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등회의 시대구분론 재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173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등회의 시대구분은 일반적으로 국가별 시대구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연등회는 시대에 따라 설행주체의 중심축이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왕조(국가)별이 아닌 설행...

      연등회의 시대구분은 일반적으로 국가별 시대구분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하지만 연등회는 시대에 따라 설행주체의 중심축이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왕조(국가)별이 아닌 설행주체를 중심으로 크게 국가주도기, 민관이행기, 민간주도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국가주도기로, 신라시대와 중세 양반사회였던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공식적으로 연등회가 폐지되는 세종 13년(1431)까지를 말한다.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류를 중심으로 한 기록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주로 국가와 왕실에서 설행하는 연등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는 민관이행기로, 관과 민간이 각각 설행하는 시기이면서도, 왕실이나 일제 등 지배체제 중심에서 민간으로 중심축이 이동한다는 측면에서의 이행(移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고려와 조선초기의 유풍이 남아 행해지는 시기이지만, 민간에서의 설행이 문헌상에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시기이다.
      셋째는 민간주도기로, 해방(1945년 8월) 이후 1946년부터 지금까지로 불교계가 자율적으로 연등회를 설행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1946~1995년까지의 종교축제기인 1기와 불교적인 불교인들의 축제에서 1996년 이후의 대중축제로의 전환을 꾀하는 2기로 나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eondeunghoe (燃燈會) has been changed in many ways in the aspects of its main agents, contents, and forms for 1000 years. Thus, it cannot be understood as the appearance or the form in a certain one period or at a certain one time. So as to exa...

      Yeondeunghoe (燃燈會) has been changed in many ways in the aspects of its main agents, contents, and forms for 1000 years. Thus, it cannot be understood as the appearance or the form in a certain one period or at a certain one time.
      So as to examine the Yeondeunghoe as a festival, around its implementation bodies I divided the history of the Yeondeunghoe into three periods: the state-dominated period (國家主導期), the intergradational period led by civilian and public bodies (民官履行期, 民官移行期), the civilian-dominated period (民間主導期).
      The state-dominated period (國家主導期)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was held as a national ceremony by a nation or royal family. From the Silla Dynasty through the Goryeo Dynasty to the 13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uring the Joseon Dynasty(1431), the Sangweon Yeondeunghoe (上元 燃燈會) on the 15th of the first lunar month, the second lunar month Yeondeunghoe, and the Buddhas Birthday Yeondeunghoe in the fourth lunar month were held. A special Yeondeunghoe as occasion demands was also held. There were Yeondeungdogam (燃燈都監) and its departments as the implementation body of the festival.
      The intergradational period led by civilian and public bodies (民官履行期, 民官移行期)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stage covers from the 13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during the Joseon Dynasty (1431), when the Yeondeunghoe was actually abolished, to the Korean Empire era; and the second stage is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period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had been established as the Buddhas birthday Yeondeunghoe and at the same time its main agents were changed from government offices led by royal family to civilian organizations.
      The civilian-dominated period (民間主導期) from the year 1946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to the present day is the time during which the festival has been held by civilian Buddhist community. This period can also be divided into two stages: the religious festival era until the year 1995 and the era in which efforts to convert the Yeondeunghoe into peoples festival have been ma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국가주도기
      • Ⅲ. 민관이행기
      • Ⅳ. 민간주도기
      • 〈한글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국가주도기
      • Ⅲ. 민관이행기
      • Ⅳ. 민간주도기
      • Ⅴ. 맺으며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편무영, "한국종교민속시론" 민속원 35-68, 2004

      2 김용덕, "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 고찰" 민속원 224-259, 2014

      3 "증보문헌비고"

      4 "조선왕조실록"

      5 고상현, "연등회의 축제문화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6 박진태, "연등회의 지정 의의와 발전방향" 연등회보존위원회 27-41, 2012

      7 전경욱, "연등회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77-126, 2013

      8 이윤수, "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 민속원 2014

      9 "삼국사기"

      10 한양명, "민속문화의 새 전통을 구상한다" 집문당 93-113, 1999

      1 편무영, "한국종교민속시론" 민속원 35-68, 2004

      2 김용덕, "한국 불교민속문화의 현장론적 고찰" 민속원 224-259, 2014

      3 "증보문헌비고"

      4 "조선왕조실록"

      5 고상현, "연등회의 축제문화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13

      6 박진태, "연등회의 지정 의의와 발전방향" 연등회보존위원회 27-41, 2012

      7 전경욱, "연등회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77-126, 2013

      8 이윤수, "연등회의 역사와 문화콘텐츠" 민속원 2014

      9 "삼국사기"

      10 한양명, "민속문화의 새 전통을 구상한다" 집문당 93-113, 1999

      11 "매일신보"

      12 "동아일보"

      13 "대한매일신보"

      14 채상식, "고려시기 연등회의 운영과 추이"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4) : 103-130, 2015

      15 "고려사절요"

      16 "고려사"

      17 高橋 勝, "明治期における朝鮮開敎と宗敎政策 : 特に眞宗大谷派を中心に" 龍谷大學 佛敎史硏究會 24 : 34-56,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5 1.31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