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성교육과 가정교육 = Character Education and Home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9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ome education is regarded as the another thing which is categorically different from the schooling. This is to interpret the difference between home education and schooling as inter-categorical difference. But, as is clear from the contents of ho...

      The home education is regarded as the another thing which is categorically different from the schooling. This is to interpret the difference between home education and schooling as inter-categorical difference. But, as is clear from the contents of home education, it is categorized into the same thing with the school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it only in scale. This show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home education and schooling corresponds to intra-categorical difference. There being the difference in degree, home education and schooling stand in the same line of the cultivation of the moral character.
      But though this view of home education as different from schooling in degree is undoubtedly true, it must not be neglected that home education has special contributions to the cultivation of the moral character. The filial piety of children to their parents, for example, is virtue or power which makes a child live in accordance with his parent's virtue. And it is also the starting point from which we can begin to study school subjects.
      The home education, it might be said, is the ‘media’ that refers to the primordial influences which exerts on teaching school subjects. Thus, the media of home education including filial piety provides a typical example of character education, in which we are led into becoming a per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가정교육은 학교교육과 종류상 다른 상이한 범주의 것으로 파악된다. 이것은 양자의 차이를 범주간의 차이로 보는 견해이다. 그러나 가정교육에서 전달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 ...

      가정교육은 학교교육과 종류상 다른 상이한 범주의 것으로 파악된다. 이것은 양자의 차이를 범주간의 차이로 보는 견해이다. 그러나 가정교육에서 전달되는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 보면, 가정교육은 학교교육과 상이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내용을 상이한 수준으로 취급할 뿐이다. 이것은 양자의 차이를 범주내의 차이로 보는 견해이다. 정도상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은 인성을 함양하는 동일한 길을 걷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가정교육이 인성을 함양하는 일에 특이점이라고 할 만한 것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특별히 가정교육에서 강조될 법한 효는 자식이 부모의 덕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려는 정서적 태세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학교의 교과를 배우는 데에 근원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가정교육은 학교의 교과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원초적 세력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효를 비롯한 가정교육의 다양한 매체들은 모두 한 인간을 훌륭한 인간으로 키우는 일, 즉 인성교육으로 귀결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서덕희, "학교현장의 안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Dearden, R. F., "초등교육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3

      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 창의 인성교육 기본 방안" 2009

      5 Csikszentmihalyi, Mihaly,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6 김미영, "조손(祖孫) 관계의 전통과 격대(隔代) 교육" 실천민속학회 16 : 55-84, 2010

      7 이홍우, "전통 가정교육의 방법적 원리, In 교육의 개념, 주석증보판" 문음사 297-365, 2009

      8 정은, "인간발달과 장애"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9 Waber, Bernard, "용기" 반디 2011

      10 문지영, "아동의 탄생" 새물결출판사 2003

      1 "論語"

      2 서덕희, "학교현장의 안정화를 위한 인성교육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2

      3 Dearden, R. F., "초등교육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3

      4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 창의 인성교육 기본 방안" 2009

      5 Csikszentmihalyi, Mihaly, "창의성의 즐거움" 북로드 2003

      6 김미영, "조손(祖孫) 관계의 전통과 격대(隔代) 교육" 실천민속학회 16 : 55-84, 2010

      7 이홍우, "전통 가정교육의 방법적 원리, In 교육의 개념, 주석증보판" 문음사 297-365, 2009

      8 정은, "인간발달과 장애" 영남대학교출판부 2012

      9 Waber, Bernard, "용기" 반디 2011

      10 문지영, "아동의 탄생" 새물결출판사 2003

      11 백종현, "순수이성비판 1" 아카넷 2006

      12 Boyd, W., "서양교육사, 개정 증보판" 교육과학사 2008

      13 정회욱,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 비고츠키의 인간 고등심리 과정의 형성과 교육" 학이시습 2009

      14 Hamlyn, D. W., "교육인식론 : 경험과 이해의 성장, 증보판" 교육과학사 2010

      15 유한구, "교육의 동양적 전통 Ⅰ : 교육과 실재" 성경재 1-34, 1996

      16 Furth, Hans G., "교사를 위한 피아제 입문(상, 하)" 배영사 1973

      17 이홍우, "교과의 내면화" 아시아태평양교육발전연구단 1 (1): 249-271, 2000

      18 Maritain, Jacques, "개체성과 인격, In 교육철학" 199-210, 2008

      19 "孝經"

      20 "中庸"

      21 Vygotsky, L. S., "Thinking and Speech, In The Collected Works of L.S. Vygotsky(Vol. 1-6), Vol. 1, In Problems of General Psychology" Plenum Press 1987

      22 Piaget, Jean, "The Principles of Genetic Epistemology" Basic Books 1972

      23 Piaget, Jean, "Psychology and Epistemology : Towards a Theory of Knowledge" Penguin Books 1972

      24 Rousseau, Jean Jacques, "Emile, or On Education" Basic Books 1979

      25 Lewin, Kurt, "A Dynamic Theory of Personality : Selected Papers" McGraw-Hill 195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