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2551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요약 1) 증발에 사용된 어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민 학교 아동들은 수조의 물에서는 '없어졌다' , 옷 말리기에서는 '말랐다'는 어휘를 지배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이 타월의 손 모...

      1. 요약
      1) 증발에 사용된 어휘
      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민 학교 아동들은 수조의 물에서는 '없어졌다' , 옷 말리기에서는 '말랐다'는 어휘를 지배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종이 타월의 손 모양 찍기에서는 '말랐다'와 '없어졌다' 를 같이 사용했다. 이와 같이, 아동들은 상황에 따라 어휘 사용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상황 의존적(Context Dependence)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조의 물에서 사용된 '없어졌다'라는 어휘는 비물질화된 느낌과 보이지 않는 마지막 상태를 나타내는 애매모호한 느낌이 드나, 후에 비나 이슬로 돌아온다고 하여 보이지 않는 마지막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2) 증발된 물의 소재
      많은 아동들은 상황에 관계없이 증발된 물은 하늘로 올라갔다고 언급하는 상황 독립적(Context Independence)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비율은 적으나, 고학년이 증발된 물의 소재에 관해서 좀 더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3) 증발의 요인
      대부분의 아동들은 상황에 관계없이 물의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열이나 공기/바람/통풍 중 어느 하나를 언급하였으며, 고학년의 일부 아동이 열과 공기/바람/통풍을 모두 언급하였다. 따라서 증발의 요인에 관해서는 아동들이 비교적 상황 독립적(Context Independence)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비율은 적으나, 고학년이 좀 더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4) 증발된 물의 회수
      증발된 물이 돌아올 수 있다고 생각한 아동들은 저, 중, 고학년에서 각각 25%, 13%, 63%로, 비, 안개, 이슬로 순환되어 돌아오는 과정을 이해했으나, 전체 아동들 중 69%, 75%, 38%는 증발된 물이 돌아올 수 없다고 응답했다.
      5) 물의 변화에 관한 생각
      대부분의 아동들은 물이 순환 과정에서 상태는 변하더라도 보존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있었으나, 물의 물리적 변화를 인식하고 있는 아동들의 비율은 저, 중, 고학년에서 각각 28%, 62%, 69%로 저학년에서는 낮으나, 중, 고학년에서는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2. 결론
      지금까지 논의한 증발과 응결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증발과 응결에 대한 학생들의 선입 개념은 다양하고, 고학년일수록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과학적 개념을 갖고 있는 비율은 낮았다. 물의 증발을 설명하는 어휘의 사용에서 '없어졌다' , '말랐다', '위로 갔다' , '하늘로 갔다' 등을 사용하고, 증발된 물의 소재로 '공기 중', '하늘', '구름', '태양'을 언급하여 선입 개념이 다양했다. 증발된 물의 소재로 과학적 개념인 '공기 중'은 저, 중, 고학년이 각각 6%, 5%, 20%를 나타냈으며, 물의 증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저, 중, 고학년에서 열원을 58%, 73%, 79%, 공기/바람/통풍은 6%, 4%, 29%를 나타내어 고학년일수륵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증발된 물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된 물이 돌아을 수 있다고 한 아동들은 저, 중학년이 각각 25%, 13%, 고학년이 63%를 나타내어, 고학년이 비교적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물의 증발 현상에서 물리적 변화를 인식하고 있는 아동들은 저학년이 38%, 중, 고학년에서 각각 63%, 56%를 나타내어 중, 고학년이 비교적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2) 물의 증발을 설명하는 어휘의 사용은 상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상황 의존적 경향을 보였으나, 증발된 물의 소재와 증발 요인에 대해서는 상황에 관계없이 특정 선입 개념을 가지고 있는 아동들이 많아 상황 독립적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아동들이 자신의 일상 경험과 관련이 깊은 개념에 대해서는 비교적 선입 개념이 다양하고 상황 의존적이었으나, 생소한 개념에 대해서는 선입 개념이 특정 사고 유형에 집중되는 상황 독립적 경향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and then to verify the types of the conception. Forty-eight children from six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by st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and then to verify the types of the conception. Forty-eight children from six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in Seoul and other provinces.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aire and the interview. This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basic study, the preliminary study, and the main study. The materials collected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ren's id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vocabulary used to describe the evaporation phenomena var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and the scientific term "evaporation" was more frequently used by the older groups.
      2. Most children answered that the last location of water were air/sky/cloud. Air/cloud which represents the scientific conception of the location of water were mentioned by children of all ages. The higher the grade of the children were, the more scientific conception the children mentioned, however.
      3. Most children referred to the heat as the factor of evaporation. Wind, on the other hand was mentioned by less than 10% of lower graders, and by about 30% of higher graders.
      4. The result of asking children whether they thought it was possible to get the evaporated water back showed that about 70% of lower graders denied the possibility of the water being reversible. About 60% of higher graders, however, recognized that the water will be returned as rain or condensation. This increase may be associated with formal teaching of water cycle.
      5. In the ideas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some of the children have supernatural ideas and animism, which are most younger chilren's characteristic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