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읍・면지역 고등학교의 배치유형에 따른 외부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10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amatic increase of population migrating from suburban area to metropolitan area which started in 1990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mong this area. Centralized population also causes decreased number of students in suburban areas wh...

      Dramatic increase of population migrating from suburban area to metropolitan area which started in 1990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mong this area. Centralized population also causes decreased number of students in suburban areas which in turn affects environmental facilities such as school and brings social issue. Additionally, compared to the alternative analysis and data regarding internal spatial arrangement of high school, there are not enough data or information on external spatial arrangement and how to construct such space.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improving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burban high school by analyzing and investigat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location, accessibility, facility status, and external spatial arrangement based on arrangement type of 8 normal high schools located across Jeju Island where the trend of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is prominent. Following is the result of such investigation. Despite the fact that high schools from suburban areas in Jeju Island possess diversity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 construction of external space is rather inconsistent as the plans regarding external space is not organiz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preparing external spaces appropriate for each school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gymnasi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학교시설의 이론적 고찰
      • Abstract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학교시설의 이론적 고찰
      • 2.1 학교시설의 선행연구
      • 2.2 학교시설의 변화
      • 2.3 학교시설의 기준
      • 2.4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시설 환경의 변화
      • 3. 제주도 읍・면지역의 인구와 학생수 변화
      • 3.1 제주도 읍・면지역의 인구변화
      • 3.2 제주도 읍・면지역의 학생수 변화
      • 4. 고등학교의 시설 현황 및 입지의 분석
      • 4.1 조사 개요
      • 4.2 시설 현황
      • 4.3 입지 분석
      • 5. 고등학교의 배치유형 및 특성
      • 5.1 배치유형 설정의 기준
      • 5.2 배치유형
      • 5.3 배치유형과 공간구성
      • 5.4 배치유형과 도로 관계
      • 6. 고등학교의 대지 밀도 및 옥외시설
      • 6.1 조사 개요
      • 6.2 배치유형별 대지 밀도
      • 6.3 배치유형별 옥외시설
      • 7. 고등학교의 배치유형에 따른 외부공간 종합분석
      • 8.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제, "학교시설의 흐름과 발전방향" (114) : 2005

      2 심한별, "학교 입지의 사회적 쟁점과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 - 서울 성산동과 대구 만촌동의 사립학교 이전(移轉) 갈등사례 분석 -" 대한건축학회 28 (28): 341-352, 2012

      3 정진주, "초등학교 돌봄교실 공간 및 조닝 사례와 개정 2015 초등 교육과정과의 상관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19-628, 2017

      4 심재춘, "청소년기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 건축의공용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화성 D중학교 계획설계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229-237, 2015

      5 유승애, "낙후 도심지역의 교육시설 재구성을 위한 연구-경북 포항시 장량?중앙지구 초등학교시설 복합화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 14 (14): 36-46, 2007

      6 이용환, "교육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기존 노후지역 학교 교사 재배치 계획 연구 - 교과교실제 전면 시행에 따른 수도권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87-97, 2016

      7 안창모, "교육공간의 질 향상을 위한 서론" 2 : 1995

      8 법제처,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 · 운영 규정"

      9 김창언, "고등학교 시설의 공간구조 특성 및 건축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21-132, 2007

      10 김미형, "고등학교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경기도내 2000년에서 2004년 건립될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12 (12): 5-16, 2005

      1 김승제, "학교시설의 흐름과 발전방향" (114) : 2005

      2 심한별, "학교 입지의 사회적 쟁점과 결정과정에 대한 연구 - 서울 성산동과 대구 만촌동의 사립학교 이전(移轉) 갈등사례 분석 -" 대한건축학회 28 (28): 341-352, 2012

      3 정진주, "초등학교 돌봄교실 공간 및 조닝 사례와 개정 2015 초등 교육과정과의 상관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19-628, 2017

      4 심재춘, "청소년기의 특성을 고려한 학교 건축의공용공간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화성 D중학교 계획설계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3 (13): 229-237, 2015

      5 유승애, "낙후 도심지역의 교육시설 재구성을 위한 연구-경북 포항시 장량?중앙지구 초등학교시설 복합화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 14 (14): 36-46, 2007

      6 이용환, "교육구조의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는기존 노후지역 학교 교사 재배치 계획 연구 - 교과교실제 전면 시행에 따른 수도권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87-97, 2016

      7 안창모, "교육공간의 질 향상을 위한 서론" 2 : 1995

      8 법제처,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 · 운영 규정"

      9 김창언, "고등학교 시설의 공간구조 특성 및 건축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21-132, 2007

      10 김미형, "고등학교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경기도내 2000년에서 2004년 건립될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12 (12): 5-16, 2005

      11 양금석, "경남지역 고등학교의 교사배치와 외부공간 구성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19-26, 2008

      12 이화룡, "都市開發에 따른 학교신설 要因에 관한 硏究" 한국교육시설학회 16 (16): 3-12, 2009

      13 성은영, "2000년 이후 중․고등학교 시설의 건축 특성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시설학교’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시설학회 19 (19): 25-3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