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원의 신화를 향해 가는 길 :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_prepr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5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20년대 최남선이 가장 힘을 기울였던 일은 단군 연구와 국토 기행이었다. 둘 모두 뜨거운 민족주의적 열정의 산물로, 이를 통해 최남선은 일본의 동양사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온 단군 위...

      1920년대 최남선이 가장 힘을 기울였던 일은 단군 연구와 국토 기행이었다. 둘 모두 뜨거운 민족주의적 열정의 산물로, 이를 통해 최남선은 일본의 동양사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온 단군 위조론에 맞서 단군의 역사적 실재성을 밝히고자 했으며, 이와 아울러 금강산과 지리산, 백두산에 오르고 이에 대한 장편 기행문을 기고함으로써 국토라는 물질화된 신체를 통해 민족주의적 파토스를 고양시키고자 했다. 그의 기행문들은 민족 감정을 위한 종교적 순례였으며 동시에 단군 연구를 위한 민속학적 필드워크이기도 했다. ??백두산 근참기??는 이런 흐름의 정점에 놓여 있는 것으로서, 역사 연구에는 수용되기 어려운 민족주의적 열정이 위력을 발휘하는 장으로 존재했다. 여기에서 그는 사실이 아니라 신념을, 역사가 아니라 환상을 토로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여기에서는 연사 연구의 논리적 접근에서 드러나기 어려웠던 이데올로기적 요소들이 드러나게 된다. 이 글은 이런 점에 주목하여 `백두산 근참기`를 읽음으로써, 1920년대에 최남선이 안출해낸 민족적 정체성의 논리와 구조에 대해 기술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riting on trebles and researching on 'Tangun' were the two of most important tasks for Choi Namsun, in 1920s. Being of patriotic ardor, the later was orientated against the Japanese historians who insisted Tangun be the fabrication of a buddhist monk...

      Writing on trebles and researching on 'Tangun' were the two of most important tasks for Choi Namsun, in 1920s. Being of patriotic ardor, the later was orientated against the Japanese historians who insisted Tangun be the fabrication of a buddhist monk, and the former was performed on the obvious intention of enhancing the patriotic enthusiasm of the colonized Korean people. He tried to substantiate Tangun as the heart of Korean prehistory and as the embarking point of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his was far more important than ever, because the Korean people did not have the practical power of nation-state crucial to the nation-building. His trebles were psedo-religious pilgrimages to the mother county as the most powerful material support of the nationalist patriotism, and were ethnographic fieldworks for elucidating the prehistory of Korea as well. His treble writings culminated in 'Paegdusan-Keunchamgi' written for Paegdusan, the supreme symbol of the imaginary national territory of Korea, where he vomited out the nationalist enthusiasm that could not be expressed in the historical researches. In reading 'Paegdusan-Keunchamgi', I tried to describe and analyze the logic and structure of such a national identity contrived by Choi Namsun.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A502720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발행된 학술 논문의 프리프린트이며, 위의 정보는 학술논문을 토대로 작성하였음.

      본 자료는 발행된 학술 논문의 프리프린트이며, 위의 정보는 학술논문을 토대로 작성하였음.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왜 기행문인가 2. 그는 백두산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 민족의 외부와 기원의 신화 1) 외부를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2) 기원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3) 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

      1. 왜 기행문인가
      2. 그는 백두산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 민족의 외부와 기원의 신화
      1) 외부를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2) 기원을 통해 존재하게 되는 민족
      3) 신화의 역사화, 역사의 신화화
      3. 민족 단위의 가족 로맨스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