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  어제, 오늘, 내일 = Russian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An Over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01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러시아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러시아의 프로필과 영향을 증대시키는데 목표를 둔 3가지 광의 접근(전략적 다양성, 아시아의 협조체제, 그리고 다자참여)을 추구했었다. 그러나 이 글에...

      러시아는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러시아의 프로필과 영향을 증대시키는데 목표를 둔 3가지 광의 접근(전략적 다양성, 아시아의 협조체제, 그리고 다자참여)을 추구했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 3가지 정책 접근은 모두 성취하지 못하고 있다. 90년대 이래 한반도는 러시아 외교정책에서 중요한 주제이었다. 한반도의 문제와 관련 러시아외교의 중장기 목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한국과 전략적 동반자관계의 발전; 북한과 좋은 이웃 관계 유지; 비핵지대화와 영구 평화체제 구축; 동북아의 제도화된 안보조직 구축; 남북한 간 민족화해와 평화통일 촉진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은 현실주의, 실용주의, 그리고 균형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ssia has pursued three broad approaches(strategic diversity, the “Concert of Asia”, and multilateral engagement) with the aim of raising Russia’s profile and influence in the Asia-Pacific. However all these policy approaches have been unsucces...

      Russia has pursued three broad approaches(strategic diversity, the “Concert of Asia”, and multilateral engagement) with the aim of raising Russia’s profile and influence in the Asia-Pacific. However all these policy approaches have been unsuccessful as described in this paper. Since the 1990s the Korean problem became an important topic in Russian foreign policy. The mid-and long-term goals of Russian diplomacy with respect to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ninsul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ing a strategic partnership with South Korea; maintaining good neighbor relations with North Korea; creating a zone free from nuclear weapons and an eternally peaceful system;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ized security structure in the Northeast Asia; facilitating national reconciliation and peaceful reunific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 sum, Russian foreign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focuses on realist, pragmatic, and balanced poli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 Ⅲ.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 Ⅳ. 한반도 문제와 러시아
      • V. 결 론
      • Ⅰ. 서 론
      • Ⅱ.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
      • Ⅲ. 러시아의 한반도정책
      • Ⅳ. 한반도 문제와 러시아
      • V. 결 론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