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머니에 의한 중도 뇌성마비 유아의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 효과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ects of mother's intervention on the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Effects of mother's intervention on the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도 뇌성마비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해 어머니가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들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중재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 연구는 중도 뇌성마비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해 어머니가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장애 유아들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과 어머니의 중재 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비상징적 의사소통을 하는 만 4-6세의 취학 전 중도 뇌성마비 유아와 그의 어머니 3쌍을 대상으로 비동시적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로 이루어졌다. 어머니 면담과 관찰을 통해 장애유아에 대한 자료를 수집ㆍ분석한 후, 어머니와 함께 중재 계획을 수립하여 유치원과 가정에서 총 12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유아들의 신체적, 인지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는 중도 장애 유아들의 의사소통 기술(사물 및 행위 요구하기와 거절하기)의 발생 빈도를 향상시켰으며, 어머니들의 중재 만족도 또한 높게 평가되었다. 이 연구는 그림이나 전자적인 기기를 이용한 의사소통 도구와 상징체계의 적용에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의사소통 중재 방법과 함께 어린 유아기의 초기 의사소통 접근의 한 가지 방법으로 비도구체계인 비상징적인 수단(눈 응시, 손짓, 몸짓 체계, 음성 등)으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주제어>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도 뇌성마비 유아, 대화상대자(어머니) 의사소통 중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유아의 칩톡 을 이용한 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1999

      2 "환경의 구조화가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아동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1996

      3 "환경 구조화가 정신지체 아동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39 (39): 217-237, 2004

      4 "특수유아교육 일반교사들을 위한 통합 교육지침서" 학지사 1998

      5 "중도장애아를 위한 언어 교육 기능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육대학 연구소 103-119, 1997

      6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지도" 국립특수교육원 1999

      7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8 "장애 유아의 사회성ㆍ의사소통ㆍ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3-47, 2006

      9 "장난감 중심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영아-어머니의 주도성과 반응성" 17 (17): 19-35, 2004

      10 "자폐아의 수화습득에 관한 사례연구" 1986

      1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유아의 칩톡 을 이용한 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1999

      2 "환경의 구조화가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아동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1996

      3 "환경 구조화가 정신지체 아동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39 (39): 217-237, 2004

      4 "특수유아교육 일반교사들을 위한 통합 교육지침서" 학지사 1998

      5 "중도장애아를 위한 언어 교육 기능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육대학 연구소 103-119, 1997

      6 "장애학생을 위한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지도" 국립특수교육원 1999

      7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8 "장애 유아의 사회성ㆍ의사소통ㆍ활동 참여 증진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3-47, 2006

      9 "장난감 중심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이는 영아-어머니의 주도성과 반응성" 17 (17): 19-35, 2004

      10 "자폐아의 수화습득에 관한 사례연구" 1986

      11 "손짓기호체계와 그림의사소통판을 이용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뇌성마비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47 (47): 265-289, 2005

      12 "사진 교환 의사소통 체계(PECS)를 이용한 환경중심 의사소통 중재가 자폐유아의 사물 요구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2001

      13 "비구어 뇌성마비 유아의 의사소통 특성" 18 (18): 213-226, 1997

      14 "블리스 심볼의 사용이 중증 뇌성마비유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1993

      15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연구방법론 고찰" 8 (8): 144-167, 2003

      16 "보완 대체 의사소통체계 사용자의 삶의 질에 관한 논의" 29 : 83-101, 1997

      17 "approach to planning in-service training in manual signs for an entire public school staff" 38-49, 1990

      18 "What do parents of children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want?" 31 (31): 86-114, 1996

      19 "Using voice output devices to increase initia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23 (23): 191-199, 2000

      20 "The importance of responsivity in developing contingent exchanges in beginning communicators" Paul H. Brookes 59-95, 2002

      21 "The effects of parents implemented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ho have autism" 11 : 423-446, 2000

      22 "Teaching parents of preschoolers at high risk: Strategies to support language and positive behavior" 22 : 191-212, 2002

      23 "Signs of the week A functional approach to manual sign training" 29-37, 1990

      24 "Shifting the Focus" 30 (30): 41-50, 1995

      25 "Responses and sustained interactions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m" 33 : 115-121, 2003

      26 "Prompting the acquisition and generation of conversation skills by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4 : 94-103, 1988

      27 "Profiling communication and symbolic abilities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hood Communication Disorders" 23-32, 1993

      28 "Profiles of communicative and cognitive-social abilities in autistic children" 27 : 367-377, 1984

      29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with exceptional students" 1988

      30 "Prelinguistic dynamic assessment: A transactional perspective" Paul H. Brookes 285-312, 1998

      31 "Planned activities training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20 : 406-427, 1996

      32 "Parental feelings" 67 (67): 176-178, 1991

      33 "Parent involvement in a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 A descriptive analysis of parent demographics and level of involvement Psychology in the Schools" 255-263, 1993

      34 "Overview of the emergence of early AAC behaviors : Progression from communication to symbolic skills" Paul H. Brookes 25-57, 2002

      35 "Nonverbal communication in two-and three-year-old children with autism" 27 : 677-696, 1997

      36 "Nonsymbolic communication" Merrill/Prentice-Hall 409-451, 2000

      37 "Modeling Procedures for increased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communication aid users" 301-306, 1986

      38 "Intensive outpatient behavioral treatment of primary urinary incontinence of children with autism" 20 (20): 98-105, 2005

      39 "Identification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i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14 (14): 102-114, 1998

      40 "Elements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and early interactional processes In M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with deaf-blindness Communication Skills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eaf-Blindness" 57-102, 1987

      41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Macmillan/ Merrill 115-172, 2000

      42 "Developing generalized teaching skills in mothers of autistic children" 13 : 13-37, 1991

      43 "Comparition of unimodal and multimodal AAC technique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9 : 83-94, 1993

      44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young nonspeaking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PartⅢ-modes of communication" 125-133, 1985

      45 "Communication profiles of two types of gesture using non-verbal persons with severe to profound mental retardation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94-308, 1991

      46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A review of treatment efficiency" 32 : 373-396, 2002

      47 "Communication and language intervention series: 7" Paul H. Brookes 1998

      48 "Clinical assessment of emerging language: How to gather evidence and make informed decisions" Paul H. Brookes 186-198, 1998

      49 "Causes and effects in languag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217-253, 1992

      50 "Autism spectrum disorders: A transac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 Paul H. Brookes 2000

      51 "Augmentative communication and literacy" Paul H. Brookes 333-367, 2000

      52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Paul H. Brooks 2005

      53 "Are we professionalizing parents? Weighing the benefits and pitfalls" 25 : 133-139, 1987

      54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al multiple baseline design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the (the): 257-259, 1981

      55 "A continuum of AAC languag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beginning communicators" Paul H. Brookes 1-23, 2002

      56 "A comparative analysis on skill acquisition and preference using two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ids" 169-178, 1993

      57 "A best practice or forgotten practice?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1993199-211

      58 "A Manual for The Dynamic Assessment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