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환경의식 변화와 해양생태계 관련 법제의 검토 - 한국사회에서 보전과 개발에 대한 대립관점을 중심으로 - = Change of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Review of the Legislation on Marine Ecosystem - Focused on Opposing Perspective o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Korea Society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marine space has traditionally been recognized as a place for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legislation on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tends to be neglected. However, in a circumstance that the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been ...

      Since marine space has traditionally been recognized as a place for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legislation on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tends to be neglected. However, in a circumstance that the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been increasing,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how the legislation on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is reflecting the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their policy demand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marine ecosystem, understood the limitations of the legal system on marine ecosystem protection caused by relation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related legislation, social background, and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the past in Korea. In addition, it looked over how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has been changed and how it has been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on marine ecosystem protection, and finally suggested improvements on the legislation on marine ecosystem protection by grasping current national environmental 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양은 전통적으로 개발의 공간으로 인식되어옴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환경법제는 개발법제에 비해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데, 국민의 환경의식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환경법...

      해양은 전통적으로 개발의 공간으로 인식되어옴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환경법제는 개발법제에 비해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데, 국민의 환경의식이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해양환경법제가 국민의 환경의식과 정책수요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해양환경 중에서도 해양생태계 부문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는데, 해양환경에 대한 국민의식조사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과거의 국민의 ‘환경’의식, 보전과 개발 사이의 사회적 상황, 해양환경법제의 형성·발달 과정을 바탕으로 ‘개발’과 ‘보전’사이에서 해양생태계 관련 법제가 가지는 한계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 국민의 환경의식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그러한 변화를 해양생태계 법제는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현재 국민환경의식의 특징을 파악하여 해양생태계 법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명찬, "환경의식의 변화와 환경문제의 해결: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7 (7): 1999

      2 이희정, "환경갈등과 환경법의 역할 - 환경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한국법학원 134 (134): 39-56, 2013

      3 박성욱, "해양환경정책 정비 워킹그룹(Working Group) 구성 및 운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4 해양수산부 관계부처합동, "해양환경보전 종합계획" 2006

      5 안기수,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행정조직 및 법체계에 관한 법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6 최환용, "해양환경 보전과 이용에 관한 입법정책의 과제. 해양환경과 에너지" 2017

      7 목진용, "해양환경 관리체계 개선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5

      8 목진용, "해양오염방지법의 정비방안 : 해양환경보전기본법 제정과 관련하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 : 2001

      9 김석기,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양환경영향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해사문제연구소 (5) : 2002

      10 조동오, "해양오염관리 발전계획의 개요 및 추진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통권 (통권): 2001

      1 황명찬, "환경의식의 변화와 환경문제의 해결: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7 (7): 1999

      2 이희정, "환경갈등과 환경법의 역할 - 환경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한국법학원 134 (134): 39-56, 2013

      3 박성욱, "해양환경정책 정비 워킹그룹(Working Group) 구성 및 운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4 해양수산부 관계부처합동, "해양환경보전 종합계획" 2006

      5 안기수,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행정조직 및 법체계에 관한 법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6 최환용, "해양환경 보전과 이용에 관한 입법정책의 과제. 해양환경과 에너지" 2017

      7 목진용, "해양환경 관리체계 개선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5

      8 목진용, "해양오염방지법의 정비방안 : 해양환경보전기본법 제정과 관련하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9 : 2001

      9 김석기, "해양오염방지법상 해양환경영향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해사문제연구소 (5) : 2002

      10 조동오, "해양오염관리 발전계획의 개요 및 추진전략"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통권 (통권): 2001

      11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검토보고서" 2006

      12 이영준, "해양개발기본법에 관한 소고" 대한국제법학회 63 (63): 1988

      13 홍준형, "한국환경법의 현황과 과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행정소송법과 환경법의 현황과 과제" 1997

      14 김철규, "한국인의 환경의식 변화와 신개발주의" 한국사회연구소 16 (16): 37-63, 2015

      15 이소영, "한국인의 환경문제에 관한 인식수준의 비교분석 ― 2007년과 2010년도 환경갈등의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5 (15): 81-109, 2011

      16 조명래, "한국의 환경의식과 환경운동" 한국지역개발학회 13 (13): 2001

      17 김두환, "참여정부의 환경정책에서 시민참여: 평가와 과제" 한국환경사회학회 2003

      18 송동수, "참여정부의 환경정책 평가와 과제- 환경관련법령의 제?개정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법학회 27 (27): 89-121, 2005

      19 고문현, "우리나라 환경법의 문제점과 과제" 법학연구소 25 : 1-30, 2011

      20 표희동, "우리나라 해양환경의 발전방향"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78 : 1999

      21 이봉길, "우리나라 해양오염 관리실태와 정책방향 -유류오염을 중심으로-" 2004

      22 함한희, "어민, 환경운동가, 그리고 정부의 바다인식새만금사업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1 (11): 247-284, 2007

      23 이광모, "신환경패러다임(NEP)의 환경의식: 환경문제에 관한 동양적 인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 2003

      24 백민지,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해양환경안전학회 21 (21): 492-500, 2015

      25 박순열, "복합적 환경의식과 환경행동에 관한 경험적 연구 ― 생태시티즌십 인식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5 (15): 111-144, 2011

      26 김정민, "보호지역 이해집단간 환경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설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779-788, 2014

      27 조명래, "국책사업을 둘러싼 환경갈등의 원인과 구조" 한국환경사회학회 (5) : 2003

      28 조윤애, "국민환경의식에 대한 실증적 분석" 한국환경경제학회 12 (12): 177-204, 2003

      29 해양수산부, "2017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2017

      30 곽소윤, "2016 국민환경의식조사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31 구도완, "1980년대 이후의 한국인의 환경의식" 한국환경정책학회 7 (7):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4-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해양정책연구
      외국어명 : Ocean Policy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73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