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급장교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Career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Junior Grade Officer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9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Junior grade officers. And this study was also done to investigate whet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protect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Junior grade officers. And this study was also done to investigate whet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prot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350 Junior Officers who are taking the Officer’s Advanced Course at the Republic of Korea Army ○○School located in J town, J province. The questionnaire included topics such as career stres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fter the results were gather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areer stress of the Junior grade officers, the low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s a role as a partial mediator in relation to care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empirical studies that the career stress of the Junior grade officers negatively affec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uggests that the career stress of the Junior Officers is related to the potential risk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is, the Junior grade officers in the Republic of Korea Army effectively deal with their career stress by raising internal competencies, such a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help improve mental health and prevent career stress of Student Offic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급장교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을 보호하는 변인으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

      본 연구는 초급장교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을 보호하는 변인으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J도 J군에 위치한 육군○○학교 고등군사반(OAC)에 입교한 초급장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초급장교들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초급장교의 진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급장교의 심리적인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같은 내적 역량을 높여줌으로써 그들의 진로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다루고, 이를 통해 초급장교의 정신건강 증진과 진로스트레스 예방에 도움을 주는 직업교육 및 심리적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미,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2 김성진,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소영, "학습동기와 자율성이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직무창의성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4 박현미, "학교유형과 학업성취가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신뢰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18, 2007

      5 박자경, "학교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6 육군교육사령부, "학교교육 혁신"

      7 주홍석,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73-97, 2012

      8 박미진,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417-435, 2009

      9 김성원,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10 이재희,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1 이찬미,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2 김성진, "한국 육군의 장교단 충원제도와 직업안정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3 이소영, "학습동기와 자율성이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직무창의성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인과구조적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4 박현미, "학교유형과 학업성취가 정서적 지원, 자기효능감, 신뢰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4 (4): 1-18, 2007

      5 박자경, "학교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

      6 육군교육사령부, "학교교육 혁신"

      7 주홍석,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4 (44): 73-97, 2012

      8 박미진,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0 (10): 417-435, 2009

      9 김성원,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10 이재희, "청소년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선경, "청소년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청소년활동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12 허지연, "청년기와 중년기 집단에서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3 이봉재,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6 (36): 227-249, 2012

      14 이정희,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학점은행제 직업전문학교 패션전공생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7

      15 조사무엘,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16 정선정,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27-247, 2011

      17 서정열, "직업군인의 직무 및 경제적 스트레스가 가정폭력에 미치는 영향 : 폭력허용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18 김영태, "직업군인의 정년제도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19 이상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군 초급간부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20 송정덕,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 지혜 및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1 육군본부, "지휘통솔기법, 야전교범 6-0-1" 육군인쇄창 2004

      22 장애화,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안녕감 및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2013

      23 박병만,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취업지원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07

      24 김주신, "제대군인의 사회복귀 지원방안 연구 : 중·장기 복무자의 취업지원정책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25 김재우, "제대군인 취업프로그램 수강자의 만족도가 취업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6 문영숙, "제대군인 취업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27 문형철, "의무복무 기간 끝나도 전역 못하는 軍간부 '군 인사법' 개정목소리 나와"

      28 천태중, "의료관광 관련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5

      29 박정화, "육군 보병 고등군사반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영향요인 규명 및 영향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30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83-109, 2007

      31 조보람, "여대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12, 2017

      32 문미란, "여대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자기효능감 및 다중역할갈등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33 김명소,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15 (15): 19-39, 2001

      34 조완행, "성인 애착과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35 최미경, "생활 스트레스와 지각된 불안 통제감 및 대처양식이 대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81-298, 2005

      36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37 송유미,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대처전략 및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와의 인과관계 모형개발 -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3) : 123-150, 2007

      38 류진열, "빈곤층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및 진로태도성숙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0

      39 신영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감정노동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18

      40 김정란, "베이비부머 세대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98-104, 2017

      41 김경희,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 수용행동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43-60, 2014

      42 이용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효능감 분석 - 공학 및 사회계열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0-67, 2011

      43 황성원,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44 김명옥,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5 이유진,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46 박선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67-81, 2009

      47 안세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통합사회인지 진로모형 구조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48 김태환,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가족지지, 진로결정자율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49 한정신, "대학생의 진로발달" 충남대학교출판부 1991

      50 신종원,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희망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51 박선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52 정재홍,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53 이현주, "대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성역할 태도 및 진로정체감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79-102, 2009

      54 신현균, "대학 4학년생의 성격특성과 성별에 따른 취업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815-827, 2003

      55 박준형, "대위・중사 전역 10명 중 4명, 일자리 없어"

      56 박충민, "군조직 간부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57 조영준, "군 초급간부의 창의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매개효과 및 조직신뢰 조절효과" 울벤처대학원대학교 대학원 2017

      58 이동기, "군 조직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8

      59 金東植, "군 장교의 직업성 보장에 관한 연구" 慶南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60 이연희, "군 간부의 직무스트레스와 방어기제유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대학원 2016

      61 이성만, "국가안보의 이론과 실제" 오름 2013

      62 오연례, "구직자의 취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6

      63 전형택, "고등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23 (23): 81-100, 2016

      64 서경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여성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14

      65 金榮美, "大學生의 스트레스 現況과 性格 特性과의 관계"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66 Betz, N. E., "The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28 : 399-410, 1981

      6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68 Diener, E., "Subjective well-bing" 95 : 542-575, 1984

      69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98): 310-357, 1985

      70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71 Tram, J. M.,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ce: Mediator or moderator?" 109 (109): 753-760, 2000

      72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73 Lent, R. W., "Relation of Self -Efficacy Expectations to Acsdemic Achievement and Persistence" 31 : 356-362, 1984

      74 Collins, J., "Predictors of stress amongst social workers: An empirical study" 26 (26): 375-387, 1996

      75 박희락, "Predic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from maladaptive perfectionism via career stress and use of coping strategies"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76 McWhirter, E. H., "Perceived barriers to education and career: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50 : 124-240, 1997

      77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57): 1069-1081, 1989

      78 Betz, N. 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exploration and decidedness" 46 (46): 179-189, 1997

      79 Lim, C. K., "Computer Self-Efficacy, Academic Self-Concept, and Other Predictors of Satisfaction and Future Participation of Adult Distance Learners" 15 (15): 41-52, 2001

      80 Super, D. E., "Career and life development" Jossey-Bass 1984

      81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82 Hackett, G., "An exploration of the mathematices self-efficacy / mathematics performance correspondence" 20 : 261-273, 1987

      83 Hackett, G.,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an" 18 : 326-339, 19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