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호서사림 송준길가의 여성문학전통과 생활문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60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기호학파 가운데 호서지역의 사림으로 그 위상을 굳건히 한 동춘당 송준길가의 여성들이 300여 년간 성취해 놓은 문학과 생활문화 유산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기호학파 가운데 호서지역의 사림으로 그 위상을 굳건히 한 동춘당 송준길가의 여성들이 300여 년간 성취해 놓은 문학과 생활문화 유산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호서사림 송준길가의 여성문학 전통을 살펴보고자 한다. 송준길의 증손부 김호연재는 이미 학계의 유명 여성 인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김호연재는 동춘당가로 시집 온 이후 『오두추도』․『호연재유고』2책,『자경편』등의 문집을 남겼고, 호연재의 증손부 청송심씨는 시증조할머니 김호연재의 시문학을 『증조고시고』상 ․ 하 2책의 방대한 분량으로 한글로 음사 ․ 번역한 시집을 필사하였다. 그리고 호연재의 남성 후손들은 이 할머니의 생애와 주검을 위로하는 <사실기> ․ <유사> ․ <천장시제문> ․ <제문>등을 썼는데, 호연재의 9세손 송용억은 호연재의 한시 작품과 이 기록들을 함께 엮어 『호연재유고』를 발간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호연재의 아들 송익흠에 의해 엮어진 한글편지 『선세언독』과 낱장 한글간찰은 진주정씨(1604-1683) ․ 배천조씨(1625-1683) ․ 안정나씨(1647-1737) ․ 김호연재 ․ 밀양박씨(1700-1737) ․ 여흥민씨(1709-1790)등 송준길가 여성 5대, 약 160여년에 걸친 140여 편의 편지로 이 집안의 가족사와 생활사를 오롯하게 읽어낼 수 있는 귀한 문학유산이다. 그리고, 고부간에 방대한 가족사 소설 『유효공전』7책과 『유씨삼대록』17책을 필사하며, 시어머니의 부탁으로 이 소설을 필사하게 되었다는 필사기를 부기하였다. 이러한 문학 흔적들은 이 집안 여성 문학이 세대 간에 지속성을 가지고 유통 ․ 향유되었다는 중요한 증거물들이다. 고전소설 필사는 1929년까지 계속되었다.

      둘째, 송준길가 여성의 생활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송준길가 며느리 연안이씨(1804-1860)는 『酒食是儀』라는 요리책을 쓴 최초의 저자이다. 100가지가 넘는 음식과 술 만드는 법, 임신부의 건강비결, 식재료 등을 총망라한 책이다. 『酒食是儀』는 연안이씨가 시작하여, 이 후 송준길가 며느리들이 세대를 거듭하며 지속적으로 보충하였다. 19세기에 쓰인 『禹飮諸方』(부제: 각색술방문)은 총 24가지의 술 빚는 비법을 적은 책이다. 오늘날 송준길가의 전통주 송순주, 국화주는 대전시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이 외에도 여성들의 교육과 놀이 문화 자료, 여성복식, 가구, 그릇, 각종 장신구류 등이 오롯하게 남아 있는 것이 많다. 이러한 자료들은 조선후기 여성들의 생활사를 연구하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셋째, 송준길가의 탄탄한 여성문학 전통을 토대로 기호학파의 여성문학사 연구를 시도해 본다. 전통시대에 가문의 융성은 끈끈한 혼맥에 의해서도 이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어느 가문의 사람을 사위 또는 며느리로 맞이하느냐에 따라 가문이 일신하는 계기가 마련된다. 탄탄한 혼맥 네트워크에 의해 가문의 정신적 ․ 경제적 세력이 향상되기도 한다. 특히 며느리의 경우는 사위보다 중요도가 더 하다. 가문의 실질적인 경영은 여성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주지하다시피 조선시대 성공한 남성들의 공부 배경에는 어머니, 할머니 등의 이름으로 존재하는 ‘가정속의 교육자’가 있다. 그런데, 기호학파의 가문은 그러한 여성들의 교육에 등한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여성문인의 배출이 그 증거이다. 성삼문가의 창령성씨, 김창협가의 김운 ․ 서영수합 ․ 홍유한당과 이정구가의 이옥재, 김성달가의 울산이씨 ․ 김호연재, 곽시징가의 곽청창, 임성주가의 임윤지당, 권상하가의 외손 강정일당 등 여성문학사의 쟁쟁한 여성문인들이 기호학맥 속에서 배출되었다. 이러한 여성문인의 맥을 기호학파라는 맥 속에서 살펴보는 것도, 남성들의 학파중심 연구에 필적하는 무게를 갖게 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