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식민권력의 자기재현: 조선총독부의 선전활동과 국가효과, 1919~1936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examine the self-representation of Chosen Colonial Government between 1919 and 1936. The research is based on three inter-related theoretical questions. Firstly, can we say Chosen Colonial government as ‘colonial state...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examine the self-representation of Chosen Colonial Government between 1919 and 1936. The research is based on three inter-related theoretical questions. Firstly, can we say Chosen Colonial government as ‘colonial state’ Secondly, what kinds of representation did Chosen Colonial Government produce through multi-faceted practices of self-representation which were labeled as ‘propaganda’ Thirdly, what kind of social and political effects did Chosen Colonial Government produce through such practices of representation. This research project, based on the analytical studies on media and propaganda made by Chosen Colonial Government, aimed to theorize the complexity of state effects and self-representation of colonial power.
      The rule of Chosen Colonial Government is often said to be the ‘absence of the state(國亡)’ with the forced occupation of foreign forces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history’. However, in social sciences, this rule was regarded as ‘colonial government’ or the rule by ‘colonial state’. Although it is quite evident that Chosen Colonial Government was installed and operat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body within Japanese empire, it is still difficult to say that such ruling entity created a single and integrated political community. In order to clarify the viewpoints on the rule of Chosen Colonial Government, whether it was the absence of state or the rule of colonial state, instead of predetermination of the reality of power, we have to make a detoured approach on power by examining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power, how Chosen Colonial Government represented herself internally and also externally.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focus on the practices and effects of colonial power instead of presupposing the reality of colonial power and studied the practices of self representation of colonial power and their social effects.
      Chosen Colonial Government made strategies of exaggerated self-representation in order to prevailing over the inherent contradiction of their existenc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 strategy of self-representation of Chosen Colonial Government, exemplified by ‘censorship’ and ‘propaganda’, went through immense changes and produced comprehensive social effects especially in the twenties with the shift of colonial policy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and also with the creation of social field for representation and media.
      This project resulted in twelve original research papers concerning theoretical and historical overview, visual media, corporeal media, and literary media. Historical and theoretical overview examined the issue of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the autonomy of state." As for visual media, studies on "Japanese colonialism and propaganda through visual materials", "The analysis of Chosen Art Exhibition", "The Examination of Pictures of Chosen(朝鮮), official magazine of the colonial government" were written. In corporeal media, the issues of "Squared and back alleys of Keijo", "Japanese Army occupied in Chosen", "Representation of entertainment", "Body of women", "Imperial benevolence and social works focusing on imperial donation" , "State ritual of failed state", "Athletic Game Organized by Chosen Shrine". Finally, in order to examine literary media, "literary media and the production of social facts" was studied.
      In conclusion, Chosen Colonial Government was not an independent state entity in herself, but rather an overdeveloped state apparatus during the extraordinary situation of colonial rule. The colonial power did not have autonomy independent from Japanese empire. Moreover, modicum of autonomy the colonial power enjoyed can be understood only in the context and location of world system of capitalism.
      While Chosen Colonial Government was not an autonomous or self-completed state, the colonial power still represented the government and Chosen as a distinct a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19년에서 1936년 동안 조선총독부의 자기재현 활동을 중심적인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호 연관된 이론적 문제제기의 산물이다. 첫째, 조선총독부...

      본 연구는 1919년에서 1936년 동안 조선총독부의 자기재현 활동을 중심적인 연구대상으로 삼는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상호 연관된 이론적 문제제기의 산물이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식민국가’인가 둘째, 조선총독부는 ‘선전’으로 통칭되는 다차원적인 자기재현적 실천을 통해 어떠한 표상을 생산하였는가 셋째, 이러한 표상을 통해 총독부는 대내외적으로 어떠한 정치사회적 효과를 창출하였는가 본 연구는 1919~1936년에 이르는 조선총독부의 선전활동에 대한 미디어 분석적 연구를 통하여 식민권력의 자기재현적 실천과 그 국가효과의 복합성을 이론화하고자 한다.
      조선총독부의 지배는 국사학(national history)적 관점에서는 ‘국망’, 즉 외세의 강점에 의한 ‘국가부재’ 또는 ‘국가소멸’의 상태로 서술되어 왔던 데 반해, 사회과학적 관점에서는 일반적으로 '식민정부' 혹은 ‘식민국가’에 의한 통치로 인식되어 왔다. 조선총독부가 제국 일본의 하나의 독자적인 행정적 단위로서 성립·운영되었음은 명백한 사실이지만, 그것이 하나의 통합된 정치적 공동체를 형성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제의 식민 지배를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국가부재의 상황인지 아니면, 식민국가의 통치인지, 권력의 실체를 선험적으로 확정하기 이전에, 조선총독부가 어떻게 대외적으로 식민지 ‘조선’ 위에 군림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는지, 즉 권력의 실천 및 효과를 검토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는 식민권력의 문제를 실체보다는 실천 및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식민권력의 자기재현적 실천과 그 사회적 효과에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총독부는 대내외적으로 이러한 그 자신의 태생적 모순성을 호도하기 위해 대단히 과장된 자기재현 전략을 구사했다. ‘검열’과 ‘선전’으로 대표되는 총독부의 자기재현 전략은 특히 문화정치로 통치전략이 전환되고 재현의 사회적 장이 제도적으로 안정화된 특히 1920년대 이래 광범위한 사회적 영향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하여 총론, 시각미디어, 신체미디어, 문자미디어 등 세 미디어 분야에 걸쳐 총 12편의 연구논문을 생산하였다. 총론으로는 "일본의 식민지 정책과 국가자율성", 시각미디어 분야에서는 "일본 식민주의의 시각자료를 통한 선전", "조선미술전람회 분석", "총독부 기관지 <朝鮮>의 사진화보 분석" 등의 주제를, 신체미디어 분야로는 "경성의 광장과 골목", "조선 주둔 일본군", "오락의 표상", "여성의 신체", "황실 하사금을 통한 사회사업", "옛 왕조의 국가제사", "조선신궁체육대회" 등의 주제를, 문자미디어 분야에서는 "문자미디어와 사회적 사실의 생산" 등의 연구주제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조선총독부는 그 자체로서 완결된 국가가 아니라 식민지배라는 특수 상황에서 과대성장한 국가장치인 것으로 판단된다. 식민권력이 독자적인 자율성을 행사한 것으로 볼 수는 없으며, 조선총독부가 행사한 자율성은 세계자본주의체계 내의 위치라는 맥락 속에서 파악할 때만 그 위상이 이해될 수 있다.
      조선총독부가 자기 완결적이고 자율적인 국가가 아닌 것은 명백했지만, 권력의 자기 재현의 구체적, 미시적 과정에서는 때로는 우발적으로, 때로는 어느 정도 의도적으로 자신과 조선을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통치의 영역으로 재현했던 것이 확인된다. 이는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