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분석: 정의지향적(Justice-Oriented) 접근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Practice of Democratic Education: Based on a Justice-Oriented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80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정의지향적 접근을 토대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주요 쟁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이 있는 8명의 초...

      본 연구의 목적은 민주시민교육의 정의지향적 접근을 토대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주요 쟁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이 있는 8명의 초중등 교사들과 협력탐구집단(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을 운영하였으며, CIG의 방법론적 원리와 절차에 따라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실천 지식’을 생성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실천양상은 크게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사회쟁점수업, 사회참여활동으로 범주화되었다. 각 범주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의의와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은 다양한 경험과 학습양식을 지닌 학생들에게 포용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었으나,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을 위해 어떠한 주제를 선정하고, 그것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이 필요했다. 둘째, 사회쟁점수업은 학생들이 쟁점을 둘러싼 다양한 관점과 이해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을 형성하도록 돕는다는 의의가 있었으나, 사회쟁점 배후의 제도적․구조적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합의지향적 토론 문화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사회참여활동은 학생들의 앎과 삶을 연결하는 데 의의가 있었으나, 사회문제의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해 사회참여활동이 어떻게 재조직되어야 하는지, 지역사회와 긴밀한 연계를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 등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정의지향적 민주시민교육 실천에 관한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eachers day-to-day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and its related issues drawn upon a justice-oriented approach to democratic education. Guided by the 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 principles and processes, the 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eachers day-to-day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and its related issues drawn upon a justice-oriented approach to democratic education. Guided by the Collaborative Inquiry Group (CIG) principles and processes, the researchers compiled knowledge of practice in collaboration with eight participating teachers. The findings highlight three types of curriculum/instruction and their related issues that emerged from the teachers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First, the topic-centered integrative curriculum contributes to creating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for diverse students in democratic education, but it raises further questions regarding what kinds of topics are fundamental to justice-oriented democratic education and how teachers could deal with those topics in the classrooms. Second, issue-centered instructions help students see contested issues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build their own perspectives. However, it remains a question of how students could/should deal with the institutional/structural injustices underlying these issues, as well as the dominant culture of consensus-oriented decision making. Finally, the social action approach makes it easier for students to connect learning with their lives, but it remains a question of what critical social actions look like and what types of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schools and communities work together to cultivate social action skill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olicy-leve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정의지향적 접근 Ⅲ. 연구방법 Ⅳ.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정의지향적 접근 Ⅲ. 연구방법 Ⅳ.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 Ⅴ.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흥권,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운영기반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학연구원 (67) : 123-155, 2017

      2 이범웅,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9) : 33-65, 2015

      3 홍윤기,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연구원 (67) : 157-194, 2017

      4 음선필,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시론(試論)" 한국제도∙경제학회 7 (7): 67-95, 2013

      5 조윤정, "학습생태계 확장을 위한 마을교육과정의 개념과 실천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6 백병부, "학교민주주의의 개념과 실행 조건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7 엄수정,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실행 방안: 정의지향적 접근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8 정상우,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95-123, 2019

      9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10 이건, "포용가치 지향의 민주시민교육 필요성에 대한 제언: 국민인식을 기초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4 (34): 171-194, 2020

      1 양흥권,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운영기반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학연구원 (67) : 123-155, 2017

      2 이범웅,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49) : 33-65, 2015

      3 홍윤기,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연구원 (67) : 157-194, 2017

      4 음선필,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시론(試論)" 한국제도∙경제학회 7 (7): 67-95, 2013

      5 조윤정, "학습생태계 확장을 위한 마을교육과정의 개념과 실천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7

      6 백병부, "학교민주주의의 개념과 실행 조건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9

      7 엄수정, "학교급별 민주시민교육 실행 방안: 정의지향적 접근을 중심으로"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8 정상우,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교육법적 관점에서" 대한교육법학회 31 (31): 95-123, 2019

      9 정문성,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8

      10 이건, "포용가치 지향의 민주시민교육 필요성에 대한 제언: 국민인식을 기초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4 (34): 171-194, 2020

      11 신두철, "탈북청소년대상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16

      12 이쌍철, "초․중등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9

      13 박선영, "청소년지도를 통한 시민교육과 인성교육" 한국청소년학회 25 (25): 187-209, 2018

      14 장근영,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 연구Ⅳ : IEA ICSS 2016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15 엄수정, "정의지향적 관점에 비추어 본 민주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경기도교육청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80 : 9-31, 2021

      16 채진원, "인성교육진흥법의 개정방안 논의: 인성–시민성의 연계모델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6 (16): 139-170, 2018

      17 장준호, "인성교육과 민주시민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선행연구: 양심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6 (36): 93-114, 2016

      18 진태원, "을의 민주주의 : 새로운 혁명을 위하여" 그린비 2017

      19 서경혜,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49-76, 2012

      20 배영민, "영국의 사회적 쟁점 수업 연구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2 (22): 23-42, 2015

      21 장근영,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계개발 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22 이지혜, "실천적 참여를 위한 사회과교육방안 탐색 -영국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31-650, 2020

      23 김은주,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7-46, 2010

      24 신형식, "시민사회와 민주시민교육" 13 (13): 29-50, 2012

      25 장영호, "상식과 공공성 개념에 기초한 민주시민교육 방안" 12 (12): 59-107, 2007

      26 이영춘, "민주시민교육, 무엇부터 할 것인가?" 66 : 18-74, 1993

      27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2018

      28 강영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29 허영식,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국제지역연구원 18 (18): 45-64, 2011

      30 황현정, "민주시민교육 정책 정합성 연구 - 경기도교육청 정책을 중심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25-46, 2020

      31 강석, "민주시민교육 걸림돌과 교사의 역량에 관한 고찰: 교사 집단면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131-156, 2019

      32 정창화, "독일의 국가통일과 민주시민교육" 한독사회과학회 30 (30): 103-131, 2020

      33 배지혜, "독일의 5, 6학년 역사교육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5, 2018

      34 양흥권, "독일 정치교육 사례에 기반한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모형 탐색 연구" 원격교육연구소 10 (10): 77-104, 2014

      35 장은주, "‘형성적 기획’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방향과 초점" 한국학연구원 (67) : 7-36, 2017

      36 Misco, T., "‘We do not talk about these things’ : The promises and challenges of reflective thinking and controversial issue discussions in a Chinese high school" 24 (24): 401-416, 2013

      37 Castro, A. J., "What makes a citizen? Critical and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itizenship skills" 41 (41): 219-246, 2013

      38 Cochran-Smith, M., "Troubling images of teaching in no child left behind" 76 (76): 668-697, 2006

      39 Greene, M., "The role of education in democracy" 63 : 3-9, 1985

      40 Schön, D. A.,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Ashgate 1983

      41 Cochran-Smith, M., "Teachers caught in the action" Teachers College Press 45-58, 2001

      42 Larsen, Ø., "Right to dissent : The critical principle in discourse ethics and deliberative democracy"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43 Cochran-Smith, M.,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49-306, 1999

      44 Cohen, E. F., "Jus tempus in the magna carta : The sovereignty of time in modern politics and citizenship" 43 (43): 463-466, 2010

      45 Knowles, R. T., "How common is the common good? Moving beyond idealistic notions of deliberative democracy in education" 71 : 12-23, 2018

      46 Balibar, E., "Historical dilemmas of democracy and their contemporary relevance for citizenship" 20 (20): 522-538, 2008

      47 Cochran-Smith, M.,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503-518, 2006

      48 Banks, J. A., "Failed citizenship and transformative civic education" 46 (46): 366-377, 2017

      49 Biesta, G., "Education and the democratic person : Towards a political understanding of democratic education" 109 (109): 740-769, 2007

      50 Westheimer, J., "Educating the"good"citizen : Political choices and pedagogical goals" 37 (37): 241-247, 2004

      51 Apple, M., "Democratic schools : Lessons in powerful education" Heinemann 2007

      52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Macmillan 1916

      53 Hess, D. E., "Controversy in the classroom" Routledge 2009

      54 Sears, A. M., "Citizenship education and current educational reform" 21 (21): 123-142, 1996

      55 Tobin, K., "Activist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127-148, 2014

      56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30, 2016

      57 Sim, J. B. Y., ""Riding the citizenship wagon" : Citizenship conceptions of social studies teachers in Singapore" 63 : 92-102,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