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녹음자료] 한국어계통 구명을 위한 알타이제어 현지 조사 연구 및 음성 영상 DB 구축_Oyrat_화자기타_wav_어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15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ave file format 2 files 04_Oyrat_mark##40010#아들. 셋 다..wav 04_Oyrat_mark##40015#출발#발음부탁.wav

      wave file format 2 files

      04_Oyrat_mark##40010#아들. 셋 다..wav
      04_Oyrat_mark##40015#출발#발음부탁.wav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칼미크-오이라트어 1. 언어 개관 칼미크-오이라트어는 호브드, 오브스아이막 등 몽골 북서부(21만명), 러시아 칼미크 자치공화국(18만명), 신장 북부와 칭...

      칼미크-오이라트어

      1. 언어 개관
      칼미크-오이라트어는 호브드, 오브스아이막 등 몽골 북서부(21만명), 러시아 칼미크 자치공화국(18만명), 신장 북부와 칭하이, 간쑤성 등 중국 서부(26만 4천명)의 칼미크-오이라트인들의 모어이다. 칼미크-오이라트 방언은 몽골 문어, 중세 몽골어의 [k]가 마찰음화 하지 않고 [kh]로 유지되며, 술어동사에 1, 2인칭 대명사의 축약형이 복사되는 점, 기타 어휘와 형태-통사 등에서 인접한 할하 몽골어 등 내외 몽골의 몽골어 방어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몽골의 칼미크-오이라트어는 두르브투, 울트, 바야트 방언 등의 북오이라트 방언과 자흐칭, 오량하이, 토르고트 등 남오이라트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몽골의 오이라트 사람들은 대화 중에 오이라트 사람임을 알 수 있을 정도로 오이라트어의 특징을 상당 부분 간직하고 있으나 몽골의 표준어인 할하에 동화되고 있는 것도 역시 감지할 수 았다. 몽골의 아르항가이아이막 울지트, 바트쳉겔, 호톤트, 우기노르솜 등지의 울트 사람들의 언어는 250년 동안 할하 사람들의 땅에서 사는 동안 할하화하여 이제는 오이라트어가 아닌 할하 몽골어의 서부 방언으로 분류되고 있다.
      칼미크 자치공화국에서 칼미크어는 심각한, 치명적인 위험에 처한 것 같다. 이 공장에서 대화를 처음부터 끝까지 칼미크어로 할 수 있는 사람들은 칼미크 어문학 전공 대학원생들과 학자들뿐인 듯하였다. 70대 이상의 노인들도 처음 칼미크어로 시작한 대화가 몇 분 안에 러시아어로 대치될 정도였다.
      신장, 칭하이 등지의 오이라트어는 아직도 모든 연령대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 지역 오이라트인들이 날이 갈수록 중국 사회에 통합, 의존하는 정도가 심화됨에 따라 한어에 많은 영역, 특히 공식적인 영역을 내 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안정되어 있지만 위협을 받고 있는 상태라고 해야 할 것이다.
      칼미크-오이라트 사람들은 1648년 자야 판디타가 고안한 토도문자를 갖고 있으나 칼미크 사람들과 몽골의 오이라트 사람들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몽골의 오이라트 사람들은 문자 생활에서는 할하 몽골어의 문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2. 현지 조사 개황
      [울드 방언] 칼미크-오이라트어의 울드 방언

      몽골어파의 동부몽골어군을 구성하는 할하오이라트어하위어군의 오이라트 분파에 속하는 칼미크-오이라트어 소속으로 분류되어온 방언이다. 울트 사람들은 중가르 지방(중국 신장웨이우얼자치구 북부)과 몽골 서부에 걸쳐 제국(1635~1755)을 세운 적이 있는 오이라트 몽골 사람들의 핵심 집단으로서 아직도 방언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그 지역에 거주한다. 예를 들어 몽골 북서 지방인 호브드아이막에서 태어나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만 살고, 대학에 진학한 이래 그 2배인 30여년 이상을 울란바타르시에서 거주한 울트 사람들의 발화에서도 어두의 연구개 자금이 유기 파열음으로 유지되는 것, 모음 [a]가 구개음화하는 것 등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아르항가이아이막 울지트솜, 호톤트솜, 우기노르솜의 울트 사람들은 1695년 테렐지(울란바타르 동쪽 60km 부근) 전투에서 청나라 군대에게 돌이키기 어려운 피해를 입고 할하 땅에 주저앉게 된 사람들의 후예들, 도한 1755년~1758년 청에 대항했다가 강제 이주된 사람들의 후예들로 200년 혹은 300년 넘도록 할하 몽골어 지역에 거주했으므로 할하화 되었을 것이 충분히 예상되었지만 울트라는 집단으로서 살아왔기 때문에 간직할 수 있었던 요소들도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예비 조사 삼아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론 Amarzhargal(1988: 24)를 비롯한 몽골 학자들은 다르하트 방언을 먕가드, 엘즈겐 할하, 아릭 오량하이, 사르톨, 호트고이드, 울드, 고비-알타이와 홉드아이막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할하 방언과 함께 서부 할하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하고 있다. Amarzhargal(1988: 24)을 비롯한 몽골인 학자들은 할하 몽골어를 중앙, 서부, 동부의 3대 방언으로 분류한다. 이 방언의 전체 언중 또는 인구는 알려지지 않았다.

      기간: 2004년 6월 26일
      장소: 몽골 아르항가이아이막 울지트솜 두혜 및 두친 톨고이
      참가자: 김주원(총괄, 녹음), 고동호(녹화), 유원수(전사)
      자료제공인
      (1)두혜에서
      -담딩깅 잠임수렝(75세, 남성)
      -오드웍메딩 사랑게렐(31세, 여성) : 다시돈도브 씨의 부인. 잠임수렝 할아버지의 외손녀. 친정이 타이지(칭기스칸의후예) 출자라고 한다. 그렇다면 아버지는 할하라는 뜻이다.
      -부지노빙 다시돈도브(31세, 남성) : 사랑게렐씨의 남편이며 잠임수렝 할아버지의 외손자 사위
      (2)두친 톨고이에서
      -소브딩 마후(80세, 여성): 푸레브돌마 씨의 시어머니
      -에르덴촐로니 푸레브돌마(48세, 여성): 마후 할머니의 며느리
      (3)민족: 모두 몽골족 울트 야스탕('울트 뼈')이라고 답함
      (4)출생 및 성장 : 모두 현 거주지에서 출생, 성장
      (5)직업 : 목민
      (6)언어 사용 상황: 모두 가정에서, 고장 사람들과 울지이트솜 지역 울드 방언으로 대화한다.

      조사 내용: 585항목의 어휘와 표현, 자유 발화를 녹음, 녹화
      언어의 특성
      (1)이 방언은 이미 오이라트 방언이라고 할 수 없을 만큼 할하화하였다. 그러나 일부 어휘의 발음은 할하는 물론 자료제공인들 간에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중모음이 장모음으로 발음되거나 고위 전설 평순 모음 앞의 단모음들이 전설화가 되는 것처럼 비교적 쉽게 기술, 설명할 수 ㅣㅇㅆ는 현상과 전혀 기대되지 않는 분절음이 출현하는 경우가 골고루 있었다.
      (2)할하에도 있지만 덜 자주 사용되는 형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3)다시돈도브 씨가 대처에서 학교 다닐 때, 군대에서 동료들이 웃으면서 흉내를 냈다고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