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대 간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 건강 : 부모 연령, 성인자녀 성별의 조절효과분석 = The Effects of Residential Proximity on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Parental Age and Adult Child’s Gender as Moder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805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sidential proximity to adult children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middle-aged and older parents. The study also evaluated whether the parental age and gender of the adult child in closest proxi...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sidential proximity to adult children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middle-aged and older parents. The study also evaluated whether the parental age and gender of the adult child in closest proximity to the parent might moderate the association. Method: Data were drawn from fiv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2006-2014).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7,359 parents aged 45 or older who had at least one non-coresidential adult child aged 19 or older.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y estimating a series of fixed effects models while adjusting for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a closer distance between an adult child and the parent wa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parent experiencing a de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Yet, the mental health benefit was smaller for par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s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son. Second, a closer distance was observed to affect chronic illness only among middle-aged parents (aged 45 to 64). When th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daughter, the middle-aged parent experienced deterioration in their chronic illness.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pattern was observed when the closest living adult child was a son. Conclusions: The parental age and gender of the adult child in closest proximity to the parent might have varying effects on parents’ health. A closer distance between an adult child and their paren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mental health of the parent as a whole, whereas the effect of living closer was mixed in relation to the parental physical healt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정혜,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11-627, 2009

      2 이선혜,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27-158, 2010

      3 임소영,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81-308, 2013

      4 김동배, "한국 노인 정신건강의 종단적 변화와 세대간 가족특성이 노인 정신건강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39 : 91-120, 2014

      5 배호중,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40, 2017

      6 성미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9-72, 2006

      7 송진영,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소 22 : 59-81, 2009

      8 장영은, "자녀와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39 : 1-29, 2014

      9 이길제,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한국주택학회 25 (25): 35-62, 2017

      10 이길제, "신혼가구의 주거 입지에 나타나는 세대간 시간 자원의 이전과 성별 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21-33, 2017

      1 최정혜,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611-627, 2009

      2 이선혜, "한국 성인의 정신건강역량 : 우울증과 정신분열병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27-158, 2010

      3 임소영,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59) : 281-308, 2013

      4 김동배, "한국 노인 정신건강의 종단적 변화와 세대간 가족특성이 노인 정신건강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39 : 91-120, 2014

      5 배호중, "친정과의 거리와 자녀출산: 2000년 이후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40, 2017

      6 성미애,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59-72, 2006

      7 송진영, "중년 취업남성의 다중역할 몰입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연구소 22 : 59-81, 2009

      8 장영은, "자녀와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소 39 : 1-29, 2014

      9 이길제, "신혼가구의 주택소비에 나타나는 세대간 자산 이전과 성별 효과" 한국주택학회 25 (25): 35-62, 2017

      10 이길제, "신혼가구의 주거 입지에 나타나는 세대간 시간 자원의 이전과 성별 효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21-33, 2017

      11 신동민, "수도권 주택의 구매수요 결정요인 및 소비자 선호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39-341, 2003

      12 이재림, "손자녀 양육지원에 따른 조모와 취업모의 관계 경험 : 세대 간 지원 제공 및 수혜의 의미" 한국가정관리학회 31 (31): 1-24, 2013

      13 최희진, "세대 간 지원교환의 장기적․단기적 호혜성: 아들과 딸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37 (37): 83-102, 2017

      14 홍성희, "성인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8 (18): 69-91, 2014

      15 송지은,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581-599, 2006

      16 김경미, "성역할 개념의 발달과 분화: 다차원적 관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1-20, 2005

      17 최성수,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8 (28): 291-307, 2008

      18 김혜경, "부계 가족주의의 실패?: IMF 경제위기 세대의 가족주의와 개인화" 한국사회학회 47 (47): 101-141, 2013

      19 이민아, "동거형태와 한국노인의 삶의 질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갖는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41-67, 2011

      20 곽인숙, "노후의 부양유형과 주거 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3 (13): 17-38, 2009

      21 정재훈,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소"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5 (15): 93-100, 2013

      22 정규형, "노인의 비동거자녀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도시·농촌 비교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5) : 5-30, 2017

      23 정규형, "노부모-자녀와의 구조적․접촉적 결속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0) : 237-258, 2013

      24 손정연, "노년기 여성의 결혼지위와 건강에 관한 종단 연구: 연령 및 부모-자녀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5 (35): 211-238, 2012

      25 남보람, "기혼자녀와의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건강" 한국가정관리학회 34 (34): 69-85, 2016

      26 최희정, "기혼자녀와 부모의 특성이 세대 간 거주근접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123-141, 2016

      27 김주희, "결혼초기 여성의 친족관계: 외동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가족학회 21 (21): 95-118, 2009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ition of Health"

      29 Kohout, F. J., "Two shorter forms of the CES-D depression symptoms index" 5 (5): 179-193, 1993

      30 Statistics Korea, "Trying to estimate future furniture : 2015-2045" Statistics Korea 2017

      31 Buchmann, M. C., "Transition to adulthood in Europe" 37 : 481-503, 2011

      32 Kwon, I. 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6 (6): 212-223, 2000

      33 Neugarten, B. L.,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 134-143, 1961

      34 Parsons, T., "The kinship system of the contemporary United States" 45 (45): 22-38, 1943

      35 Kim, Y., "The family support and policy implicationson support environment changes" 235 : 62-79, 2016

      36 Mulder, C. H., "The family context and residential choice: A challenge for new research" 13 (13): 265-278, 2007

      37 Kim, Y.,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the role of families and governments in family sup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38 Kim, Y.,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 for adult children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260 : 79-98, 2018

      39 Radloff, L. 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40 Kim, N. J., "Survey on housing status of newlywed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41 Zunzunegui, M. V., "Support from children, living arrangements, self-rated health and depressive symptoms of older people in Spain" 30 (30): 1090-1099, 2001

      42 Choi, J. S., "Study on Korean family institutional history" Iljisa 1983

      43 Hogan, D. P., "Sources of emergency help and routine assistance in old age" 73 (73): 917-936, 1995

      44 Carstensen, L. L.,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and the regulation of emotion in the second half of life" 27 (27): 103-123, 2003

      45 Litwak, E., "Social structure and the family: Generational relations" 290-323, 1965

      46 Chu, B. W., "Reexamination of Gilligan'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9) : 399-416, 1998

      47 Han, C., "Recent trends of panel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Hoam Professor Hall Convention Center 369-390, 2015

      48 Hank, K., "Proximity and contacts between old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 A European comparison" 69 (69): 157-173, 2007

      49 Tomassini, C., "Parental housing assistance and parentchild proximity in Italy" 65 (65): 700-715, 2003

      50 Jung, I. W., "Panel Analysis - KOSSDA 2017 Winter Methodology Workshop Lecture Notes"

      51 Colin, C. A.,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Stata Press Books 2009

      52 Cho, M. Park, J., "Mental disease epidemiology survey"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1

      53 Chappell, N. L., "Living arrangements and sources of caregiving" 46 (46): S1-S8, 1991

      54 Ward, R., "Life-course changes and parent–adult child contact" 36 (36): 568-602, 2014

      55 Han, G. H., "Korean Social Trends 2017" Statistics Korea 54-63, 2017

      56 Han, G. H., "Korean Social Trends 2017" Statistics Korea 64-73, 2017

      57 Han, G. H., "Korean Social Trends 2014" Statistics Korea 62-72, 2014

      58 Lee, S. 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participation and family attitudes in East Asia"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6

      59 Bucx, F.,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the life course status of young adult children" 70 (70): 144-156, 2008

      60 Gilligan, C., "In a different voice" Harvard University Press 24-39, 1982

      61 Mulder, C. H., "Geographical distances and support from family members" 15 (15): 381-399, 2009

      62 van der Pers, M., "Geographic proximity of adult children and the well-being of older persons" 37 (37): 524-551, 2015

      63 Litwak, E., "Geographic mobility and extended family cohesion" 385-394, 1960

      64 Silverstein, M., "Factors that predispose middleaged sons and daughters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older parents" 57 (57): 465-475, 1995

      65 Park, K., "Diversity and structur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 elderly parent-adult child relations in Korea" 20 : 285-305, 2005

      66 Jang, S. S., "Changes in housing demand and housing pattern after the IMF" 1999 (1999): 76-85, 1999

      67 Rogerson, P. A., "Changes in geographic proximity between parents and their adult children" 3 (3): 121-136, 1997

      68 Yang, O., "At First Sight STATA" Jiphil Media 2013

      69 Shuey, K., "Assistance to aging parents and parents-in-law: does lineage affect family allocation decision?" 52 (52): 418-431, 2003

      70 Rhee, K. O., "Analysis and policy challenges of the living conditions on elderl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4

      71 Kim, J. 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Korea" 82 : 173-193, 1982

      72 김예성, "30~40대 아파트 거주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 선호" 국토연구원 74 : 249-26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