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공간에 관한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tial Space Expressed through Installation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8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설치미술은 다양한 장르와 인접분야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실제적인 시간과 공간을 작품의 조형요소로 삼음으로써 예술을 삶과 만나게 하고, 또 다른 공간으로 구조화 시킨다. 이러...

      설치미술은 다양한 장르와 인접분야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실제적인 시간과 공간을 작품의 조형요소로 삼음으로써 예술을 삶과 만나게 하고, 또 다른 공간으로 구조화 시킨다. 이러한 설치미술은 인간의 참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세계의 종합적인 감각체험으로 정립되어 공간의 예술적 감성을 체험적 공간으로 확산시킨다. 따라서 설치미술의 공간 표현 경향과 그 공간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 연출의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적 공간화 표현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설치미술 작품속의 공간을 조사한 결과, 오브제의 요소로서 공간으로 확장하여 사건적으로 발생하는 상황과 인간의 참여로 구성하고 있다. 이는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고 예술자체를 일상적 환경의 공간 속으로 접근시켜 그 본질과 영역을 확장하고, 흥미를 유발하는 다채로운 체험 공간을 연출해 새로운 예술적 공간으로 표현되고 있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stallation art gets art to meet life and structuralizes it as another space by covering a variety of genres and crossing boundaries of adjoining areas freely and by making actual time and space the formative elements of its work. Installation art ha...

      Installation art gets art to meet life and structuralizes it as another space by covering a variety of genres and crossing boundaries of adjoining areas freely and by making actual time and space the formative elements of its work. Installation art has been defined as the comprehensive sensory experience of the physical and mental worlds through humans’ participation, and the artistic sensitivity of a space has been spread into an experiential spac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s of experiential space in installation art were examined in order to suggest the trend of spatial expression of installation art and the direction for the experiential space expressed through it. When the space in the works of installation art was investigated, the element of objets was expanded into a space and consisted of the situation occurred accidently and users’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tallation art creates a new space and expands its essence and areas by making art itself approach the space of daily environment and expresses the space as a new artistic one by creating an interesting and diverse experiential sp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설치미술과 공간의 관계
      • 2.1 설치미술의 일반적 고찰
      • 1.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설치미술과 공간의 관계
      • 2.1 설치미술의 일반적 고찰
      • 2.2 설치미술에서의 공간의 개념
      • 2.3 설치미술 공간의 특성
      • 2.4 설치미술과 공간의 상호작용성
      • 3. 설치미술에서 나타나는 체험 공간
      • 3.1 체험공간의 의미
      • 3.2 설치미술에서의 공간체험
      • 3.3 체험공간의 표현특성
      • 4. 설치미술적 체험 공간 사례 분석
      • 4.1 사례분석 벙위 및 방법
      • 4.2 사례분석
      • 4.3 종합분석
      •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난지, "현대미술의 풍경" 한길아트 2005

      2 나희선,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설치 미술적(Installation) 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2002

      3 이재석,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Installation'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2001

      4 이선민, "현대 설치미술의 공간 구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2011

      5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6 김명환, "아트&디자인 디자인의 개념 확대" 디자인로커스 2005

      7 조정현, "실내구성에 있어서 공간체험의 연출에 관한연구 -극적 다 체험을 위한 비일상적 유희 공간을 중심으로" 홍익대 2001

      8 서성록, "설치미술 감상법" 대원사 1995

      9 조은길, "공공 공간에 있어서 경험디자인의 경향과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인제대 2009

      10 박민선, "공간 상관구조에 나타나는 공간체험 형성에 관한연구" 국민대 2008

      1 윤난지, "현대미술의 풍경" 한길아트 2005

      2 나희선,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설치 미술적(Installation) 경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 2002

      3 이재석, "현대 실내공간에 나타난 ‘Installation'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2001

      4 이선민, "현대 설치미술의 공간 구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2011

      5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6 김명환, "아트&디자인 디자인의 개념 확대" 디자인로커스 2005

      7 조정현, "실내구성에 있어서 공간체험의 연출에 관한연구 -극적 다 체험을 위한 비일상적 유희 공간을 중심으로" 홍익대 2001

      8 서성록, "설치미술 감상법" 대원사 1995

      9 조은길, "공공 공간에 있어서 경험디자인의 경향과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인제대 2009

      10 박민선, "공간 상관구조에 나타나는 공간체험 형성에 관한연구" 국민대 2008

      11 김예진, "경험디자인을 통한 실내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연구 -인지적 접근에 의한 경험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경원대 2007

      12 "http://www.kunsttrip.net/critic2.htm"

      13 "http://www.dezeen.com/2008/07/06/rebirth-by-arne-quinze/"

      14 "http://pieta999.blog.me/100060742405"

      15 "http://blog.naver.com/wild9s?Redirect=Log&logNo=4805215"

      16 "http://artpoli.tistory.com/16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