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희첨 추출물의 생육억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82652

      • 저자
      •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 생물공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60.6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인천

      • 형태사항

        35p. ; 26cm

      • 일반주기명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의해 보호 받습니다.
        지도교수:허태련
        참고문헌 : p.30-33

      • 소장기관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식품가공 저장 및 유통 중에서 식중독 유발세균의 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또한 항생제의 대량 사용으로 인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의 내성도 증가하고 있다. 천연물로부...

      식품가공 저장 및 유통 중에서 식중독 유발세균의 오염으로 인한 식중독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또한 항생제의 대량 사용으로 인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의 내성도 증가하고 있다. 천연물로부터 이런 식중독 유발세균의 생육을 억제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독한 항균성 물질을 찾아내어 식품 또는 의약품에 적절히 이용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32가지 천연 생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을 식중독 유발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에 대해서 paper disc methods,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건조필름방법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택사, 독활, 황기, 희첨 등 9가지 생약재가 이들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중 희첨은 실험 균주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지금까지 희첨에 대한 항염증, 활성산소 저해, 혈압강하 작용 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있지만, 항균활성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희첨의 E.coli O157:H7과 S.aureus의 MIC는 500 μg/ml로 나타났고, B.cereus와 B.subtilis에 대한 MIC는 125 μg/ml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희첨의 항균활성물질의 분리동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희첨을 용매분획별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n-hexane 추출물에서 S.aures, B.cereus, B.subtilis에 대해 , 100ppm의 낮은 농도에서도 억제효과가 80% 이상 나타내어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희첨의 항균활성물질은 극성이 높은 물질일 것으로 사료되며,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능력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인 희첨의 n-hexane 추출물을 시판 세제에 응용하여 항균효과를 확인한 결과 S.typhimurium를 제외한 모든 실험 균주에서 기존 시판세제에 비해 항균활성도가 높았으며, 특히 B.cereus에서는 기존 시판세제에 비해 항균활성도가 36.2%가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o search for anti-microbial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we teste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ethanolic extracts of 15 medicinal herbs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

      In order to do search for anti-microbial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herbs, we teste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ethanolic extracts of 15 medicinal herbs on foodborne pathogenic microorganisms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cereus) using disc-diffusion and turbidity assays. Among tested extracts, Siegesbeckiae glabrescens ethanolic extract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on three tested Gram positive pathogens. The growth inhibition zones of S. glabrescens (1,000 ppm) against S. aureus, B. cereus, and B. subtilis were 12.0, 13.0, and 16.7 mm, respectively. In addition, S. glabrescens (100-1,000 ppm) showed a high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55.8-75.6% against above pathogens in the turbidity assay. Among the solvent fractionates from ethanolic extracts of S. glabrescens, the n-hexane soluble fractionates (1,000 ppm) displayed strong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100% against S. aureus, B. cereus, and B. subtilis. Therefore, S. glabrescens could be useful as an antimicrobial agen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2. 재료 및 방법 = 5
      • 2.1. 시료 = 5
      • 2.2. 사용균주 및 배지 = 5
      • 2.3. 시약 = 5
      • 1. 서론 = 1
      • 2. 재료 및 방법 = 5
      • 2.1. 시료 = 5
      • 2.2. 사용균주 및 배지 = 5
      • 2.3. 시약 = 5
      • 2.4. 시료 추출물의 조제 = 8
      • 2.5. 활성물질의 추출 및 분획 = 8
      • 2.5.1. 희첨 에탄올 추출 = 8
      • 2.5.2. 희첨 용매 분획 = 9
      • 2.6.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색 = 12
      • 2.6.1. 한천 확산법 (paper disc method) = 12
      • 2.6.2. 액체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 = 12
      • 2.6.3. 최소저지농도 측정(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 13
      • 2.7. 시판 세제에의 응용 = 14
      • 3. 결과 및 고찰 = 15
      • 3.1.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 = 15
      • 3.2. 생약재 추출물의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 15
      • 3.2.1. 생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 15
      • 3.2.2. 최소저지농도(MIC) = 16
      • 3.3. 희첨의 용매분획별 항균활성 = 22
      • 3.4. 희첨 n-hexan 추출물의 시판 세제에의 응용 = 26
      • 4. 결론 = 28
      • 5. 참고문헌 = 3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