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분석 =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Strengths,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Out-of-School Adolesc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s and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out-of-school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0 adolescents who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s and career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out-of-school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0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out-of-school adolescent support centers in Daegu. Data from 284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found that self-directednes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self-directedness of out-of-school adolescent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amily strengths. Third, the self-directedness of out-of-school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resilience.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of out-of-school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 career resilie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out-of-school adolescents. Lastly,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family strengths of out-of-school adolescents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ness and career prepa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 300명으로, 이들 중 불성실 응답자 16명을 제외한 284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주도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은 가족건강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은 진로탄력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탄력성은 학교 밖 청소년의 자기주도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있어 매개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 밖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은 자기주도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적 작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선아, "학업중단 청소년의 위기요인이 진로의식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백순희, "학업 중단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 자원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7

      3 박하은 ; 김수진,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7 (27): 83-94, 2020

      4 송현아 ; 유순화 ; 안세영,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09-431, 2016

      5 이현우 ; 양명숙,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91-116, 2017

      6 홍지선,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과대학진학 경험에 대한 사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89-118, 2020

      7 임한려 ; 홍성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4 (34): 69-91, 2021

      8 박지현 ; 황미영,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4, 2017

      9 홍초롱,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건신대학교 대학원 2016

      10 강근모 ; 이준기,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관련변인과 생태체계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55-82, 2020

      1 신선아, "학업중단 청소년의 위기요인이 진로의식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 백순희, "학업 중단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지역사회 자원활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7

      3 박하은 ; 김수진,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성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7 (27): 83-94, 2020

      4 송현아 ; 유순화 ; 안세영, "학교밖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진로미결정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09-431, 2016

      5 이현우 ; 양명숙, "학교 밖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기개념명확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91-116, 2017

      6 홍지선,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과대학진학 경험에 대한 사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7 (27): 89-118, 2020

      7 임한려 ; 홍성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4 (34): 69-91, 2021

      8 박지현 ; 황미영,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4, 2017

      9 홍초롱,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건신대학교 대학원 2016

      10 강근모 ; 이준기,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관련변인과 생태체계변인의 상관관계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55-82, 2020

      11 노지혜 ; 문성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 및 진로성숙 예측요인"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8) : 61-86, 2019

      12 조규필 ; 김수진, "학교 밖 청소년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모형 개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387-416, 2016

      13 박순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14 유기쁨,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탄력성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15 민병석, "태권도 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탄력성 및 진로정체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267-283, 2019

      16 최인선 ; 주은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자기주도학습에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169-206, 2013

      17 전주연 ; 송병국,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71-200, 2014

      18 김미숙,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지지, 주양육자의 공감, 자기리더십, 배려와 자기성찰 간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19 이혜경,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20 김동원,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5

      21 육명신 ; 박용한,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셀프리더십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33-750, 2016

      22 김봉환 ; 김아영 ; 차정은 ; 이은경, "청소년용 진로발달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8 (8): 583-602, 2007

      23 박창남 ; 도종수, "청소년 학교중퇴의도의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207-238, 2003

      24 임소현 ; 이영광, "진로탄력성의 선행 및 결과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131-157, 2020

      25 김다인,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 인식 수준에 따른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차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26 장용희 ; 이재신 ; 신의수, "지방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원 14 (14): 163-184, 2016

      27 이경선 ; 남현우,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연구소 (30) : 233-256, 2011

      28 김미정,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29 황애영 ; 탁진국,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09-428, 2011

      30 홍성표, "전직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경력탄력성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31 노미진, "전문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32 진영선 ; 조아미,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15-339, 2016

      33 김지연 ; 이기학,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25, 2014

      34 김지현,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35 김명희,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자기격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36 박민경, "위기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자아상태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7

      37 최민영, "영화치료 활용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위기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과 공격성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8 김지연,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9 한영숙, "아동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동문제간의 관계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6

      40 김예성 ; 이경상,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2) : 7-32, 2015

      41 이석재,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42 조혜미, "비행여자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43 조금희,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시티어 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44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45 신현정,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희망과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46 조아미 ; 진영선 ; 임정아, "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척도 개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6 (16): 65-81, 2019

      47 장이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48 임은미,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1 (1): 101-113, 2003

      49 최주영 ; 정주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교육연구소 33 (33): 73-96, 2020

      50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3 (3): 49-66, 2013

      51 조명기 ; 이주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1 (11): 1427-1440, 2020

      52 김봉환,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9 (9): 311-333, 1997

      53 오충광, "대학생의 지각된 진로장애와 자기격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과학연구소 (38) : 529-551, 2013

      54 박송현 ; 이경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영재교육에의 적용방안 제안-" 한국영재교육학회 19 (19): 49-70, 2020

      55 최지은 ; 조용선,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31-950, 2020

      56 문승태 ; 박미하 ;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5 (25): 39-60, 2012

      57 김기승, "대학생의 명리직업선천성과 진로탄력성,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58 노윤신 ; 정철영, "대학생의 리더십 개발에 있어서의 코칭의 효과성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4 (34): 25-50, 2015

      59 최주영,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학습기술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역기능적 진로신념의 조절된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60 임희정,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 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8

      61 정은이, "대학생 자기 주도성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03-730, 2018

      62 권해수 ; 서정아 ; 정찬석, "대안학교와 소년보호교육기관 청소년의 학교밖 경험 비교: 개념도 방법론을 통하여" 한국상담학회 8 (8): 657-674, 2007

      63 임경희, "남녀대학생의 진로장애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2 (22): 101-119, 2009

      64 이사라, "고등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65 김은숙 ; 장하연,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진로결정 스트레스와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7 (7): 141-155, 2020

      66 김지영, "고등학생의 공감능력, 가족건강성, 또래관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67 유계숙,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9 (9): 25-42, 2004

      68 박소희 ; 오세희, "개인의 주도성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개인과 조직 간의 가치부합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교육학회 31 (31): 447-469, 2016

      69 어은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145-155, 1995

      70 London, M.,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 Helping employees make tough career decisions, stay motivated, and reduce career stress" Jossey-Bass 1987

      71 Otto, H. A., "What is a strong family" 24 (24): 77-80, 1962

      72 Seibert, S. E., "What do proactive people do? A longitudinal model linking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54 (54): 845-874, 2001

      73 Borgen, W. A., "Using portfolios to enhance career resilience" 41 (41): 50-59, 2004

      74 London, M.,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8 (8): 620-630, 1983

      75 Waterman, R. H., Jr, "Toward a Career-Resilient Workforce" 72 (72): 87-95, 1994

      76 Bateman, T. S., "The proactive compon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 A measure and correlates" 14 : 103-118, 1993

      77 Manz, C. C., "Super leadership; Leading 77 others to lead themselves" Prentice-Hall 1989

      78 Stinnett, N., "Secrets of strong families" Little, Brown 1986

      79 David, R. Dupper, "School-based social-cognitive skills train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chool behavior problems" 15 (15): 131-142, 1993

      80 Bimrose, J., "Resilience and career adaptability : Qualitative studies of adult career counseling" 81 (81): 338-344, 2012

      81 Arora, R.,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stability, psychosocial mentoring support and career resilience" 11 (11): 16-33, 2015

      82 Seibert, S. E.,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84 : 416-427, 1999

      83 London, M., "Overcoming career barriers : A model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ocesses for realistic appraisal and constructive coping" 24 : 25-38, 1997

      84 Weiner, B., "On sin versus sickness : A theory of perceived responsibility and social motivation" 48 (48): 957-965, 1993

      85 Long, H. B., "New Idea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University of Oklahoma 1-14, 1994

      86 Parker, S. K., "Minimizing strain and maximizing learning : The role of job demands, job control, and proactive personality" 84 (84): 925-939, 1999

      87 Bridges. W., "Jobshift : How to prosper in a workplace without jobs" Brealey 1995

      88 Roberts, R. G., "Enabling high-risk clients; Exploring a career resiliency model" 1-8, 2002

      89 Betz, N. 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46 (46): 179-189, 1997

      90 Lent, R. W.,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 A social cognitive analysis" 47 (47): 36-49, 2000

      91 Collard, B. A., "Career resilience in a changing workplace"

      92 Noe, R. A., "An inver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37 (37): 340-356, 1990

      93 Bloom, B. L., "A Factor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Family Functioning" 24 : 225-239, 1985

      94 여성가족부,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1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orum For Youth Cultu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1 2.102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