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땅밀림지 규모와 지질특성 기반의 땅밀림지 영향인자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57개의 땅밀림지를 대상으로 땅밀림의 내부요인인 지질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인자를 찾아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발생한 57개소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발생된 57개의 땅밀림지를 대상으로 땅밀림의 내부요인인 지질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인자를 찾아내기 위해 실시하였다. 발생한 57개소의 땅밀림지 규모는, 평균 폭 208.2 m (52.8m ~ 1,001.3m), 평균길이 200.3 m (22.1m ~ 920.6m), 평균깊이 3.9 m (0.2m ~ 47.8m)이었다. 땅밀림지의 지질 시대는 백악기가 23개소(약 40.4%)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경상누층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땅밀림이 발생한 피해지의 폭과 길이, 길이와 깊이는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지층과 주 구성암석 그리고 누층군과 지층, 주 구성암석과는 상관분석결과 1% 수준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땅밀림지는 퇴적암지역이 가장 많았다. 땅밀림 발생유형은 붕적토땅밀림, 풍화암땅밀림, 점질토땅밀림, 암반땅밀림 순으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땅밀림이 우려되는 지질적인 요인을 가진 지역에 대해서는 개발 등에 대한 신중한 검토와 사전 조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verage width of the 57 land creeping areas was 208.2 m, ranging from 52.8 m to 1,001.3 m, the average length was 200.3 m ranging from 22.1 m to 920.6 m, and the average depth was 3.9 m, ranging from 0.2 m to 47.8m (mean 3.9 m). Most land creeping...

      The average width of the 57 land creeping areas was 208.2 m, ranging from 52.8 m to 1,001.3 m, the average length was 200.3 m ranging from 22.1 m to 920.6 m, and the average depth was 3.9 m, ranging from 0.2 m to 47.8m (mean 3.9 m). Most land creeping has most occurred in the geology (23 areas, about 40.4%) formed in the Cretaceous period and in the Gyeongsang nod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t the 1% level between the size and length of land creeping areas, between length and depth of land creeping areas and between major bedrocks and stratum layers. Sedimentary rocks was most dominant in land creeping areas. The type of land creeping was the highest in colluvial debris land creeping, followed by weathered rock land creeping, mud clay land creeping and bedrock land creeping. The result indicates that careful consideration with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are needed prior to development in potential land creeping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조사지 개황 및 연구방법
      • 초록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조사지 개황 및 연구방법
      • 결과 및 고찰
      • 1. 땅밀림지의 지질 및 주 구성 암석
      • 2. 타 지층 및 관입암의 유무, 암석의 풍화정도, 지질구조
      • 3. 땅밀림지의 주향 및 불연속면
      • 4. 땅밀림지 유형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홍규, "화강암 산지에서 발생하는 표층붕괴의 특징과 사면 안정성 해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2 박재현, "우리나라 37개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540-551, 2019

      3 박재현,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Ⅰ)" 한국산림과학회 94 (94): 129-134, 2005

      4 박재현, "땅밀림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지형 및 지질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588-597, 2015

      5 김춘식, "땅밀림 산사태 복원지내 유기물층 및 토양층의 이화학적 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9 (49): 27-35, 2015

      6 전병추, "땅밀림 비탈면내 집수정 설치 효과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29 (29): 123-136, 2019

      7 박재현, "내삼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의 관한 분석(l)-지형 및 지질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 92 (92): 246-253, 2003

      8 박재현, "나이테 분석을 통한 땅밀림 발생 시기 추정" 한국산림과학회 109 (109): 62-71, 2020

      9 Park JH, "What’s land creep" 21 : 96-107, 2018

      10 Stoffel M, "Tree-ring in natural hazards research an overview" Copernicus Publications on behalf of 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8 (8): 187-202, 2008

      1 김홍규, "화강암 산지에서 발생하는 표층붕괴의 특징과 사면 안정성 해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2 박재현, "우리나라 37개 땅밀림지의 지질 및 토양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8 (108): 540-551, 2019

      3 박재현, "매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Ⅰ)" 한국산림과학회 94 (94): 129-134, 2005

      4 박재현, "땅밀림 산사태의 발생특성에 관한 분석−지형 및 지질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산림과학회 104 (104): 588-597, 2015

      5 김춘식, "땅밀림 산사태 복원지내 유기물층 및 토양층의 이화학적 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9 (49): 27-35, 2015

      6 전병추, "땅밀림 비탈면내 집수정 설치 효과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29 (29): 123-136, 2019

      7 박재현, "내삼리 땅밀림형 산사태의 발생특성의 관한 분석(l)-지형 및 지질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산림과학회 92 (92): 246-253, 2003

      8 박재현, "나이테 분석을 통한 땅밀림 발생 시기 추정" 한국산림과학회 109 (109): 62-71, 2020

      9 Park JH, "What’s land creep" 21 : 96-107, 2018

      10 Stoffel M, "Tree-ring in natural hazards research an overview" Copernicus Publications on behalf of the European Geosciences Union 8 (8): 187-202, 2008

      11 Davis WM, "The geographical cycle" 14 : 481-504, 1899

      12 Jau JG, "The effects of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on landslide and land-creep" 89 : 323-334, 2000

      13 Park JH, "The actual conditions and management of land creep in Korea" 19 : 40-50, 2016

      14 Matsukura Y, "Stability analysis for soil slips of two gruss slope in southern abukuma mountains Japan" 4 : 229-239, 1983

      15 Culling WEH, "Soil creep and the development of hillside slopes" 71 : 127-161, 1963

      16 Anderson MG, "Slope stability" Wildly and Sons 210-, 1987

      17 Varnes DJ, "Slope movement types and process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1-33, 1978

      18 Lee YG, "Slaking, swelling and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of Pohang mudrocks" 12 : 33-42, 1996

      19 Montgomery DR, "Regional test of a model for shallow landslide" 12 : 943-955, 1998

      20 GIGAM, "Marine geological map of Korean continental shelf"

      21 Woo BM, "Landslide-mudflow research in China" 77-78, 1992

      22 Tomio HZ, "Landslide disaster in temanggung, indonesia" 42 : 57-59, 1990

      23 Hiroshi K, "Land creep of Japan" 257-, 1955

      24 An GS, "Introduction to petrology" Bookshill 458-, 2017

      25 Uhm SH, "Geological survey explosion manual (Pohang)" Korea Geographical Survey 1-21, 1964

      26 Choi K,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nd creep in Korea" 21 : 108-117, 2018

      27 Takaya S, "Facts of land creep" Nokdo Publication 255-, 2017

      28 Keijourou N, "Disaster conference, land creep" 1 : 5-7, 1964

      29 Woo B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Hyuseok-dong (Ⅰ)-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urface displacement" 85 : 565-570, 1996

      3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 precedent investigation of the foreign and in the country status of landslide by land creeping, rehabilitation and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153-,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