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보행능력과 보행요소와의 상관관계 연구 = Correlation Research of Local Community Ambulatory Abilities and Components of Stroke Pati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2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능력에 따라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과 실내보행 및 제한적인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대상자...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행능력에 따라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과 실내보행 및 제한적인 지역사회 보행을 하는 그룹으로 분류하고 대상자의 균형능력과 근력 그리고 보행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그룹에 따른 요인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3년 5월에서 10월까지 인하대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보행이 가능한 뇌졸중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실내보행만 가능한 그룹11명과 제한적 지역사회보행이 가능한 그룹 21명 그리고 지역사회보행이 가능한 그룹 12명, 총 세 그룹으로 나누어 균형능력, 근력, 보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균형점수와 환측 대퇴사두근의 근력은 세 그룹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둘째, 보행요소 중 활보장, 보장, 보행속도는 세 그룹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보행요소 중 분속수는 지역사회 보행 그룹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지만 실내보행 그룹과 제한적 지역사회보행 그룹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요소 중 보장시간은 실내보행 그룹과 지역사회 보행그룹, 실내보행 그룹과 제한적 지역사회 보행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보행요소 중 보폭은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차이(p>0.05)를 보였다.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보행능력은 환자의 균형능력과 마비측 다리의 근력, 그리고 보행요소 중 활보장, 보장, 보행속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endently ambulatory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walking ability in the community groups and limited indoor walking gait is classified as a group and the subject"s ability to balance the muscle strength and 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endently ambulatory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ir walking ability in the community groups and limited indoor walking gait is classified as a group and the subject"s ability to balance the muscle strength and gait analyzes the factors according to each group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factors.
      The subjects are from May to October 2013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The ambulant stroke patients admitted to the 44 people who have indoor walking for only a limited group of 11. The community ambulant group 21 people and other possible communities Group 12 patients, a total of three groups with ability to balance, muscle strength, resulting in gait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he balance of quadriceps present muscle strength scores and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p <0.05), respectively. On top of that, these three elements: walking, stride length, and step length show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 <0.05), respectively. In the section of walking components group, Cadence represented best in community walking group but it did not presented the similar results (p < 0.05) of the following: community walking group, indoor walking group, limited community walking group. In the section of ambulatory component group, warranty time presents the similar results (p < 0.05) of the following: community walking group, indoor walking group, limited community walking group. All elements of the walking stride i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p> 0.05), respectively.
      Over all these facts, community walking abilities of stroke patient plays the important role in the ability of balance talent of patient, ability of paralysis side leg, and as well as the walking component of stride length, step length, and walking spe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