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ocial Context를 고려한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 UX 프로토타이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UX Prototyping of Smart Phone Photo Service in Social Con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68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후반 아이폰과 갤럭시S로 촉발된 스마트 폰 시장은 몇 년이 지난 현재에도 각축을 벌이고 있다. 스마트 폰을 생산하는 IT기업들은 모바일 플랫폼을 연구하면서 단순히 기술 구현에 ...

      2000년대 후반 아이폰과 갤럭시S로 촉발된 스마트 폰 시장은 몇 년이 지난 현재에도 각축을 벌이고 있다. 스마트 폰을 생산하는 IT기업들은 모바일 플랫폼을 연구하면서 단순히 기술 구현에 따른 기능적인 것을 연구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성향과 상황을 인식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화된 플랫폼으로써의 스마트 폰 연구에 많은 노력을 가하고 있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기존의 휴대전화에서는 경험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기술 융합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모바일 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 폰의 여러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 중 가장 각광받는 서비스는 카메라와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한 사진 서비스라고 볼 수 있는데, 현재 스마트 폰에서 제공하는 사진 서비스는 촬영의 기능, 보관, 감상 그리고 다른 플랫폼으로 업로드의 서비스 정도로 국한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별도의 사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받아 사용하고 있으나, 주로 사진 보정 효과와 관리 서비스, 그리고 이미지 향 SNS의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이는 사용자의 사진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기능적인 서비스이며, 일회적인 서비스로 사용자들의 사진 행위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사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카메라 기기와 스마트 폰을 비교 분석하여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사용 행위에 영향을 주는 주요 Context요소를 ‘Social’의 개념으로서 재 정의하고자 하였다. 다음 단계로, 실제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사진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 법(Questionnaire)과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실행하여 사진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관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디바이스 간 상호작용으로써의 Context Model’, ‘사용자간 콘텐츠 공유로써의 Context Model’, ‘콘텐츠 확장으로써의 Context Model’ 3가지 유형의 Social Context Model을 제안하였다. 3가지 유형의 Model에 대한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 시나리오를 7가지로 나타내고, 이를 페이퍼 프로토타입과 소프트웨어 시뮬레이션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에 대하여 만족도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가치와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Social Context를 기반으로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제안한 Social Context Model은 향후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를 개발하는데,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odel에 따라 도출한 7가지 서비스 시나리오의 프로토타입을 기술요소와 함께 추가적으로 연구를 한다면, 사용자에게 기존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 보다 다양한 사진 경험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mart phone market triggered by iphone and Galaxy S in the late 2000 remains still competing place. IT companies producing the smart phones does not only research on technologies to perform some function of the smart phones, but also research much...

      The smart phone market triggered by iphone and Galaxy S in the late 2000 remains still competing place. IT companies producing the smart phones does not only research on technologies to perform some function of the smart phones, but also research much more on the platform that the smart phone can understand proper information to the individual user along with his or her unique character, situation, and needs, and can provide them to the user.

      And the users became to enjoy the various services which never experienced with the existing mobile phones and could enjoy the variety of mobile setting based upon the convergence technology. The most popular service which can be provided by smart phone is the very camera function with use of camera and internet network technology. However, the current photo service of smart phone is limited to taking, saving, watching, and upload pictures to other platforms. Because of these limitation, the users download the extra application just for the purpose of using them to edit and to effect pictures, and upload the pictures to the SNS. It is mere a functional service which doesn’t consider the user’s experience related with photo enough, and it is also a temporary service which can't promote the users to continue the photo activity.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phone photo service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the optimized camera service to the individual user based upon these background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 the use of the smart phone photo service in the context as the concept ‘social’. And this study identified the main factors which affect the use of the smart phone photo service by means of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with questionnai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 activities and behavior of the smart phone photo service user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nd survey, this study proposes three types of Social Context Model, the one is ‘Cross Device Context Model’, the other is ‘Contents Sharing Context Model’, the last is ‘Contents Expansion Context Model’. And this study demonstrated seven possible scenarios, and made them real with paper prototype and software simulation prototype. This study performed the evaluation about the satisfaction for the invented prototype that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It is meaningful with that this study proposed the smart phone photo service to seek and find a new direction in its future. I think that the Social Context Model proposed by this study can provide guidelines to develop a new smart phone photo service scenario from for the future. Moreover, if we will invest more on the prototype of the seven scenarios derived from the Model with technolog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the users more enjoyment about the photo activities than ever before which done by the existing smart ph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3
      • 1.3. 연구의 방법 및 체계 6
      • 제2장.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 9
      • 제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2
      • 1.2. 연구의 목적 3
      • 1.3. 연구의 방법 및 체계 6
      • 제2장.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 9
      • 2.1 .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개념 이해 9
      • 2.1.1. 일반 카메라 기기와 스마트 폰 카메라의 이해 9
      • 2.1.2.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서의 Social의 개념 12
      • 2.1.3. 메타포로써의 사진 Context 개념 15
      • 2.2.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 대한 Context 정의 16
      • 2.2.1.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Engineering의 Context정의 16
      • 2.2.2.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서의 Context 25
      • 2.3. 사용자 유형별 사진 서비스의 사용행태 분석 28
      • 2.3.1. 사진 행태 조사의 목적 및 방법 28
      • 2.3.2. 사용자 유형별 사진 행태 분석 31
      • 2.3.3. 사진 행위 단계의 발견 점 37
      • 제3장.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서의 Social Context Model 40
      • 3.1.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서의 Social Context Model의 필요성 40
      • 3.2. 스마트 폰 사진 행위 단계에 따른 Context Factor 도출 41
      • 3.2.1. 스마트 폰 사진 행위 단계와 Context Factor의 관계 46
      • 3.3.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에서의 Social Context Model 개발 48
      • 3.3.1. 디바이스 간 상호작용으로써의 Context Model 50
      • 3.3.2. 사용자간 콘텐츠 공유로써의 Context Model 51
      • 3.3.3. 콘텐츠 확장으로써의 Context Model 52
      • 3.4. Social Context Model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 54
      • 제4장. Social Context를 바탕으로 한 사진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 70
      • 4.1.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 목적 및 방법 70
      • 4.2. 스마트 폰 사진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구조 74
      • 4.2.1.화면 정보 설계 76
      • 4.2.2.정보 구조도 82
      • 제5장. 사진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대한 만족도 평가 및 검증 93
      • 5.1. 사진 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대한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93
      • 5.1.1.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목표 93
      • 5.1.2.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프로세스 94
      • 5.1.3.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를 위한 참여자 선정 97
      • 5.2.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활동 99
      • 5.3.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분석 101
      • 5.3.1.만족도 평가를 위한 비교 분석 방법 105
      • 5.4. 프로토타입 만족도 평가 분석 결과 106
      • 제6장. 결론 및 향후 과제 109
      • 6.1. 결론 109
      • 6.2. 한계점 및 향후 과제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