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코스프레 집단의 문화기술지적 연구 I- 한국의 코스프레 집단의 분석 - = An Ethnographic Study on CosPlay Group in Korea I- Analysis on CosPlay Groups in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7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goes into the field of CosPlay that takes place in Korea, and directly observes the people who engage in CosPlay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reasons why the CosPlay aficionados participate in this practice a...

      This study goes into the field of CosPlay that takes place in Korea, and directly observes the people who engage in CosPlay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reasons why the CosPlay aficionados participate in this practice and their cultural preferences. Ethnography methodology was us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he cultural entities of CosPlays. Moreover, this research attempted to understand their daily formalities through their own perspective and language instead of superficial language. In general, CosPlay form that they manifest is classifi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ose who enjoy posing by becoming their favorite characters and those like to wear the clothes of their favorite characters and go up on the stage to perform an act of animation or game where the applicable character appears. Some of these groups are: 1) 'Bishojo CosPlay' that CosPlays mostly Bishojo cartoon characters and wants to just stand out, 2) 'Aekyo' group that CosPlays merely for the sake of the enjoyment of wearing costumes instead of having the mania-like characteristics, 3) ‘CosPlayer Group’ who enjoy doing organized team CosPlay in order to present a performance, 4) 'J-Rock CosPlay' group that CosPlay Japanese visual rock groups and prepare to be among a professional CosPlay team, and 5) 'People related to Cospre.com' who try to make CosPlay rooted in as one of new cult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2 "테마기획 "21세기 가면무도회 ‘코스프레’ 아시나요" "21세기 가면무도회 ‘코스프레’ 해보세요" 경향신문 2004

      3 "코스프레 매니어 한국 문화 보여줘" 중앙일보. 2001

      4 "코스튬플레이어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6권 1호 : 2004

      5 "질적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문화기술지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35권 1호 : 1997

      6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2

      7 "의복과 문화적 접근 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성" 24권 4호 : 2000

      8 "원령공주와 스타크래프트" 서조 1999

      9 "우리나라 코스플레 하위문화의 외모 특성과 상징적 의미" 25권 1호 : 2001

      10 "영화와 만화속 주인공 될래요" 세계일보 2005

      1 "학교를 찾는 아이 아이를 찾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2000

      2 "테마기획 "21세기 가면무도회 ‘코스프레’ 아시나요" "21세기 가면무도회 ‘코스프레’ 해보세요" 경향신문 2004

      3 "코스프레 매니어 한국 문화 보여줘" 중앙일보. 2001

      4 "코스튬플레이어들의 라이프 스타일과 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6권 1호 : 2004

      5 "질적연구의 지적 전통과 그 예 문화기술지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35권 1호 : 1997

      6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2

      7 "의복과 문화적 접근 질적 연구 방법의 중요성" 24권 4호 : 2000

      8 "원령공주와 스타크래프트" 서조 1999

      9 "우리나라 코스플레 하위문화의 외모 특성과 상징적 의미" 25권 1호 : 2001

      10 "영화와 만화속 주인공 될래요" 세계일보 2005

      11 "떠나자.. 힘겨운 세상 판타지 속으로 새문화코드..‘환상족’." 조선일보 2005

      12 "대중 소비문화와 청소년 문화 -자발성과 저항성의 억압- 방송문화연구" 한국방송공사 25-47, 1992

      13 "mbc 화중 6시" 2000.8

      14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문화의 해석" Basic Books 19731998

      15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1998

      16 "EBS 10대 리포트"상상과 현실 사이 - 코스프레" 2000

      17 "A Theoretical Introd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McGraw-Hill 1978

      18 "2001년 상반기 동/남대문 소매상권 경쟁력 분석" 삼성패션연구소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8 0.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