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효과적인 시공 VE 도입을 위한 건설기업의 전략수립 연구 = Corporate-level Strategy for Implementing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in Construction Pro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0610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공학대학원 , 토목공학과 , 2019.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i, 8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윤성민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22654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struction business in 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low profitability, increase of material cost, and low bidding-ratio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VECP) has been spotlighted to the industry practitioners in ...

      Construction business in Korea has been suffering from low
      profitability, increase of material cost, and low bidding-ratio under
      the lowest bidding system. Value Engineering Change Proposal
      (VECP) has been spotlighted to the industry practitioners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However, VECP is an optional practices, so
      that it has not been actively implemented ye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corporate-level strategy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VECP for a construction project. For this,
      this study derives influence factors for VECP implementation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critical success factors,
      hindrance factors, capability factors for VECP implementation.
      Thirty influence factors are evaluated in terms of importance and
      organizational level by industry practitioners using survey. The
      influence factors are categorized by seven categories that are
      implementation support, implementation cooperation, knowledge
      level, implementation experience, implementation capability,
      management capability, and system. This study also provide a
      modified VECP procedure which is suitable for construction
      contractors. This study allows construction contractors to
      understand VECP implementation based on their gap of VECP
      implementation and to establish corpoate level strategy for utilizing
      VECP in their future construction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목적 및 배경 1
      • 1.2 연구방법 5
      • 1.3 문헌조사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목적 및 배경 1
      • 1.2 연구방법 5
      • 1.3 문헌조사 6
      •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 2.1 VE 개념 및 정의 9
      • 2.1.1 VE의 정의 9
      • 2.1.2 설계VE와 시공VE 11
      • 2.1.3 국토교통부의 VE 도입연혁 14
      • 2.1.4 VE 대상과 종류 15
      • 2.1.5 VE 추진절차 16
      • 2.2 국내외 시공VE 제도의 분석 17
      • 제 3 장 시공VE 도입을 위한 건설기업의 전략 분석 19
      • 3.1 개요 19
      • 3.2 시공VE 영향인자 도출 20
      • 3.2.1 VE 핵심성공요인 20
      • 3.2.2 VE 활성화 저해요인 23
      • 3.2.3 VE 역량인자 26
      • 3.2.4 효과적인 시공VE 수행을 위한 영향인자 도출 34
      • 3.3 시공VE 수행을 위한 영향인자 분석 35
      • 3.3.1 시공VE 수행을 위한 영향인자 설문구성 35
      • 3.3.2 분석방법 36
      • 3.3.3 시공VE 수행을 위한 영향평가 설문조사 38
      • 3.4 시공VE 수행 영향인자 중요도 및 역량수준 분석 결과 40
      • 3.5 시공VE 수행을 위한 영향인자의 IPA 분석결과 43
      • 제 4 장 건설기업의 시공VE 매뉴얼 제안 46
      • 4.1 시공VE 작업계획 46
      • 4.2 시공VE 준비단계 48
      • 4.2.1 시공VE 검토시기 48
      • 4.2.2 주요 추진내용 48
      • 4.3 시공VE 분석단계 60
      • 4.4 시공VE 제안단계 68
      • 4.5 시공VE 실행단계 71
      • 제 5 장 결론 73
      • 참고문헌 74
      • Abstract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