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절초점의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력과 자기효능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1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의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력과 자기효능감 및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유형으로 조절초점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개인차...

      본 연구에서는 조절초점의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력과 자기효능감 및 조직지원인식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유형으로 조절초점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개인차 및 조직상황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 조직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장연구로서 연구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초로 변수와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모형을 설계하였다. 설정된 가설은 다중회귀분석과 계층적 회귀분석에 의해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초로 현실적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비확률추출방법 가운데 모집단의 성격을 개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편의추출방식을 선택하여 충청남도 소재 기업 관리직 근로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쾌락과 보상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이 혁신행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향상초점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조절초점과 혁신행동 사이에서 자기효능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인정되며 예방초점에 비해 향상초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인간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조절초점을 활용하여 조직의 발전과 개인의 성장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개인차 및 조직상황을 고려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of innovative behavior by Regulatory Focus. So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corporate employees" self 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nfluence of innovative behavior by Regulatory Focus. So to verify the effects on the moderating variable of corporate employees" self 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or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established the variable as followings; First, the independence variable established the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Second, the result variable established the Innovative Behavior. Third, the moderating variable established the self efficac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o investigate the variable inter-relationship used th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is study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f 130" corporate employees who had worked in Chungnam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positive effects of employee’ Regulatory Focus to the Innovative Behavior. Second, it tested the influence of moderating variable by the employees" self 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 설정
      • Ⅲ. 연구의 설계와 방법
      • Ⅳ. 가설검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및 가설 설정
      • Ⅲ. 연구의 설계와 방법
      • Ⅳ. 가설검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미경, "조직지원인식이 혁신행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A사 직원의 정서적 몰입과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6 (6): 203-246, 2013

      2 이진화,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65-83, 2013

      3 한덕웅, "사회비교가 분노경험, 주관안녕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85-112, 2003

      4 오홍석, "동기특성 변인들이 공기업 직장인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업무동기,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515-532, 2010

      5 조한익, "대학생의 조절 초점이 자기 고양 편향과 자기 고양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01-120, 2011

      6 고경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38, 2014

      7 이성은, "대학생의 성향적 조절초점이 진로장벽과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최숙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 진로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86-393, 2019

      9 Förster, J., "Zur institutionellen Verfassung der Freiheit im politischen DenkenHannah Arendts" 2009

      10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44 (44): 682-696, 2001

      1 정미경, "조직지원인식이 혁신행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A사 직원의 정서적 몰입과 상사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6 (6): 203-246, 2013

      2 이진화, "예비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육아지원학회 8 (8): 65-83, 2013

      3 한덕웅, "사회비교가 분노경험, 주관안녕 및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85-112, 2003

      4 오홍석, "동기특성 변인들이 공기업 직장인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업무동기,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515-532, 2010

      5 조한익, "대학생의 조절 초점이 자기 고양 편향과 자기 고양 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01-120, 2011

      6 고경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38, 2014

      7 이성은, "대학생의 성향적 조절초점이 진로장벽과 진로자기효능감,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최숙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외모만족도, 진로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86-393, 2019

      9 Förster, J., "Zur institutionellen Verfassung der Freiheit im politischen DenkenHannah Arendts" 2009

      10 Zhou, J.,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44 (44): 682-696, 2001

      11 Shen, J., "When CSR is a social norm" 42 (42): 1723-1746, 2016

      12 Li, A. N., "What happens when you trust your supervisor? Mediators of individual performance in trust relationships" 34 (34): 407-425, 2013

      13 Aaker, J. L., "Understanding regulatory fit" 43 (43): 15-19, 2006

      14 Choi, S. 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14 (14): 73-, 2016

      15 Shin, S. J.,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ervation, and creativity" 46 (46): 703-714, 2003

      16 Jin, X.,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creativity regulatory focus as moderator" 97 : 282-288, 2016

      17 Braslow, J. T., "The manufacture of recovery" 9 : 781-809, 2013

      18 Wu, C., "The influence of leader regulatory focus on employee creativity" 23 (23): 587-602, 2008

      19 Martínez-Noya, A., "The framing of knowledge transfers to shared R&D suppliers and its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46 (46): 354-368, 2016

      20 Bandura, 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4 (4): 359-373, 1986

      21 Friedman, R. S., "The effects of promotion and prevention cues on creativity" 81 (81): 1001-, 2001

      22 Herman, A., "The effect of regulatory focus on idea generation and idea evaluation" 5 (5): 13-20, 2011

      23 Bandura, A., "The anatomy of stages of change" 12 (12): 8-, 1997

      24 Lam, T. W., "The Motivational Function of Regulatory Focus in Creativity" 36 (36): 138-150, 2011

      25 De Graaf-Zijl, M., "Stepping stones for the unemployed" 24 (24): 107-139, 2011

      26 Higgins, E. T., "Social psychology: Handbook of basic principles" 133-168, 1996

      27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 An agentic perspective" 52 : 1-26, 2001

      28 Ouschan, L., "Regulatory focus strategies scale" 10 (10): 243-257, 2007

      29 Lanaj, K., "Regulatory focus andwork-related outcomes" 138 (138): 998-, 2012

      30 Lanaj, K., "Regulatory focus and work-related outcomes" 138 (138): 998-, 2012

      31 Keller, J., "Regulatory fit and cognitive performance" 36 (36): 393-405, 2006

      32 Crowe, E.,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69 : 117-143, 1997

      33 Eisenberger, R., "Reciproc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86 (86): 42-51, 2001

      34 Higgins, E. T., "Promotion and prevention" 30 : 1-46, 1998

      35 Cho, Y., "Predicting teachers' achievement goals for teaching" 32 : 12-21, 2013

      36 Armeli, 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olice performance" 83 (83): 288-297, 1998

      37 Rhoades, L.,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87 (87): 698-714, 2002

      38 Stinglhamber, F., "Organizations and supervisors as sources of support and targets of commitment" 24 : 251-270, 2003

      39 Shore, L. M.,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 and support: Managing the social climate in the workplace" 149-164, 1995

      40 Johnson, R. E., "Moving from cognition to behavior" 132 (132): 381-415, 2006

      41 Parker, S. K., "Making things happen" 36 (36): 827-856, 2010

      42 Loi, R., "Linking employees’ justice perceptions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79 (79): 101-120, 2006

      43 Reiter-Palmon, R., "Leadership and creativity" 15 (15): 55-77, 2004

      44 Janssen, O.,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 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73 (73): 287-302, 2000

      45 Chang, J. H.,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s for hospitality employees’creativity" 60 : 133-141, 2017

      46 Masterson, S. S., "Integrating justice and social exchange" 43 (43): 738-748, 2000

      47 Jong, J. D., "Innovative Work Behaviour : Measurement and Validation" 19 (19): 2008

      48 Faddegon, K., "If we have the will, there will be a way" 38 (38): 880-895, 2008

      49 Kammerlander, 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establish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30 (30): 582-602, 2015

      50 Whitener, E. M., "Do high commitment human resource practices affect employee commitment? A cross-level analysi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27 (27): 515-535, 2001

      51 Levine, J, M., "Development of Strategic Norms in Groups" 82 : 88-101, 2000

      52 Scott, S. G.,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37 (37): 580-607, 1994

      53 Le, P. B.,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y" 23 (23): 527-547, 2019

      54 Mumford, M. D.,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103 (103): 27-, 1988

      55 Bittner, J. V., "Competitive mindsets, creativity, and the role of regulatory focus" 9 : 59-68, 2013

      56 Higgins, E. T., "Beyond pleasure and pain" 52 (52): 1280-, 1997

      57 Elliot, A. J.,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in the social domain" 32 (32): 378-391, 2006

      58 Faure, S., "Anxiety, depression and self-efficacy levels of women undergoing first trimester abortion" 33 (33): 28-38, 2003

      59 Rhoades, L.,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86 (86): 825-836, 2001

      60 Carver, C. S., "Action, emotion" 26 (26): 741-751, 2000

      61 Wallace, J. C., "A multi level model of employee innovation" 42 (42): 982-100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