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생쥐 뇌하수체에서 prolactin과 c-fo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 = Effects of Estrogen on the Prolactin and c-fos Gene Expression in the Mouse Pitui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3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에서 prolactin(PRL) 합성, 분비 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northern blot analysis와 RT-PCR을 이용하여 암컷 생쥐에서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인한 뇌하수체...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에서 prolactin(PRL) 합성, 분비 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northern blot analysis와 RT-PCR을 이용하여 암컷 생쥐에서 에스트로겐의 영향으로 인한 뇌하수체에서의 PRL 유전자 발현과 immediate-early gene인 c-fos 유전자 발현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난소를 제거한 암컷 생쥐에 에스트로겐(또는 vehicle)을 1.2㎍을 주사한 다음, 서로 다른 시간에 도살하여 뇌하수체 조직을 적출하여 RNA를 분석하였을 때 PRL mRNA 수준은 대조군과 에스트로겐 처리군에서 모두 아직 원인은 불투명하지만 처음 90분까지 증가하고, 이후 150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안정된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렇지만 4시간 때부터는 에스트로겐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PRL mRNA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24시간 때까지 지속되었다. 뇌하수체에서 c-fos mRNAs 수준은 동일 시간대의 PRL mRNA 수준과는 다르게 전반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해 에스트로겐 처리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뇌하수체에서 c-fos mRNA는 두 종류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RT-PCR 결과를 통해서 재확인되었다. 생쥐의 뇌하수체에서 에스트로겐에 의한 PRL과 c-fos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이미 보고된 흰쥐의 결과와 다르게 나타났으며, 뇌하수체 c-fos mRNA는 한 종류임이 보고된 흰쥐와는 다르게 생쥐에서는 두 종류가 발견되었다. 이는 에스트로겐이 뇌하수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데 있어 종마다 다름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known that estrogens regulate many functions of the pituitary including prolactin gene expression and prolactin synth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rogen on the expression of the prolactin and c-fos genes in th...

      It was known that estrogens regulate many functions of the pituitary including prolactin gene expression and prolactin synthe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rogen on the expression of the prolactin and c-fos genes in the pituitary using northern blot analysis and RT-PCR. When the ovariectomized female mice were injected with 1.2 ㎍ of estradiol (or vehicle) and sacrificed at different times, the unexplainable high levels of prolactin mRNA were maintained until 90 min and then returned to steady level 150 min after estradiol (or vehicle) treatment in both estradiol-treated and control mice. However, the levels of prolactin mRNA began to increase at 4 h and remained elevated through 24 h in the estradiol-treated mice. The levels of c-fos mRNAs were very low throughout this time period compared with prolactin mRNA levels in both control and estradiol-treated mice and slightly higher levels of c-fos mRNAs were detected in the estradiol-treated mice. In addition, two types of the c-fos mRNAs in the pituitary were found, which was reinforced by the result of the RT-PCR. Taken together, the overall patterns of the expression of the prolactin and c-fos genes and the kinds of c-fos mRNAs in the pituitary of the mice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other study in the rats, suggesting that different mechanisms by which estrogens regulate pituitary functions between the species exis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