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탁급식전문업체 급식관리자의 소진(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 : 대기업을 중심으로 = Factors Related to Burnout in Contracted Foodservice Managers : focusing on Large Corpor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22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위탁급식전문업체의 급식관리자의 bunrout 경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급식소 요인,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을 분석 규명하고, 이들 요인의 bunrout 경험정...

      본 연구의 목적은 위탁급식전문업체의 급식관리자의 bunrout 경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급식소 요인,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을 분석 규명하고, 이들 요인의 bunrout 경험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급식관리자의 bunrout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급식업체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대기업 위탁급식전문업체의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bunrout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SPSS/PC^+ Package를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그리고 hierarchical regression을 통계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식관리자의 개인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성별과 결혼여부에서 여성과 미혼이 각각 78.3%와 65.6%로 남성과 기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 27.9세로 30세 이하가 전체의 75.9%를 차지하였으며 전문대졸 이상이 전체의 91.1%를 차지하였다. 현 직장근무경력과 전 직장근무경력은 모두 36개월 이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영양사면허증과 조리사자격증을 동시에 소지한 급식관리자가 전체의 55.4%로 높게 나타났다. 직위는 사원이 68.8%로 가장 많았고 정규직이 57.3%로 더 많고 평균 주당 근무시간은 57.2시간으로 나타났고 연봉은 1,500∼2,000만원이 49.7%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다.
      2. 급식관리자의 급식소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급식소 유형은 회사 및 관공서, 공장 및 산업장과 부설기숙사, 중고등학교, 대학급식소, 병원의 순으로 나타났고, 일일 1000식 이상 급식하는 사업장이 46.5%로 가장 많았고, 종업원수는 10명 이하, 11∼20명, 21명 이상이 골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단가제의 위탁계약방식 급식소가 전체의 74.5%로 높았고 1일 1회부터 4회까지의 식사제공 횟수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단의 형태는 단일식단과 복수식단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또한 정량배식과 자율배식도 비슷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1인 식재료비는 1,200원 이하, 1,200∼1,500원, 1,500원 이상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식권을 통한 식비정산이 44.0%로 가장 많았고 피급식자의 식비 부담은 본인과 회사의 공동부담이 전체의 40.7%로 가장 높았다.
      3. 자아 존중감은 3.63±0.42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적 요인은 3.52±0.32점으로 역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조직적 요인 중 역할파악은 4.11±0.3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업무량은 2.95±0.5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bunrout은 3.36±0.71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특히 대상자의 비인격화는 2.62±0.9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나 대상자의 비인격화 정도는 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 Bunrout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학력, 현 직장근무경력, 전 직장근무경력, 자격증, 직종, 주당 근무시간이었다.
      5. Bunrout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급식소 요인은 배식형태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6. 자아존중감과 조직적 요인은 모든 항목에서 급식관리자의 bunrout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7. Bunrout 중 감정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요인 중 성별과 현 직장근무경력이었으며 자아존중감과 조직적 요인의 업무량, 고객사 담당직원과의 관계였다. 대상자의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으로는 전 직장근무경력이었으며 조직적 요인은 역할갈등, 고객사담당직원과의 관계였다. 성취감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요인의 고용형태, 현 직장근무경력, 급식소 요인으로는 급식소 유형,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으로는 고객사 담당 직원과의 관계, 역할갈등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ndeavor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foodservice managers' burnout in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ies run by large corporations in Seoul and the Gyeong-in area, and to analyze the extent of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factors of fo...

      This thesis endeavors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foodservice managers' burnout in contracted foodservice companies run by large corporations in Seoul and the Gyeong-in area, and to analyze the extent of the impact of personal factors, factors of foodservice operations,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structural factors on burnout.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oodservice managers of contracted foodservice operations run by large corporations. The data was processed by the SPSS/PC+ Package,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of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personal factors of foodservice managers including marital status and gender found that 78.3% were female while 65.6% were married. The average age of the foodservice managers was 27.9. Those below the age of 30 accounted for 75.9% while 91.1% had graduated from technical colleges or higher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s regards the length of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workplace and in former workplaces,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d worked for over 36 months. 55.4% of the foodservice managers had license in dieticians and cooks. As regards official positions, 68.8% were classified as regular staff while 57.3% were full-time employees. Their working hours per week averaged 57.2 and 49.7% received annual salaries ranging from 15 million won to 20 million won.

      2. As regards clients of the contracted food services,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made up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manufacturing plants and industrial sites, middle and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hospitals. Those facilities serving more than 1,000 meals per day comprised 46.5% of all the workplaces. The number of foodservice employees per facility ranged from below 10, from 11 to 20 and over 21. Of the contracted foodservice operations, 74.5% operated under a Profit and Loss Contract. The number of meals provided per day ranged from once to four. In terms of menus, both the set menu and choice menu were evenly included. Meal serving methods included both the serving of fixed amount of meals and self-service. As regards the expenses of food ingredients per person, similar proportions were found for the expenses below 1,200 won, between 1,200 and 1,500 won and over 1,500 won. 40.7% of the food expenses were jointly shared by the company and the employees.

      3. The level of self-esteem scored high at 3.63±0.42. The organizational factors also scored high at 3.52±0.32. In particular, among the organizational factors, the ambiguity of roles scored the highest at 4.11±0.38 while the amount of work scored the lowest points at 2.95±0.53. The burnout also scored low at 3.36±0.71. In particular, the depersonalization by other parties scored the lowest at 2.62±0.91 and it showed that the degree of depersonalization by other parties is not a serious factor.

      4. The personal factors showing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burnout were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job, work experience in previous jobs, certificates, types of occupation and weekly working hours.

      5. There were no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the foodservice operations on the burnout with the exception of the types of meal provision.

      6. In the categories of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urnout rate of foodservice managers.

      7. Of the burnout factors, those that impact emotional exhaustion were gender,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job and the sense of self-esteem among personal factors. Included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were the scope of duties and the relation with the staff in charge at client companies. Factors that influence depersonalization by other parties were the work experience in previous jobs in the personal factors, conflict of roles and relation with the staff in charge at client companies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As for factors that impact the decline in the sense of accomplishment, employment status and the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job were found in the personal factors, the types of foodservice operations were found in the factors of foodservice operations while the relation with the staff in charge at client companies and the conflict of roles were found in the organizational fac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국문요약 = ⅰ
      • 목차 = ⅳ
      • 표목차 = ⅵ
      • Ⅰ. 서론 = 1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위탁급식 = 5
      • 2. Burnout의 개념 및 정의 = 7
      • 3. Burnout의 원인 = 9
      • Ⅲ. 연구방법 = 14
      • 1. 연구대상의 선정 = 14
      • 2. 연구방법 및 기간 = 14
      • 3. 연구내용 = 14
      • 4. 자료 처리 방법 = 18
      •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9
      • 1. 급식관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19
      • 2. 급식소 일반적 특성 = 22
      • 3. 급식관리자의 자아존중감 및 조직적 요인, burnout = 25
      • 4. 급식관리자의 burnout 경험정도 = 28
      • 5. 급식관리자의 개인적 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 burnout 분석 = 39
      • 6. 급식관리자의 급식소 요인에 따른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 burnout 분석 = 39
      • 7. 급식관리자의 자아존중감, 조직적 요인에 따른 burnout 분석 = 48
      • 8. 급식관리자의 burnout의 경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52
      • 9. 급식관리자의 burnout의 경험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비교 = 59
      • Ⅴ. 결론 및 제언 = 62
      • 참고문헌 = 67
      • 부록 = 73
      • ABSTRACT =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