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고서] 明末淸初 時期의 戱曲活動과 文化社會的 背景에 관한 硏究-江蘇地域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1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戱曲史的으로 말하자면 明末淸初는 文人傳奇의 발흥기와 발전기에 걸쳐 있어, 중국 고전희곡사상 최전성기라 할 것이다. 많은 작가와 작품이 배출되어 공연활동 또한 그만큼 왕성하였다. ...

      戱曲史的으로 말하자면 明末淸初는 文人傳奇의 발흥기와 발전기에 걸쳐 있어, 중국 고전희곡사상 최전성기라 할 것이다. 많은 작가와 작품이 배출되어 공연활동 또한 그만큼 왕성하였다. 특히 이 시기엔 중국 희곡사상 희반을 중심으로 한 희곡 활동이 유례없이 활발하였다. 특히 명말청초에 개인적인 가정극단(희반)이 성행하게 되어 수많은 배우가 길러졌으며 사인들 간에 교제의 수단으로 가반이 동원되었다.
      명말 청초의 희반 형성의 역사와 희반을 양성한 계층들에 관한 연구가 어느 정도 진척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張發穎의 두 권의 저서인 ≪中國戱班史≫와 ≪中國家樂戱班≫은 이 방면의 중요한 성과물이다. 그는 明代와 淸初에 걸쳐 家樂戱班의 발전개황을 세단계로 구분하면서, 嘉靖隆慶年間(1522-1572)을 초기단계로, 萬曆崇禎年間(1573-1644)을 發展繁榮期로, 그리고 淸初에서 乾隆年間(1736-1795)까지를 차츰 쇠퇴해가는 국면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만력 숭정 연간에 그렇게 많은 가정 희반이 우후죽순처럼 출현하게 된 궁극적인 동기나 배경은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히 남는다.
      여기서 우리는 가정 희반이 가장 번성했던 시기가 바로 명말인 점에 유의하는 한편, 희곡 활동 역시 가장 활발하였던 점을 감안하면, 그 이전시기까지 만해도 희곡을 그다지 중시하고 않았고 더욱이 정통시문과는 다른 별개의 분야로 치부해왔던 士人들의 태도에 크나큰 변화가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명말청초의 희곡활동을 통해 바로 희곡에 대한 사인들의 태도나 인식을 달리하게 된 궁극적인 배경이 무엇인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사인들의 희곡에 대한 인식기제를 점검하여 희곡이 끝내 대아지당에 오르지 못한 이유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的主旨在于探討明末淸初時期戱曲活動繁盛的背景和原因.明末淸初時期慾望和放縱的表露達到了極點.然而這只不過是一種表面現象.從深層次看,士人們參與戱曲活動的動機與當時盛行的...

      本文的主旨在于探討明末淸初時期戱曲活動繁盛的背景和原因.明末淸初時期慾望和放縱的表露達到了極點.然而這只不過是一種表面現象.從深層次看,士人們參與戱曲活動的動機與當時盛行的心學有很密切的關係.陽明心學成爲積極鼓勵士人們參與戱曲創作與舞臺表演的思想基礎.反過來說,作爲哲學思想的心學給明末淸初的士人們提供了參加戱曲活動的名分,而使他們得到了通過參加戱曲活動充分發揮他們求樂適志的機會.當時士人們認爲參與戱曲活動可以得到極大的享受.不過,士人們把戱曲活動局限在以追求個人的求樂適志爲最終目標.而這種局限性後來對戱曲在中國文學史上的地位和方向産生了極大的影響.戱曲跟小說不能登上大雅之堂的根本原因就在于明末淸初士人們把一切戱曲活動放在了求樂適志方面.陽明心學給明末淸初之士人們帶去了思想上的解放,但同時也制約了戱曲的發展方向.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27집

      제27집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Ⅰ. 緖言 Ⅱ. 戱曲活動의 樣相 1. 明末淸初의 희곡문학 개황 2. 戱曲公演活動의 空間과 時間 3. 배우와 희반(극단) 4. 士人階層의 戱曲活動 ...

      Ⅰ. 緖言
      Ⅱ. 戱曲活動의 樣相
      1. 明末淸初의 희곡문학 개황
      2. 戱曲公演活動의 空間과 時間
      3. 배우와 희반(극단)
      4. 士人階層의 戱曲活動
      Ⅲ. 明末淸初 文化社會的 氣風
      1. 放縱과 慾望의 極大化
      2. ‘奇眞’의 세계 추구
      Ⅳ. 戱曲과 心學
      1. 明末淸初의 희곡창작과 논리
      2. 明末淸初의 心學과 戱曲
      3. 折子戱와 度曲의 대두
      4. 小結
      Ⅴ. 結論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