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무형식학습 활동을 매개로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being mediated by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employees in hotel and food services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1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tel and food service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n, analyze the mediative effects of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hotel and food service employees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ir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en, analyze the mediative effects of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For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sampled hotel and food service employees in Seoul who had worked for a year longer. A total of 312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subject's protean career attitude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the protean career attitude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such variables of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as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Thirdly,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had some positive effects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Fourthly,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s well as its subjective career succes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were important for subj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tha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differed depending on the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The high-level informal learning activities served to enhance job professionalism and customer orientation, and after all, conduced to the enhancement of career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

      본 연구는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의 하위요소인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무형식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함양한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의 촉진을 위해서는 무형식학습 활동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신만의 가치를 가지고 심리적 성공을 목표로 경력개발에 힘쓰는 종사자는 일터에서 구성원과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하며 성찰과 새로운 학습 기회 탐색으로 무형식학습 활동 정도를 높이게 되고, 높은 수준의 무형식학습 활동은 업무전문성과 고객지향성을 높이고 결국 경력만족, 직무만족, 고용가능성을 높여 주관적 경력성공을 높게 지각하게 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 및 외식업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 관점의 논의가 제시되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도 본 연구에서는 제시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은, "호텔 종업원의 프로틴 경력 태도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67-91, 2012

      2 고종식,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장애의 조절효과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86-108, 2014

      3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4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와 무경계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33-62, 2015

      5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6 변향미, "평생교육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2015

      7 정홍인, "팀 내 무형식학습과 사회적 자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남춘호, "지식정보사회의 경력과 생애과정" 21 : 2-5, 2005

      9 김현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정체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1-27, 2016

      10 문세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관련 변인" 한국성인교육학회 14 (14): 111-138, 2011

      1 김정은, "호텔 종업원의 프로틴 경력 태도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7 (7): 67-91, 2012

      2 고종식, "프로틴 경력태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력장애의 조절효과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29 (29): 86-108, 2014

      3 김시진, "프로틴 경력태도, 무경계 경력태도 및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분석" 대한경영학회 23 (23): 1899-1915, 2010

      4 박용호, "프로티언경력태도와 무경계경력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10 (10): 33-62, 2015

      5 심미영,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 : 경력개발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6 변향미, "평생교육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경력몰입의 관계에 대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2015

      7 정홍인, "팀 내 무형식학습과 사회적 자본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8 남춘호, "지식정보사회의 경력과 생애과정" 21 : 2-5, 2005

      9 김현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경력정체의 매개효과" 한국기업교육학회 18 (18): 1-27, 2016

      10 문세연,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관련 변인" 한국성인교육학회 14 (14): 111-138, 2011

      11 배을규,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 학습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접근성의 조절효과" 한국산업교육학회 (23) : 1-25, 2011

      12 배을규, "중소기업 구성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한국인력개발학회 16 (16): 1-25, 2014

      13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14 장은주, "주관적 경력성공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12 (12): 77-104, 2004

      15 윤하나,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별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19 (19): 325-347, 2006

      16 최신형,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2015

      17 이윤하, "일터 무형식 학습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5 (5): 91-115, 2010

      18 장원섭, "인적자원개발 :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11

      19 신수림, "산업체 종사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고용안정성, 조직경력관리지원, 프로틴 경력태도, 프로틴 경력관리행동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0 위영은, "사회 연결망에서의 무형식학습 연구: A병원행정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149-173, 2010

      21 김인숙, "방과후학교 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주 도학습 능력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2015

      22 배을규,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가 경력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 효과"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91-113, 2014

      23 박혜선, "무형식학습 영향 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213-245, 2012

      24 정문영, "멘토링 기능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4 (24): 1675-1692, 2011

      25 장원섭,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 적응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6 (26): 141-164, 2007

      26 김은석,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테우스적 경력 태도와 개인 및 조직 특성의 위계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171-189, 2011

      27 신수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지속학습활동, 경력정체성 및 경력적 응성,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간의 구조적 관계" 고려대학교 2016

      28 남중수,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개인 및 조직특성의 위계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9 박종선, "대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권한위임,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의 관계" 한국성인교육학회 15 (15): 143-171, 2012

      30 박용호, "기업의 학습조직 구축정도, 자기주도 학습능력,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5 (15): 53-79, 2013

      31 안동윤, "기업에서의 무형식학습에 관한 연구 : Action Learning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2 이성엽, "기업에서의 무형식 학습에 대한 사례연구 : A은행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3 조현정, "기업비서의 무형식학습 활동과 상사-비서 교환관계 임파워먼트 직무특성 및 직무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2015

      34 신은경, "기업내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결과, 학습전이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25-59, 2012

      35 김보경,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요인 및 성별조절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 메타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123-148, 2013

      36 김흥국, "경력개발의 이론과 실제" 다산출판사 2000

      37 김성국, "경력(Career)개념의 변화와 미래 방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17 (17): 5-29, 1999

      38 이상진, "경력 정체성과 경력 적응성이 경력 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39 김혜영, "간호사들의 무형식학습 양상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181-207, 2009

      40 Rowden, R. W.,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learning and job satisfaction in US small to midsize businesses" 13 (13): 407-425, 2002

      41 Hall, D. T., "The new career contract : Developing the whole person at midlife and beyond" 47 (47): 269-289, 1995

      42 Locke, A. E.,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dunnette.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 McNally College 1976

      43 Baron, R. M., "The moderator-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44 Malcolm. J.,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informal and formal learning" 15 (15): 313-318, 2003

      45 Briscoe, J. P., "The interplay of boundaryless and protean careers : Combinations and implications" 69 (69): 4-18, 2006

      46 Seibert, S. E.,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8 (58): 1-21, 2001

      47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155-176, 2005

      48 Hall, D. T., "Protean careers of the 21st century" 10 (10): 8-16, 1996

      49 De Vos, A., "Protean attitude and career success : the mediating role of self-management" 73 (73): 449-456, 2008

      50 Briscoe, J. P., "Protean and boundaryless careers : An empirical exploration" 69 (69): 30-47, 2006

      51 Seibert, S. 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84 (84): 416-427, 1999

      52 Kremer, A. L.,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workplace learning:Demographic, situational, motivational and deterrent factors"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06

      53 Ng, T. W., "Predictor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A meta-analysis" 58 (58): 367-408, 2005

      54 윤선영, "PCO의 멘토링 기능과 경력만족 및 경력몰입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24 (24): 2675-2690, 2011

      55 Feldman, M. S., "Organizational routines as a source of continuous change" 11 (11): 611-629, 2000

      56 Grolnic, S. R., "Informal learning in the workplace: What can be learned doing a McJob?" Harvard University 2001

      57 Marsick, V. J.,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in the workplac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58 Choi, W., "Influences of Formal Learning,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Informal Learning among Middle Managers in The Korean Banking Sector" Ohio State University 2009

      59 Johnson, C. D., "In search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areer success Athens" Th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1

      60 박용제, "IT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대한 무형식학습 활동의 매개효과" 인하대학교 2017

      61 Kolb, D.,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rice-Hall 1984

      62 Alonderienė, R., "Enhancing informal learning to improve job satisfaction : Perspective of SMEs managers in Lithuania" 5 (5): 257-287, 2010

      63 Greenhaus, J. H.,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33 (33): 64-86, 1990

      64 Verbruggen, M., "Does early-career underemployment impact future career success? A path dependency perspective" 90 : 101-110, 2015

      65 Brooks, A. K., "Critically reflective learning within a corporate context"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989

      66 Heslin, P. A.,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career success" 26 : 121-, 2005

      67 Hall, D. T., "Careers in and out of organizations" Sage 2002

      68 심영국, "CDP의 지향성에 따른 경력 닻(Career Anchor)과 경력유효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내 특급호텔 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8 (18): 39-57, 2009

      69 Judge, T. 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predictors of executive career success" 48 (48): 485-519, 1995

      70 Lohman, M. C., "A survey of factor influencing the engagement of two professional groups in informal workplace learning activities" 16 (16): 501-527, 2005

      71 고용노동부, "16 12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발표 보고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력개발연구 -> HRD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 2.1 2.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1 3.561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