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 관련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Related to Science which Required in the Digital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4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surveye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rela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specially required in the digital age. The participants in online survey were 119 pre-service elementary te...

      In this study, we surveyed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relate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specially required in the digital age. The participants in online survey were 119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analyzed results of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their task responsibly i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ntext related to science. However, they lacked competencies in making rubrics for problem solving processes or outcomes, and setting up rules about team activities. Second, in using ICT technology, the competencies of utilizing tools such as app and software lacked compared with the competencies of searching data in online and using pp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by their intensive major in university or s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Nevertheless,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showed more persistence than those majoring in humanities in problem solving context.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cept ‘clear communication and accomplishment’. That is, female pre-service teachers performed more responsible in their task and showed more fluency in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within their group than male counterpart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가람,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교실 문화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7-734, 2019

      2 조혜숙,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681-691, 2018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김민회, "퍼즐 확대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의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특징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103-124, 2020

      5 이샛별,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수업의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원 39 (39): 19-41, 2019

      6 신형석, "청소년의 ICT 활용이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및 학교 내 ICT 활용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6 (46): 137-160, 2019

      7 이윤미, "중학교 과학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법의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24 (24): 141-149, 2003

      8 오은주, "중등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러지 활용 능력과 인식도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295-324, 2007

      9 김주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7 (57): 1-15, 2018

      10 김성숙, "우리나라 학생들의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협력적 태도에 대한 관계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55-179, 2018

      1 이가람,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교실 문화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707-734, 2019

      2 조혜숙,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681-691, 2018

      3 박주호, "학습활동으로서 교사협력이수업개선 정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243-265, 2016

      4 김민회, "퍼즐 확대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의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특징 탐색"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103-124, 2020

      5 이샛별,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사고 기반 메이커 수업의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원 39 (39): 19-41, 2019

      6 신형석, "청소년의 ICT 활용이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에 미치는 영향: 가정 및 학교 내 ICT 활용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6 (46): 137-160, 2019

      7 이윤미, "중학교 과학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법의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 24 (24): 141-149, 2003

      8 오은주, "중등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러지 활용 능력과 인식도 분석"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5 (55): 295-324, 2007

      9 김주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협력정도, 수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소 57 (57): 1-15, 2018

      10 김성숙, "우리나라 학생들의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과 협력적 태도에 대한 관계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55-179, 2018

      11 이민희, "수학사를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난 담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11-333, 2019

      12 유지원,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측정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85-214, 2016

      13 구하라, "교사협력과 공식적 교사학습이 학습자 중심 교수활동 실천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57 (57): 563-576, 2018

      14 문공주,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445-455, 2016

      15 Gable, R. A., "The role of teacher collaboration in school reform" 73 (73): 219-223, 1997

      16 Nisbett, R. E.,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 and why" Free Press 48-49, 2003

      17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OECD Publishing 2005

      18 Moon, W., "Th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bility to use ICT : Focusing on seniors at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 19-38, 2003

      19 김혜숙,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특성 분석- 과학성취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22): 199-224, 2019

      20 김갑수, "PISA 2015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비 교사들의 ICT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22 (22): 239-249, 2018

      21 OECD, "PISA 2015 results(volume V) :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ECD Publishing 2017

      22 Kyllonen, P. C., "Measurement of 21st century skills within the common core state standards" 2012

      23 Brownell, M. T., "Learning from collaboration : The role of teacher qualities" 72 (72): 169-187, 2006

      24 Song, Y., "Improving primary student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project-based science learning with productive failure instructional design in a seamless learning environment" 66 (66): 979-1008, 2018

      25 OEC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ECD Publishing 2017

      26 Funke, J., "Assessment and teaching of the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145-162, 2018

      27 Hesse, F.,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37-56, 2015

      28 Griffin, P.,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 1-15, 2012

      29 Binkley, M.,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Springer 17-66, 2012

      30 Uba, L., "Asian Americans: Personality patterns, identity, and mental health" Guilford Press 1994

      31 Graesser, A. C., "Advancing the science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19 (19): 59-92, 2018

      32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A framework for 21st century learning. Tucson: AZ: P21"

      33 Kim, M., "A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environmental field studies" 35 (35): 357-387,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28 1.78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