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나라와 프랑스의 여성 헤어스타일 비교 연구  :  17 · 18세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나라와 프랑스 두 나라 여성의 헤어스타일을 살펴보고, 양국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청나라와 프랑스가 정치 · 사회 · 문�...

      본 연구는 청나라와 프랑스 두 나라 여성의 헤어스타일을 살펴보고, 양국의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청나라와 프랑스가 정치 · 사회 · 문화 · 사상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던 17 · 18세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청나라 17세기 만주족 여자는 이파두(二把頭), 전두(纏頭)를 하였고, 한족 여자는 목단두(牧丹頭), 하화두(荷化頭), 발우두(鉢盂頭)등을 하였다. 18세기에는 장계(長?), 평계(平?) 그리고 기두(旗頭)등으로 불리던 양파두(兩把頭)가 대표적이었다. 이것은 일자두(一字頭), 가자두(架子頭), 파아두(把兒頭)라고도 불리었으며, 양파두가 점차 높고, 크고, 화려해지면서 꽃으로 장식한 대랍시(大拉翅)라는 것이 생겨났다.
      프랑스 17세기 머리모양의 특징은 대부분의 머리카락을 묶어서 정리하는 것이다. 초반에는 머리카락을 앞에서 뒤로 높게 빗어 올리는 머리형이 유행하였고, 루이 14세 시대에 들어와서 퐁탕주(fontange)라는 기교적인 헤어스타일이 나타났으며, 중반에는 금 · 은 · 철사와 빗을 사용하여 양 옆으로 머리를 불룩하게 하거나, 타래머리를 사용하여 컬된 머리가 숱이 많아 보이게 하는 머리형이 나타났다. 또한 후반에는 짧고 손질이 간편한, 전체적으로 컬이 들어간 헐리-벌리(hurly-burly, hurluberlu)라는 모양으로 바뀌었다. 18세기 헤어스타일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가발과 파우더를 뿌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초반에는 풍성한 컬 위에 작고 얇은 천으로 만든 캡을 썼으며, 중반에는 퐁파두르 부인의 영향으로 앞에서 뒤쪽으로 빗질한 단정하고 부드러운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18세기 중반부터 커지기 시작한 머리는 18세기 말에 이르자 크고, 화려하고, 정교해졌으며 때론 괴이하기 까지 한 헤어스타일이 생겨날 만큼 다양해졌다.
      양국 여성 헤어스타일의 유사점은 다음과 같았다.
      1. 크고 높고 화려하게 치장된 헤어스타일이 유행되었다.
      2. 큰 헤어스타일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청나라와 프랑스 모두 모발용 기름을 사용하였다.
      3. 헤어스타일 자체가 크고 화려하였기 때문에 쓰개류가 다양하게 발달하지 못했다.
      4. 스타일을 크게 부풀리기 위해 가발을 사용하였다.
      5. 머리 장식물 중에는 미리 만들어 놓고 사용할 때 올리기만 하는 고정된 장식물이 존재하였다.
      양국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았다.
      1. 스타일에 있어서 청나라는 전체적으로 통일된 형태를, 프랑스는 디테일한 장식을 더 중요시 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머리 장식에 있어서 청나라는 생화와 비녀를 장식하였고, 프랑스는 작은 조형물, 살아있는 새, 식물 등등 다양한 종류의 장식을 사용하였다.
      3. 머리 고정에 있어서 청나라는 비녀를 사용하였고 프랑스는 포마드 기름을 사용하였다.
      4. 프랑스에서는 컬이나 웨이브 등이 애용되었으나 청나라에서는 그런 것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5. 프랑스에서는 다양한 색상의 파우더를 사용하였으나 청나라에서는 파우더를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6. 헤어스타일 변화에 있어서 청나라는 왕조의 교체와 서로 다른 민족의 융합에 영향을 받았으며, 프랑스는 당시에 주류를 이룬 예술 사조 및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같은 시대에 지리적인 변인에 따라서 어떠한 헤어스타일이 발생되고 변화했는지 알 수 있었고, 인종, 사회, 문화적 요인들이 미용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단순 자료들을 비교 분석하는 소극적인 연구에 그쳤다. 이에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이 발생한 원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심도 있는 분석 또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g Dynasty and France of the 17th century and 18th century is a period when various hair styles have developed and changed than any other times. In spite of topographical difference, these two countries showed many common features. First, high...

      The Ch'ing Dynasty and France of the 17th century and 18th century is a period when various hair styles have developed and changed than any other times. In spite of topographical difference, these two countries showed many common features. First, higher and more gorgeous hair styles were preferred. Second, hair oil was used to form hair style. Third, various hats were developed fit for voluminous and gorgeous hair style. Fourth, fur and silk were used to make wig instead of insufficient human hair. Fifth, ready-made ornaments were used. There were differences also on hair style between two countries. First, general harmony was made much of in the Ch'ing Dynasty, on the other hand, ornamentation in details and curl and wave generalized from Rome, was stressed in France. Second, a real flower and an ornamental hair pin were mainly used in the Ch'ing Dynasty, on the other hand, various ornaments were used in France. Third, the hair style of the C'hing Dynasty was affect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y and the amalgamation of different ethnic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hair style of France was affected by the trend of thought in those days. Fourth, the French used hair powder absent in the Ch'ing Dynas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air style of one society is influenced by various social and culutral factors but has limitation of simple comparative study, so further study about factors should be do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