "일본 동경대학 가을 입학제 도입과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79-98, 2012

      11 명희진, "서울대, 9월 입학 美학기제 도입 검토"

      12 오천석, "새교육법을 비판함" 3 (3): 46-56, 1950

      13 김영철,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개편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4 박재윤, "미래사회에 대비한 학제개편 방안(Ⅱ)" 한국교육개발원 2007

      15 문교뉴스, "교육평론. 1961.8"

      16 박재윤, "교육법학 사전 편찬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006

      17 홍후조, "계획과 준비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새학사력 탐색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12-276, 2002

      18 東京大學, "入學時期の在り方に關する懇談會「報告書」" 學內廣報 2012

      19 "http://www.usline.kr/n/news_view.html?seq=1090&c=n_policy"

      20 황준성, "9월 신학년제 실행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21 황준성, "9월 신학년제 실행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4

      22 교육과학기술부, "2단계 국립대학 선진화 방안"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2 0.58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