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근 10년간 장기연속관측에 근거한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의 파랑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8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에서 10년간 파랑 장기 관측을 수행하고, 주요한 파랑 특성을 분석하였다. 부산항 신항은 S계열 파랑이 연중 우세하며, 겨울철에는 거제도 북부 해역에서 발달하는 W계...

      부산항 신항 인근 해역에서 10년간 파랑 장기 관측을 수행하고, 주요한 파랑 특성을 분석하였다. 부산항 신항은 S계열 파랑이 연중 우세하며, 겨울철에는 거제도 북부 해역에서 발달하는 W계열 파랑이 이에 상응하는 정도로 나타나는 계절적 변동성이 뚜렷이 나타났다. 관측기간 중 유의파고는 대부분 1 m 이하였으나 2003년 9월 태풍 매미 내습 시 최대 유의파고 7.4 m가 관측되었다. 또한, 7월을 제외하고는 계절적 변동성은 거의 없었다. 반면에, 유의파 주기는 평균파향의 영향으로 뚜렷한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내었으며, 첨두주기는 여름철에 4~5초, 겨울철에는 3초 내외에 분포하였다. 유의파주기 최대값은 2003년 6월에 관측된 15.56초였다. 한편, 평균파향, 유의파고 및 유의파주기 모두 연별 변동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남측으로 약 4.5 km 떨어진 대죽도 남측 해역에서 5년간 관측된 자료도 함께 분석하여 여름철에는 두 지점 간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반면 겨울철에는 그렇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ng-term wave observation was carried out near Busan New Port and the major wa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usan New Port, waves from south direction were predominant throughout the year, while waves from the west, developed at the north sea ...

      Long-term wave observation was carried out near Busan New Port and the major wa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Busan New Port, waves from south direction were predominant throughout the year, while waves from the west, developed at the north sea of Geoje island, appeared almost the same frequency in winter season, showing apparent seasonal variation.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significant wave height was mostly less than 1 m, but it reached its maximum of 8.0 m when typhoon Maemi passed on September 2003. Also, the seasonal variation was hardly observed except July. In contrast, seasonal variation was apparent for the significant wave period, whose peak ranges 4~5 s in summer whereas about 3 s in winter. The largest significant wave period was 15.56 s, observed on June 2003. Meanwhile, the annual variation was negligible for mean wave direction as well as significant wave height and period. Further analysis of the wave data acquired for 5 years at 4.5 km south, in the south sea of Daejuk island, confirm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wo observation points in summer and vice versa in wint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호, "한국해안에서의 파랑관측 상황" 93-96, 2009

      2 서경덕,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 (20): 342-354, 2008

      3 오병철, "파향 스펙트럼 추정법의 비교 연구" 2 (2): 119-127, 1990

      4 안경모, "장기 파랑측정자료를 이용한 평상파 산정 방법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6 (16): 178-189, 2004

      5 정원무, "신항만 설계시의 항만가동율 추정" 120-124, 1997

      6 한국해양연구원,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5차) 보고서" 2010

      7 한국해양연구원,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4차) 보고서" 2004

      8 한국해양연구원,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파랑관측연구 용역 보고서" 2009

      9 정재현, "부산 신항역 파랑반응에 따른 부두 가동율 해석" 30 (30): 57-62, 2006

      10 윤한삼, "부산 신항만 건설 전후 가덕도 주변해역의 수리환경 변화 연구" 1-6, 2010

      1 최병호, "한국해안에서의 파랑관측 상황" 93-96, 2009

      2 서경덕, "한국 연안 심해파의 통계적 특성"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 (20): 342-354, 2008

      3 오병철, "파향 스펙트럼 추정법의 비교 연구" 2 (2): 119-127, 1990

      4 안경모, "장기 파랑측정자료를 이용한 평상파 산정 방법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6 (16): 178-189, 2004

      5 정원무, "신항만 설계시의 항만가동율 추정" 120-124, 1997

      6 한국해양연구원,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5차) 보고서" 2010

      7 한국해양연구원, "부산항 신항 해양수리현상 연구개발 용역(4차) 보고서" 2004

      8 한국해양연구원,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파랑관측연구 용역 보고서" 2009

      9 정재현, "부산 신항역 파랑반응에 따른 부두 가동율 해석" 30 (30): 57-62, 2006

      10 윤한삼, "부산 신항만 건설 전후 가덕도 주변해역의 수리환경 변화 연구" 1-6, 2010

      11 정영복, "부산 신항 건설공사에 의한 낙동강 하구에서의 대조시 조류변화예측" 154-157, 2003

      12 오세범, "부산 신항 개발 기본계획" 10-15, 1997

      13 Panicker, N.N., "Enhancement of directional wave spectrum estimates" 258-279, 197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7 0.60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