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양식 기술 발전과정의 한·일비교 = The Comparison of Laver Farming Technology Development Processes i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3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일 두나라의 김양식 기술의 발전과정을 김양식의 시원에서부터 1960년대 말까지 시기를 한정하여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김양식 기술은 가공과정의 기술은 제외하고 바다에서의 김의 육...

      한·일 두나라의 김양식 기술의 발전과정을 김양식의 시원에서부터 1960년대 말까지 시기를 한정하여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김양식 기술은 가공과정의 기술은 제외하고 바다에서의 김의 육성과정기술에 한정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김양식은 17세기 중엽 전남 광양 지역에서의 일본홍(一本?) 섶발양식을 시원으로 하고 있으며, 일본에 있어서는 한국보다 50여년 늦은 17세기 말경에 동경만의 천초어장{淺草漁場}의 일본홍식 섶발양식을 시원으로 하고 있다.
      둘째 광복 때까지의 한국 김양식 기술의 발전과정은 1850년경 어부 정시원이 대나무를 엮어서 만든 염홍(떼발)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1920년 말에는 전라남도 수산시험장장인 가네꼬에 의해 부홍(뜬발)으로 개량되었다.
      특히 1932년에는 어부 오병석에 의해 세날염홍(세움발)이 개발되었다. 세움발은 이전의 부홍양식 기술의 문제점을 개량하여 바람이 거세고 파도가 심한 외해 어장에서도 김양식을 할 수 있어서 널리 보급되었다.
      셋째 종전(1945)까지의 일본의 김양식 기술 변천과정은 식민지 조선의 죽홍식 염홍(떼발), 수평식 부홍(지네발), 세날식 염홍(세움발)등의 김양식 기술이 일본으로까지 전수되지 않고 오직 일본홍(一本?) 바닥 양식의 낮은 기술수준에 머물렀다.
      1920년대말 짚세끼줄망, 야자망, 종려망, 면사등을 재료로 한 망홍에 의한 바닥식 수평 김양식 시험을 여러차례 시도하였으나 산업적으로는 연계되지 않아 별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없다.
      넷째 1945∼1960말까지의 우리나라의 김양식 기술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김발 항목의 길이가 1945년경의 6∼8m에서 1960년대말에는 8∼11m까지 길어져 양식어장의 외해(外海)로 확장되는 변화가 있었다.
      다섯째 종전이후(1945) 일본의 김양식 기술은 1950년대 중반에 인공채묘와 함께 야자망사망홍에 의한 시험양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1958년에 망홍에 의한 부류식 김발양식과 지주식 김발양식 기법이 함께 개발되었다. 이후 일본 김양식은 화학섬유 망홍개발과 함께 인공 채묘, 선박의 FRP, 선외기 기계화, 채취기, 초제 건조기의 개발로 혁신적인 새로운 양식기술이 도입되면서 김양식기술 발전의 기반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결과 한·일간의 김양식 기술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비교하면, 17세기 중엽 일본홍 섶 발양식을 시원으로 하여 일제 강점기때 한국은 19세기(중엽)에 개발된 지주식 죽홍(염홍)발양식이 염홍, 부홍, 세날염홍(세움발)으로 까지 양식기술의 발전과 고도화가 이루어진 반면 일본에 있어서는 일본홍 섶발양식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정체기였음이 새롭게 밝혀지고 있다. 광복이후 1960년대까지 일본에 있어서는 인공채묘 기술을 도입한 망홍 중심의 김양식 기반이 조성되는 시기였으나 그때까지만 해도 일본의 김양식 기술수준은 결코 한국에 앞섰다고 할 수 없다. 한·일간의 김양식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two countries-Korea and Japan were studi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e period limited to from the inception of laver farming to the end of the 1960s.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two countries-Korea and Japan were studi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for the period limited to from the inception of laver farming to the end of the 1960s.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studied in this study were limited to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culturing in the sea excluding the technologies us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aver farming in Kore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in the Gwangyang region in Jeonnam with ilbonhong (one rod laver bed) fascine culturing and laver farming in Japan began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pproximately 50 years later than Korea, in Tokyo Bay with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Secon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by the time of restor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in around 1850, fisherman Jeong Si-Won developed yeomhong (raft laver beds) made by weaving bamboos for the first time and at the end of 1920, Ganekko, the head of Jeollanam-do Fisheries Experimental Station improved the yeomhong into buhong (floating laver beds).
      In particular, in 1932, senalyeomhong (seumbal) was developed by fisherman Oh Byeong-Seok. The seumbal were widely spread as this technology solved problems in the previous buhong culturing technology to enable laver farming even in laver farms with strong winds and high waves.
      Third,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until the end of the war(1945),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the colonial Chosun such as the bamboo yeomhong (ttebal), horizontal raft buhong (jinebal: centipede laver beds), senal type yeomhong(seumbal) were not transferred to Japan and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remained at the low technology level of only ilbonhong culturing at the bottom. At the end of the 1920s, fixed horizontal laver farming at the bottom using straw rope nets, palm leaf nets, hemp palm leaf nets, and cotton yarns was tested many times but theses tests could not be given any particular meaning as the results were not linked to the industry.
      Fourth,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hardly changed between 1945 and the end of 1960. However, the lengths of laver beds increased from 6∼8m in 1945 to 8∼11m by the end of the 1960s so that the laver farms were expanded to open ocean.
      Fifth,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after the end of the war(1945), in the middle of the 1950s, along with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test culturing with palm net laver beds was successfully conducted and in 1958, floating lever bed culturing and pillar type laver bed culturing using the net laver beds were developed together. Thereafter, as innovative new farming technologies were introduced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vessel FRP, outboard mechanization, collectors, and glassware drye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fiber net laver beds, a base for the development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and Japan were compared separately by age, it was newly found out that whereas laver farming in Korea bega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ith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and the pillar type jukhong(yeomhong) culturing technology developed in the 19th century (middle) was developed and upgraded into yeomhong, buhong, and senal yeomhong (seumbal)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Japan were static and did not get out of the category of ilbonhong fascine laver bed culturing. After the time of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to the 1960s, the base of laver farming was formed centering on net laver beds that introduced the artificial seedling collection technology in Japan. However, the laver farming technology in Japan could never be said to have been advanced compared to that in Korea at least by that time. This author wishes to point out that correct perception of laver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 and Japan is necessa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상공부 수산국, "한국수산통계연보"

      2 정문기, "한국 근세 과학기술 100년사 조사연구(수산분야)" 한국과학재단 198-201, 1991

      3 김승, "어촌어업제도의 사회경제적 조사연구" 항하사 11-27, 1999

      4 김승, "어장소유·이용제도 개선" 항하사 88-92, 1993

      5 최정윤, "양식어업의 어장이용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22-54, 2012

      6 김승, "신안군수협 40年史" 신안군수산업협동조 90-97, 2000

      7 수산청, "수산청 30年史" 문원사 53-68, 1996

      8 수우회, "수산년감" 205-211, 1987

      9 수산청, "수산기본통계자료"

      10 김남기, "김의 栽培"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완도해태사업소 73-75, 1970

      1 상공부 수산국, "한국수산통계연보"

      2 정문기, "한국 근세 과학기술 100년사 조사연구(수산분야)" 한국과학재단 198-201, 1991

      3 김승, "어촌어업제도의 사회경제적 조사연구" 항하사 11-27, 1999

      4 김승, "어장소유·이용제도 개선" 항하사 88-92, 1993

      5 최정윤, "양식어업의 어장이용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22-54, 2012

      6 김승, "신안군수협 40年史" 신안군수산업협동조 90-97, 2000

      7 수산청, "수산청 30年史" 문원사 53-68, 1996

      8 수우회, "수산년감" 205-211, 1987

      9 수산청, "수산기본통계자료"

      10 김남기, "김의 栽培"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완도해태사업소 73-75, 1970

      11 박광순, "김양식어가의 경제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도서(섬)학회 5 : 30-46, 1995

      12 김연수, "김양식산업의 발전동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13-129, 2015

      13 김승, "고흥군수협 100年史" 고흥군수산업협동조합 109-123, 2015

      14 서긍, "高麗圖經, 권23, 잡속 2의 漁條"

      15 農商工部, "韓國水産誌, 2" 56-58, 1910

      16 農商工部, "韓國水産誌, 1" 318-320, 1909

      17 朝鮮總督府, "統計年譜"

      18 片田, "淺草海苔盛衰記" 成山堂書店 24-85, 1989

      19 김선묘, "海苔養殖論"

      20 金連守, "海苔養殖經營과 技術에 관한 考察" 부산수산대학 대학원 1983

      21 大房剛, "海苔産業の 現狀と 將來" 成山堂書店 213-217, 2001

      22 宮下章, "海苔の 歷史 第一章 海苔と日本人" 全囯海苔門屋協同組合連合会 263-267, 1970

      23 宮下章, "海苔の 歷史 第一三章 韓囯ノリ" 全囯海苔門屋協同組合連合会 735-752, 1970

      24 "東國輿地勝覽"

      25 宮下章, "東京都內湾漁業興亡史" 東京都內湾漁業興亡史刊行会 559-571, 1971

      26 鄭文基, "朝鮮海苔朝鮮之水産 144" 30-33, 1937

      27 吉田敬市, "朝鮮水産開發史" 朝水會 314-332, 1954

      28 丁若銓, "慈山魚譜"

      29 "世宗實錄地理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