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근세의 농법과 수리시설 =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Early Modern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52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중·근세사회의 농법과 수리시설의 변화, 발달과정 등을 문헌 자료 검토와 발굴 보고서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의 경지이용방식은 文宗代 田品 규정에서 볼 때 1년 또는 2년 ...

      한국 중·근세사회의 농법과 수리시설의 변화, 발달과정 등을 문헌 자료 검토와 발굴 보고서 분석을 통해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의 경지이용방식은 文宗代 田品 규정에서 볼 때 1년 또는 2년 休閑法이었다. 벼 경작법이 고려말에 이르러 休閑法에서 連作法으로 변화 발전하였다. 고려후기 한전경작법은 1년 1작의 연작법이었다. 고려시대 경작유구의 사례에서 여러가지 밭작물을 두둑을 중심으로 경작하고 있었던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고려시대의 수리시설 관련 기록은 12세기부터 집중적으로 나오는데, 新田 開墾과 벼 재배 비중이 확대되었기 때문이었다. 고려의 수리시설은 洑, 堤堰, 河渠, 防潮堤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경상도 양산 지역의 黃山堰의 경우 황산역 주변에 대한 治水 사업과 田畓 의 보호를 위해 만든 제방이었다. 尙州 恭儉池의 경우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에 걸쳐 제 방의 增築, 補築, 改築이 계속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벼 재배법은 水耕과 乾耕, 그리고 挿種 즉 移秧이었다. 이앙법은 16세기를 거치면서 경상도 전역과 전라도·충청도의 일부 지역으로 보급되었다. 그리고 15세기에 밭에서 여러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1년 1작 방식이었다. 조선시대 자기편, 도기편과 함께 출토된 밭유구에서 밭의 구조와 조성방식의 특색 등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수전의 경우 경지 표면의 水平을 잘 유지하는 방식으로 조성되었고, 습지의 개간은 토양의 개선, 토양의 첨입 등이 필요하였다. 조선 전기의 水利 정책은 堤堰, 川防 등 수리시설의 축조와 관리를 중심으로 펼쳐졌다. 水田이 크게 증대하면서 수리시설의 필요성이 커졌다. 김제 碧骨堤의 경우 방조제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石柱와 木板으로 貯水하는 제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밀양 守山堤 의 경우 水沈, 沈沒과 같이 강물이 넘쳐 물에 잠기는 피해를 막기 위한 용도의 제방이었다. 조선 후기 농법 발달의 대표적인 것은 水田 移秧法의 보급 확산이었다. 숙종 초반 17세기 후반에 이르게 되면 삼남지역에서 이앙법이 전면적으로 채택되고 있었다. 그리고 16세기 후반을 거치면서 밭작물을 1년에 두 번 경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7세기 이후로 추정되는 水田 유적에서 농경활동의 흔적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밭유구에서 두 둑, 고랑, 식재흔적 등을 세밀하게 밝힐 수 있다. 조선 후기에도 堤堰과 川防을 수리시설로 이용하였는데, 조정은 새로운 堤堰과 川防의 축조, 그리고 기존 수리시설의 관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洑의 중요성이 강조되여 開洑 (洑의 개설·축조)를 강조하였다. 華城城役과 관련된 萬石渠의 경우 水口를 만들고, 남쪽 水路 입구에 水閘을 설치하였다. 앞으로 여러 지역의 많은 수리시설에 대한 발굴조사와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ims to explain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 Early Modern Age. To acquire this aim, I`ve analyzed many literature about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also researched s...

      This essay aims to explain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 Early Modern Age. To acquire this aim, I`ve analyzed many literature about the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also researched some examples about excavation report of cultivation remains. During Korea Dynasty, the basic way of arable land utilization was the method of fallow by one or two years. But in the late days of Korea Dynasty, they developed the method of repeated cultivation. We can draw a deduction that they cultivated various crops on a ridge between fields, in the result of analysis of excavation report of cultivation remains. And many irrigation facilities was constructed and rebuilded, repaired from Korea Dynasty to Joseon Dynasty like Hwnagsan-ern and Gonggeum-ji.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y cultivated rice and other crops in the wet or dry field. They accepted the method of repeated cultivation as a natural cultivation method. And in the 16th century, the technique of transplantation of rice seedling in rice cultivation was spreaded into Chenrado and Chungchengdo. The government of Joseon Dynasty constructed many small dams and bo for irrig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water supply establishment had been increased in 15th and 16th century. The typical two examples of dam were Beoyggol-je and Susan-je. Beoyggol-je was not breakwater but an irrigation reservoir. And Susan-je was breakwater to prevent flooding of Nakdong River. During the late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y developed the method of bring up rice seedling. Expert farmer had been eager to improve this technic, therefore there were large amount of improvement. In the side of irrigation facilities, Joseon government executed traditional policy that strengthened the management of irrigation facilities. If we could examin all the remaining irrigation facilities, we have collected research material abou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techniques and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edieval Age · Early Modern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의 농법과 수리시설
      • 1. 고려시대 농법의 변화
      • 2. 고려의 수리시설 활용
      • Ⅲ. 조선 전기의 농법과 수리시설
      • Ⅰ. 머리말
      • Ⅱ. 고려시대의 농법과 수리시설
      • 1. 고려시대 농법의 변화
      • 2. 고려의 수리시설 활용
      • Ⅲ. 조선 전기의 농법과 수리시설
      • 1. 조선 전기 수전농법과 한전 농법
      • 2. 조선 전기의 수리시설
      • Ⅳ. 조선 후기의 농법과 수리시설
      • 1. 조선후기 농법의 발달과 경작유구
      • 2. 조선후기의 수리시설
      • Ⅴ.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度支田賦考"

      2 "度支志"

      3 李光麟, "李朝水利史硏究" 韓國硏究院 1961

      4 "六典條例"

      5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행정타운 종촌리 수전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자료집" 2008

      6 이춘녕, "한국農學史" 民音社 1989

      7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 Ⅲ 본문 -1" 2011

      8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9 염정섭, "조선 초기 密陽 守山堤 國屯田의 설치와 경영"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36 : 2006

      10 양기석, "제천 의림지의 역사성과 가치" 2009

      1 "度支田賦考"

      2 "度支志"

      3 李光麟, "李朝水利史硏究" 韓國硏究院 1961

      4 "六典條例"

      5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행정타운 종촌리 수전유적 문화재 발굴조사 지도위원회자료집" 2008

      6 이춘녕, "한국農學史" 民音社 1989

      7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진주 평거 3-1지구 유적 - Ⅲ 본문 -1" 2011

      8 염정섭, "조선시대 농법 발달 연구" 태학사 2002

      9 염정섭, "조선 초기 密陽 守山堤 國屯田의 설치와 경영"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36 : 2006

      10 양기석, "제천 의림지의 역사성과 가치" 2009

      11 염정섭, "정조 후반 화성의 수리시설 축조와 둔전 경영, In 한국농업연구 200년-전통과 계승방안-" 농촌진흥청·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1999

      12 곽종철, "우리나라 논유구 집성" 경기대학교박물관 6 : 2003

      13 김기흥, "신라의 ‘水陸兼種’ 농업에 대한 고찰-‘回換農法’과 관련하여-" 韓國史硏究會 94 : 1996

      14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상주 공검지 복원·정비사업부지내 문화재 발(시)굴조사 지도위원회 자료집" 2010

      15 박성현, "벽골제의 방조제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관배수학회 10 (10): 2003

      16 윤호필, "밭유구 조사법 및 분석방법"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1) : 33-72, 2006

      17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무주 무풍우회도로 건설공사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약보고서" 2009

      18 김환기, "김제 벽골제의 토목공학적 고찰" 대한토목학회 56 (56): 2008

      19 권영국, "고려시대 農業生産力 연구사 검토" 58·59 : 1999

      20 李宗峯, "고려시기 水田農業의 발달과 移秧法"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6 : 1993

      21 국립중앙박물관, "겨레와 함께 한 쌀"

      22 賈思勰, "齊民要術"

      23 李正浩, "高麗後期의 農法 -농법 발달과 무신정권기 사회변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國史編纂委員會 98 : 2002

      24 위은숙, "高麗後期 農業經濟硏究" 혜안 1998

      25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6

      26 "高麗史"

      27 李泰鎭,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6

      28 李泰鎭, "韓國社會史硏究" 지식산업사 1986

      29 金容燮, "韓國中世農業史硏究" 지식산업사 2000

      30 郭鐘喆, "韓國 農耕文化의 形成" 학연문화사 2002

      31 李簷, "雙梅堂莢藏集"

      32 윤무병, "金堤 碧骨劑 發掘報告" 7 : 1976

      33 金容燮, "農書輯要의 농업기술" 2 : 1987

      34 "農書輯要"

      35 "農事直說"

      36 "華城城役儀軌"

      37 元天錫, "耘谷行錄"

      38 金堉, "潛谷遺稿"

      39 白文寶, "淡庵逸集"

      40 郭鐘喆, "沖積地遺蹟·埋沒 논의 조사법 소개(下)" 韓國上古史學會 25 : 1997

      41 郭鐘喆, "沖積地遺蹟·埋沒 논의 조사법 소개(上)" 韓國上古史學會 24 : 1997

      42 李奎報, "東國李相國集"

      43 閔成基, "朝鮮農業史硏究" 一潮閣 1990

      44 "朝鮮王朝實錄"

      45 金容燮, "朝鮮後期農學史硏究" 一潮閣 1988

      46 문중양, "朝鮮後期 水利學과 水利담론" 集文堂 2000

      47 金泰永, "朝鮮前期土地制度史硏究" 知識産業社 1983

      48 정치영, "智異山地 벼농사의 灌漑體系와 물管理方法" 大韓地理學會 80 : 2000

      49 "新增東國輿地勝覽"

      50 崔瀣, "拙藁千百"

      51 "承政院日記"

      52 李載龒, "孫寶基博士停年紀念論叢" 정년기념논총편찬위원회 1988

      53 趙載英, "四訂 田作" 鄕文社 2004

      54 "備邊司謄錄"

      55 "京畿各邑堤堰都結成冊" 奎章閣

      56 鄭道傳, "三峯集"

      57 안병우, "『한국역사입문』 ②" 풀빛 1995

      58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동부산 관광단지 조성사업 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2009

      59 오인택, "『農書輯要』를 통해서 본 조선 초기의 耕種法" 부산경남역사연구소 (5) : 2006

      60 동북아지석묘연구소, "『4대강(영산강) 살리기 사업구간 내 나주 진포동 포두유적 약보고』 자료집" 2010

      61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4대강 살리기 하천환경정비사업구간내 (양산 증산리 유물산포지 1구간)문화유적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자료집"

      62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4대강 하천환경정비사업구간내 창녕 창천리 유물산포지 Ⅱ 2구간 문화유적 발굴조사 자문위원회 자료집" 2010

      63 경기문화재연구원, "4대강 살리기(한강) 여주2지구(가야지구) 유물산포지15 문화재 발굴조사약보고서" 2010

      64 경기문화재연구원, "4대강 살리기 한강권역 여주2지구(삼합지구) 유적추정지8 문화재 발굴조사약보고서" 2010

      65 염정섭, "2011 매장문화재법의 두 가지 현안과대안" 혜안 2011

      66 염정섭, "14세기 高麗末, 朝鮮初 농업기술 발달의 추이 -水稻 耕作法을 중심으로-" 한국농업사학회 6 (6): 97-12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