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74년 만동묘(萬東廟) 중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Mandongmyo in 187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8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dongmyo(萬東廟) was a shrine built for two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in Huoyangri, Cheongju. Since the 17th century, the classical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ad valued Mandongmyo Shrine as a place for the so-called Jonjudaeui(尊周大...

      Mandongmyo(萬東廟) was a shrine built for two emperors of the Ming Dynasty in Huoyangri, Cheongju. Since the 17th century, the classical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ad valued Mandongmyo Shrine as a place for the so-called Jonjudaeui(尊周大義). In 1865, however, the shrine was demolished and ruined, afterward rebuilt by King Gojong(高宗) in 1874. King Goj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plan for the new shrine, which he adjusted the layout of the building and named it. Unlike in the past, the reconstructed shrine was thoroughly led by the government, and its architectural character was greatly transformed. The reconstructed Mandongmyo was respected as the national shrine, but subjected to oppression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68 years after it was rebuilt, the shrine was destroyed on the charge of inciting the sense of national conscious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예제건축을 대표했던 만동묘의 1874년의 중건에 대해 공사의 계획과 절차 그리고 공역 및 건축물 내역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703년 송시열의 유명에 의해 창설되...

      본 연구는 조선후기 예제건축을 대표했던 만동묘의 1874년의 중건에 대해 공사의 계획과 절차 그리고 공역 및 건축물 내역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703년 송시열의 유명에 의해 창설되었지만 1865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철폐되었다가 1874년에 다시 중건된 만동묘는 고종의 명에 의해 재설이 계획되고 추진되었으며 충청감영이 공사를 맡아 시행한 국가적 영건공사의 하나였다. 만동묘의 중건은 조선후기 사회를 지배했던 존주대의를 기반으로 하는 왕권과 신권의 대척점이 된 예제 건축물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 고종의 의도에 따라 공사 기획과 국고 지원, 건물의 재배치 및 명칭 부여 등에까지 군주의 의지가 큰 영향을 끼쳤음을 밝히려 한다. 또한 중건된 만동묘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민족의식의 유발을 우려한 조선총독부의 탄압으로 인해 다시 철폐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본다. 이러한 고찰은 만동묘를 둘러싼 조선후기의 정계 실상을 이해하고 중건 공사의 시행 배경과 공역 실상을 밝히는 건축사적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청주박물관, "화양서원과 만동묘"

      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한국고전종합DB"

      5 "조선왕조실록"

      6 "승정원일기"

      7 정기철, "17세기 士林의 ‘廟寢制’ 인식과 書院 營建"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 국립청주박물관, "화양서원과 만동묘"

      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3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한국고전종합DB"

      5 "조선왕조실록"

      6 "승정원일기"

      7 정기철, "17세기 士林의 ‘廟寢制’ 인식과 書院 營建"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