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변화 양상과 개선 방향 = An Aspect of Change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Introductory Book to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lementary Education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57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가 초등사회과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

      본 연구는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가 초등사회과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를 선정하여 시기 구분을 하였고, 분석틀에 따라 변화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로서 사회과의 본질 규정에 따라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체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의 고유성을 나타낸 개론서는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교과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 셋째,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는 아동의 수준에 따른 내용 선정과 수업 방법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사회과의 통합성을 강조한 개론서는 교과 내,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 개발을 위해 교과의 통합성과 아동의 발달성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세구, "한국사회과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89

      2 강우철, "한국사회과 교육의 30년" 10 : 4-7, 1977

      3 김용만, "한국 사회과교육의 변천과 전망" 20 : 61-93, 1987

      4 옥일남,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57-86, 2017

      5 양슬기 ; 한동균,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87-110, 2019

      6 강대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 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63-89, 2015

      7 박선미,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273-285, 2004

      8 전국교육대학연합회 초등사회과교육분과협의회, "초등사회과교육" 교학도서주식회사 1966

      9 초등사회과교육연구회, "초등사회과교육" 교육출판사 1969

      10 김여칠, "초등사회과교육" 수업연구사 1968

      1 정세구, "한국사회과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89

      2 강우철, "한국사회과 교육의 30년" 10 : 4-7, 1977

      3 김용만, "한국 사회과교육의 변천과 전망" 20 : 61-93, 1987

      4 옥일남,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고찰: 초·중·고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교육과정기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57-86, 2017

      5 양슬기 ; 한동균,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87-110, 2019

      6 강대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 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63-89, 2015

      7 박선미, "통합 교육과정과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화해 가능성 탐색 -중학교 사회과 통합 방향에 관한 교사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2 (12): 273-285, 2004

      8 전국교육대학연합회 초등사회과교육분과협의회, "초등사회과교육" 교학도서주식회사 1966

      9 초등사회과교육연구회, "초등사회과교육" 교육출판사 1969

      10 김여칠, "초등사회과교육" 수업연구사 1968

      11 사회과교재연구회, "초등사회과교육" 학문사 1973

      12 서재천, "초등사회과교육" 도서출판 유천 2004

      13 정태호, "초등사회과 기능 목표 계열화 원리의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14 유승희, "초등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탐구 영역" 13 (13): 181-203, 2000

      15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16 이동원, "초등교육 정체성 탐색: 나의 행복, 전문성 구현의 전제 조건"

      17 이동원, "초등 통합교육과정 개발 연구" 경기도교육청 2012

      18 정광순,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4 (4): 1-20, 2010

      19 최용규, "초등 사회과교육 60년: 변천과 전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29-256, 2005

      20 한면희, "초등 사회과 교육학의 탐색" 9 : 81-100, 1995

      21 은지용,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 원리의 복합적 적용 과정에 대한 연구- 자전적 성찰 경험에 기반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7 (57): 59-80, 2018

      22 박종국, "초등 교과의 맥락적 의미 탐색" 한국교육학회 45 (45): 59-85, 2007

      23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초등 교과교육의 이해" 양서원 2017

      24 박남수, "초기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에 영향을 끼친 미국 근대 교육과정의 구조와 특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16, 2010

      25 한면희, "새로운 패러다임에 기초한 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2001

      26 이종일, "삶을 위한 통합적 사회과 교육" 교육과학사 2020

      27 이상선, "사회생활과의 이론과 실제" 금룡도서문구주식회사 1946

      28 허현, "사회생활과 해설" 제일출판사 1946

      29 김정인, "사회과통합형 초등 역사교육 모색" 한국역사교육학회 (27) : 183-224, 2017

      30 김명정, "사회과교육학의 연구사(硏究史)적 접근 -1963년부터 2010년까지"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23-53, 2011

      31 이찬, "사회과교육의 도입과 변천과정 및 전망" 5 : 4-7, 1971

      32 권오정, "사회과교육(1)"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소 1988

      33 이찬, "사회과교육 50년의 회고" 3 : 3-10, 1996

      34 강우철, "사회과교육"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3

      35 사회과교재편찬회, "사회과교육" 형설출판사 1972

      36 서재천, "사회과 초등교육과정론" 22 : 149-161, 1989

      37 이바름, "사회과 기능 체계화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38 안영순, "사회과 교육학자로서의 강우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39 남호엽 ; 류현종, "사회과 교육목표에 나타난 교과의 성격: 교육과정 변천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81-91, 2009

      40 장혁준, "사회과 간학문적 통합을 위한 핵심개념 계열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7 (47): 83-122, 2020

      41 이운발, "내용 적정화를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략 -‘주제 스트랜드’를 도입한 단원 재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1-148, 2006

      42 윤용탁, "국민학교사회과교육" 서울대학교출판사 1976

      43 Beane, J. A., "교육과정 통합: 민주적인 교육의 핵심을 지향하는 설계" 춘천교육대학교 출판부 2019

      44 이동원, "교육과정 이행기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성과 수업실천 양상 - 2011학년도 6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49-60, 2011

      45 나경훈, "교육과정 생성의 관점으로 본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육과정 실행" 경인교육대학교교육전문대학원 2021

      46 배주경,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47 이동원, "2007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의 논쟁점과 과제 - 내용배열논리의 혼재와 통합수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59-83, 2008

      48 나경훈 ; 이동원 ; 박원진, "1990년대 이후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서울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원 38 (38): 307-326,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