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조선 후기 여성의 개인적 자살에 대한 시선과 그 의미 = The Perspective and Meaning of Personal Suicide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7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read the perspective of personal suicide of women who did not gain social justifi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point out what suicide meant to women. Chae, the daughter-in-law of Jeong Bum-jo, died of herself after su...

      This study attempts to read the perspective of personal suicide of women who did not gain social justific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o point out what suicide meant to women. Chae, the daughter-in-law of Jeong Bum-jo, died of herself after suffering the deaths of young children, and Shim dae-yun's niece, Shim, committed suicide without enduring a severe conflict with her mother-in-law and husband's sister. In the eyes of the father-in-law and the eldest father, their suicide was defined as the fault of refraining from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posterity and not fulfilling the duty of filial piety. Jeong Bum-jo and Shim Dae-yoon emphasized that the duty to connect the heir and the filial piety of absolute practice are values that must be kept despite any pain, and they understood this deviation -suicide- as a personal problem caused by a lack of judgment or poor teaching.
      However, Chae and Shim disagreed with the meaning of life emphasized by Jeong Bum-jo and Shim Dae-yun. The meaning of life forced from the outside has not been a real support for overcoming the pain they suffer in reality. They endure the pain of serious conflict and loss to maintain the normative attitude of life that has been required in the times, The mental frustration caused by this had to be handled by the individual. The suicide of the two was an escape from reality that, despite the appeal of suffering, could not receive practical help, and was a death that was no longer tolerated and willing to choose in a collapsed world. Jeong beom-jo and Shim dae-yun reveal regrets about the suicide of daughter-in-law and niece. However, this regret was not about the time Chae and Shim suffered, but about the moment when they decided to commit suicide. The parties gave up their lives to escape from internal loss and tragic wounds. However, the recorders thought that when they silently carried out their acts as women, enduring the sufferings of the moment, they could eventually get out of pain or be compensated for the suffering, and this was the meaningful life for a woman. Eventually, the records of Chae and Shim's suicide regret that they did not stop their suicide and lead to a meaningful life, but this rebuke is a spell for the parties to summon to a collapsed world that they have struggled to escape. Here, the conflicting eyes of the parties and the recorders on suicide are confirm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의열의 명분을 얻지 못한 여성의 개인적 자살에 대한 시선을 읽어내고 여성들에게 자살이 어떠한 의미였는지 짚어보고자 한다. 정범조의 며느리 채씨는 어린 자식의 죽...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의열의 명분을 얻지 못한 여성의 개인적 자살에 대한 시선을 읽어내고 여성들에게 자살이 어떠한 의미였는지 짚어보고자 한다. 정범조의 며느리 채씨는 어린 자식의 죽음을 연이어 겪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심대윤의 조카딸은 시모와의 심한 불화를 견디지 못하고 자살했다. 이들의 자살은 시부와 백부의 시선에서 후사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고 불효를 행한 잘못으로 규정되었다. 정범조와 심대윤은 후사를 세울 의무로써의 자애와 절대적 실천으로써의 효가 어떠한 고통에도 불구하고 지켜져야 하는 가치임을 강조하며 이러한 일탈-자살-을 잠시 판단력이 흐려지거나 가르침을 제대로 받지 못한 개인적 자질의 문제로 이해했다.
      그러나 채씨와 심씨는 정범조와 심대윤이 강조하는 삶의 의미에 동의하지 않았다. 외부로부터 강제된 삶의 의미는 이들이 피부로 겪는 고통을 이겨내는 데 실질적인 버팀목이 되지 못했다. 이들은 시대적으로 요구되었던 규범적 삶의 태도를 견지하기 위해 심각한 갈등과 상실의 고통을 감내하게 되지만, 이로 인한 심적 좌절은 고스란히 개인이 감당해야만 했다. 두 사람의 자살은 고통에 대한 호소로도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없는 현실, 무너진 세계를 견디지 못하고 선택한 죽음이었다.
      정범조와 심대윤은 며느리와 질녀의 자살에 대해 자책과 회한을 드러냈으나 이는 채씨와 심씨가 고통을 겪은 시간에 대해서라기보다 자살을 결정하는 순간에 대한 것이었다. 당사자들은 내면적 상실과 처절한 상처에 대한 몸부림으로 스스로 삶을 저버리지만, 기록자들은 당장의 괴로움을 감내하면서 부녀로서의 행실을 묵묵히 수행했을 때 결국 고통에서 벗어나거나 고통의 대가를 보상받을 수 있으며 이것이 의미있는 부녀의 삶이라 여겼다. 채씨와 심씨의 개인적 자살에 대한 기록들은 이들의 자살을 막아서 온전한 삶을 이어가도록 하지 못한 것을 자책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책이 당사자들에게는 자신들이 애써 벗어난 무너진 세계로 소환하는 주문이 된다. 여기서 자살에 대한 당사자와 기록자의 상반된 시선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혜리, "沈大允의 『南征錄』 硏究" 한국실학학회 (30) : 77-110, 2015

      2 서종한, "한국 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23-344, 2012

      3 신승훈, "추앙받는 죽음과 조롱받는 죽음 - 조선조 문집에 기록된 자살을 보는 두 가지 시각 -" 동양한문학회 40 (40): 141-172, 2015

      4 셀리 케이건, "죽음이란 무엇인가" 엘도라도 1-520, 2012

      5 문현아,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질병과 죽음에 대한 사례 연구 -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30) : 1-32, 2019

      6 이성임, "조선후기 경상도 한 武班家의 가족구조 재구성 ― 호구단자와 일기의 비교검토" 대동문화연구원 (83) : 31-56, 2013

      7 이홍식, "조선시대 열녀전(列女傳)과 여성 유서(遺書)에 투영된 욕망의 간극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64) : 163-185, 2017

      8 송병우, "조선시대 개인의 자살, 사회적 타살 - 『조선왕조실록』 자살 사례를 통하여 -" 동양한문학회 40 (40): 115-139, 2015

      9 정일영, "조선 후기 성별에 따른 자살의 해석- 正祖代(審理錄)의 자살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17 (17): 155-175, 2008

      10 게르트 미슐러, "자살의 문화사" 시공사 1-266, 2002

      1 손혜리, "沈大允의 『南征錄』 硏究" 한국실학학회 (30) : 77-110, 2015

      2 서종한, "한국 자살사망자 특징: 사례-대조 심리적 부검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23-344, 2012

      3 신승훈, "추앙받는 죽음과 조롱받는 죽음 - 조선조 문집에 기록된 자살을 보는 두 가지 시각 -" 동양한문학회 40 (40): 141-172, 2015

      4 셀리 케이건, "죽음이란 무엇인가" 엘도라도 1-520, 2012

      5 문현아, "조선후기 양반 여성의 질병과 죽음에 대한 사례 연구 -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30) : 1-32, 2019

      6 이성임, "조선후기 경상도 한 武班家의 가족구조 재구성 ― 호구단자와 일기의 비교검토" 대동문화연구원 (83) : 31-56, 2013

      7 이홍식, "조선시대 열녀전(列女傳)과 여성 유서(遺書)에 투영된 욕망의 간극과 그 의미" 한국언어문화학회 (64) : 163-185, 2017

      8 송병우, "조선시대 개인의 자살, 사회적 타살 - 『조선왕조실록』 자살 사례를 통하여 -" 동양한문학회 40 (40): 115-139, 2015

      9 정일영, "조선 후기 성별에 따른 자살의 해석- 正祖代(審理錄)의 자살 관련 사건을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17 (17): 155-175, 2008

      10 게르트 미슐러, "자살의 문화사" 시공사 1-266, 2002

      11 박기현, "자살 관련 설화의 특성과 인식 연구 - 女性 自殺談을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40 (40): 43-73, 2015

      12 이진홍, "자살" 살림 1-95, 2006

      13 정약용, "역주 欽欽新書 3" 현대실학사 1-398, 1999

      14 진재교, "심대윤의 사회적 처지와 학문자세" 한국한문교육학회 16 : 373-397, 2001

      15 이정아, "시집살이' 말하기에 나타난 균열된 여성 의식: 시집살이 체험담과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23 (23): 189-220, 2006

      16 익선재백운집강독회, "백운 심대윤의 백운집" 사람의 무늬 1-896, 2015

      17 김하라, "고부갈등에 대한 착잡한 시선-심대윤의 ?제질녀문?(祭姪女文) 분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181-206, 2007

      18 이홍식, "거듭나기 과정으로서의 질병 - 한국한문학이 포착한 질병의 한 특징 -" 근역한문학회 45 : 59-87, 2016

      19 박무영, "丁範祖의 여성 관련 작품과 여성인식 -공적 태도와 가부장적 환타지, 그리고 사적 보상-" 우리한문학회 8 (8): 171-200, 2003

      20 이꽃메, "『역시만필(歷試漫筆)』의 사례로 재구성한 조선후기 여성의 삶과 질병" 대한의사학회 24 (24): 497-532, 2015

      21 김현진, "『審理錄』을 통해 본 18세기 여성의 자살실태와 그 사회적 含意" 조선시대사학회 (52) : 197-230, 2010

      22 강성숙,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4" 보고사 1-579,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