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려 문종 대 ‘해동천하’ 인식의 형성과 그 의미 = Investigation into the Regim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and King Munjong's Haedongcheon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3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려전기 신성혈통의식의 형성이나 유ㆍ불ㆍ도 등의 역할과 의례, 문명의식, 군주관과 왕실 칭호, 천하인식과 형성과정 등의 연결과 종합이라는 면을 주로 살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고려전기 신성혈통의식의 형성이나 유ㆍ불ㆍ도 등의 역할과 의례, 문명의식, 군주관과 왕실 칭호, 천하인식과 형성과정 등의 연결과 종합이라는 면을 주로 살폈다. 이를 통해 고려 전기 왕조 체제 모색과정과 함께 문종 대에 이르러 고려가 구축하려 했던 해동천하의 모습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종은 용손으로서의 신성혈통의식을 강화해 제왕으로서 해동천자가 다스리는 해동천하를 형성하였고, 천하질서를 구축하였다. 보살계나 연등회, 팔관회를 더욱 정비하는 한편, 태일에 대한 재초를 해동천자로서 올리기 시작하였다.
      송이나 거란과의 국제관계를 유지하면서 문종이 추구한 해동천하는 독자적 면을 띠었다. 이어서는 용손의 성덕이 구현되어 남만북적 및 북포동완이 스스로 찾아오는 태평천하를 이루었음을 자신하였다. 군신이 함께 즐거워하고 군주가 만세를 누리는 천하를 만들었다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내면에는 고려 스스로 이룬 문명의식이 자리잡고 있었다. 문종 이후의 고려에서 태조와 문종의 정치를 모범으로 할 것을 거론하고 있는 것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 and synthesis among the formation of divine blood consciousness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the role and ritual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sim,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the m...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 and synthesis among the formation of divine blood consciousness in the early days of the Goryeo Dynasty, the role and ritual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sim,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the monarchical view, the title of the royal family, the consciousness and formative process of the world and the like. Based on this, it attempted to concretize the picture of the Haedongcheonha that the Goryeo Dynasty attempted to build in the reigning period of King Munjong along with the process of conside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King Munjong reinforced the consciousness of holy blood as the offspring of the dragon, formed the Haedongcheonha reigned by Haedongcheonja as the emperor and constructed the order of the world. He reorganized Bosalgye, Yeondeunghoe, Palguanhoe on the other hand and began to elevate Jaecho towards Taeil to Haedongcheonja on the other. The Haedongcheonha pursued by King Munjong took on a peculiar character as he maintained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the Chinese Song Dynasty or the Kitan. He was self-confident of the establishment of righteousness and security of the country as southern and northern barbarians paid the personal visit to hime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lourishing virtues of the dragon offspring. He created the world that the sovereign and subjects enjoyed themselves together and the monarch enjoyed eternity. And the civilizational consciousness formed by the Goryeo Dynasty was deeply entrenched in its inside. It has begun from this point to make it a subject of discussion to model the statecraft of Kings Taejo and Munjong in the Goryeo Dynasty since the reigning period King Munj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2 최종석, "베트남 外王內帝 체제와의 비교를 통해 본 고려전기 이중 체제의 양상" 진단학회 (125) : 1-38, 2015

      3 한정수, "고려전기 異邦人‧歸化人의 입국과 해동천하" 한국중세사학회 (50) : 113-155, 2017

      4 추명엽, "고려전기 ‘번’ 의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2

      5 윤경진, "고려의 三韓一統意識과 ‘開國’ 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4) : 335-375, 2016

      6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菩薩戒’와 6월 15일 受戒의 의미" 역사학회 (220) : 31-62, 2013

      7 노명호, "고려국가와 집단의식 ; 자위공동체·삼국유민·삼한일통·해동천자의 천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8 노명호, "고려 태조 왕건의 동상" 지식산업사 2012

      9 박종기, "고려 다원사회의 형성과 기원" 한국중세사학회 (36) : 109-140, 2013

      10 박재우, "고려 君主의 국제적 위상" 고려사학회 (20) : 45-80, 2005

      1 김창현, "신라왕실과 고려왕실의 칭호" 한국고대사학회 (55) : 253-307, 2009

      2 최종석, "베트남 外王內帝 체제와의 비교를 통해 본 고려전기 이중 체제의 양상" 진단학회 (125) : 1-38, 2015

      3 한정수, "고려전기 異邦人‧歸化人의 입국과 해동천하" 한국중세사학회 (50) : 113-155, 2017

      4 추명엽, "고려전기 ‘번’ 의식과 ‘동서번’의 형성" 43 : 2002

      5 윤경진, "고려의 三韓一統意識과 ‘開國’ 인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4) : 335-375, 2016

      6 한정수, "고려시대 국왕 ‘菩薩戒’와 6월 15일 受戒의 의미" 역사학회 (220) : 31-62, 2013

      7 노명호, "고려국가와 집단의식 ; 자위공동체·삼국유민·삼한일통·해동천자의 천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8 노명호, "고려 태조 왕건의 동상" 지식산업사 2012

      9 박종기, "고려 다원사회의 형성과 기원" 한국중세사학회 (36) : 109-140, 2013

      10 박재우, "고려 君主의 국제적 위상" 고려사학회 (20) : 45-80, 2005

      11 김기덕, "高麗의 諸王制와 皇帝國體制" 78 : 1997

      12 추명엽, "高麗時期 ‘海東’ 인식과 海東天下" 한국사연구회 (129) : 29-59, 2005

      13 노명호,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14 이정란, "高麗 王家의 龍孫意識과 왕권의 변동" 고려사학회 (55) : 7-41, 2014

      15 한정수, "高麗 太祖代 八關會 설행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86) : 195-228, 2014

      16 노명호, "東明王篇과 李奎報의 多元的 天下觀" 83 : 1997

      17 최종석, "13~15세기 천하질서하에서 고려와 조선의 국가 정체성" 역사문제연구소 (121) : 10-44,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8 0.81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