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과학영재교육의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research for introducing science-gifted children in middle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614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ntroduce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n middle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need and the institutional content of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ntroduce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n middle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need and the institutional content of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in middle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and scientific teachers who were involved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of Chonnam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
      Most of science teachers in middle school have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preschool education and the special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They also considered the proper guidance program to the gifted. However, most of schools have not provided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due to lack of the program and teacher's excessive work.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was required in both national and individual aspects. In the national aspect,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 gifted would have the possibility of making the high value of information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by developing their latency it would help them evoke self-realization.
      Many gifted students have complained about the club activities ignoring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They represented their opinions that the school education does not provide the chance to develop their abilities in math and science. Thus the school should offer the education programs with high quality to stimulate their creative thinking.
      Gifted students want to take special classes which are designed to accelerate their grades and to facilitate their competence. For that reason, educational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in regular schools to enhance their possibility.
      Professional division for "gifted children's scienc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set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in order to guide incumbent teachers how to teach the gifted, and in order to administrate training programs for incumbent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ABSTRACT = v
      • I. 서론 = 1
      • 1. 과학영재 교육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목차
      • ABSTRACT = v
      • I. 서론 = 1
      • 1. 과학영재 교육의 필요성 = 1
      • 2. 연구의 목적 = 2
      • II. 이론적 배경 = 5
      • 1. 과학영재의 정의 및 특성 = 5
      • 2. 과학영재 의 판별 = 10
      • 가. 과학 영재 판별의 원칙 = 10
      • 나. 과학 영재 판별의 절차 = 11
      • 3.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방법 = 13
      • 가. 특수 학교의 설립 = 13
      • 나. 일반 학교 내에서의 과학 영재 교육 방법 = 14
      • 4. 과학영재 교육의 실태 = 17
      • 5. 영재 교육 정책의 세계적인 추세 = 22
      • III. 연구 방법 = 25
      • 1. 연구대상 = 25
      • 2. 조사도구 = 25
      • 3. 자료처리 = 26
      • IV. 연구 결과 및 분석 = 27
      • 1. 중학교 과학 영재 교육의 필요성 = 27
      • 가. 과학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의견 = 27
      • 나. 과학 영재들의 학교 생활에 대한 반응 = 28
      • 다. 수학·과학적 재능 개발을 위한 학교 교육에 대한 반응 = 31
      • 라. 과학 영재에 대한 효과적 지도 여부 = 32
      • 2. 과학 영재 교육의 제도적 기초 연구 = 33
      • 가. 과학 영재에 대한 특별 배려 = 33
      • 나. 능력별 집단 구성에 대한 의견 = 34
      • 다. 속진제 에 대 한 의 견 = 35
      • 라. 과학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의견 = 36
      • 마. 특별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 38
      • 바. 과학 영재 교육 실시 방안에 대한 의견 = 38
      • 사. 목포 상설 과학영재교실 운영에 대한 의견 = 40
      • 아. 과학중학교 설 립 에 대 한 의 견 = 40
      • V. 논의 = 42
      • VI. 결론 = 46
      • 참고문헌 = 48
      • 국문초록 = 50
      • 부록 1. 교사설문지 = 52
      • 부록 2. 학생설문지 = 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