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거노인의 가족해체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mily Disorganization Type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91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가족해체요인을 경제적인 측면 외에 다양한 측면에서 유형화하고자 한다. 8차례의 재범주화 과정을 통해 선정된 29개의 진술문을 29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가족해체요인을 경제적인 측면 외에 다양한 측면에서 유형화하고자 한다. 8차례의 재범주화 과정을 통해 선정된 29개의 진술문을 29명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Q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유형 1은 정체성상실과 무력감으로 인한 자립형, 유형 2는 개인주의와 결속력 약화로 인한해체형, 유형 3은 가족자원의 결핍으로 인한 해체형, 유형 4는 건강상태에 의한 자립해체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함의를 보면, 첫째, 혼자 살기를 원하는 자립형 독거노인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독거노인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개입과 서비스로 기존의 노인돌봄서비스를 한층 더 강화하여 밀착형 관계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독거노인복합공동체 개념도입과 이에 따른 독거노인 전용센터와 같은 전문적 보호기관의 설립이 요구된다. 넷째, 가족해체로 인한 독거노인의 경우 가족으로부터 고립되어 심리사회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of family disorganization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in diverse aspects except the economic aspect. 29 statements selected through 8 times of recategorization process were distributed to 29 elderly people live alone...

      This study classified the factors of family disorganization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in diverse aspects except the economic aspect. 29 statements selected through 8 times of recategorization process were distributed to 29 elderly people live alone and Q-sort was performed. Four types were deducted through the analysis by Q methodologies. Type 1 is independent type which is resulting from loss of identity and sense of helplessness. Type 2 is disorganization type because of weakening of individualism and social cohesion. Type 3 is disorganization type because of lack of family resources. Type 4 is called as independent disorganization type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hows, First, development of policies and services for independent elderly people live alone who want to live alone is required. Second, existing old people care services should be much more intensified and intensive related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hird,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elderly people live alone multiple communities and consequent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protection institution like elderly people live alone exclusive center are required.Fourth, for elderly people live alone who suffer from family dis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olutions through social relationship networks because they have problems of psychosocial problems that they are isolated from their famil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석, "현대가족연구" 일지사 1998

      2 조광영, "한국의 빈곤과 가족해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승권,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4 변화순, "최근 가족해체 실태 및 복지대책" 한국여성개발원 2000

      5 정동하,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29-49, 2009

      6 문수경, "중풍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 사회참여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 223-248, 2008

      7 부승희, "자본주의 발전과 가부장제적 가족의 해체 : 저출산 현상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5

      8 윤홍식,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51-73, 2003

      9 신원식,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생활 적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인식"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13-232, 2010

      10 노혜련,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 해체되지 않은 가족 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한 비교연구" 5 : 2000

      1 최재석, "현대가족연구" 일지사 1998

      2 조광영, "한국의 빈곤과 가족해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승권, "최근 가족해체의 실태와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4 변화순, "최근 가족해체 실태 및 복지대책" 한국여성개발원 2000

      5 정동하,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부모-조부모 친밀감 및 노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4 (14): 29-49, 2009

      6 문수경, "중풍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 사회참여와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 223-248, 2008

      7 부승희, "자본주의 발전과 가부장제적 가족의 해체 : 저출산 현상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5

      8 윤홍식,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 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한국사회복지학회 53 : 51-73, 2003

      9 신원식, "외국인 노동자의 한국생활 적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인식" 사회과학연구원 36 (36): 213-232, 2010

      10 노혜련,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 해체되지 않은 가족 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한 비교연구" 5 : 2000

      11 조성희, "실직자 가족의 해체가능성에 관한 연구 : 실직가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12 조성희, "실직자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방향" 5 : 1999

      13 김연옥, "실직가정의 가정해체에 관한 연구" 7 : 13-16, 2001

      14 조성희, "실직가장이 인식하는 가족해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3 : 1999

      15 박성원, "실업이 가족해체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16 조성희, "실업과 가족해체" 집문당 2000

      17 구인희, "빈곤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빈곤이행: 경제위기 이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48 : 82-112, 2002

      18 김희성, "빈곤의 대물림에 관한 빈곤가정 청소년의 인식연구 : Q방법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51-72, 2011

      19 김두연, "빈곤과 핵가족 해체 : 빈곤층 조손가족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20 황청일, "빈곤과 가족해체와의 관련성 모색" 청주대학교 26 (26): 2005

      21 최균, "복지국가, 고용안정 그리고 가족" 6 : 267-285, 1994

      22 서연희, "동거여부와 가족지지가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23 장희선, "도서지역 여성독거노인의 신체적 건강, 경제상태, 사회적 관계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233-259, 2010

      24 김수현,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51-71, 2008

      25 오선영,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련된 노인의 가족기능과 외로움" 한국노인복지학회 (42) : 267-290, 2008

      26 김미령, "노인의 부양의무기대, 부모역할만족 및 자녀결속력이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 161-188, 2008

      27 정순둘, "노인부양가족의 가족신념체계와 부양부담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5) : 67-88, 2009

      28 박영준, "노인 부양가족의 가족갈등, 부양부담 및 사회적 지지간의 인과관계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53-78, 2008

      29 안병철, "경제적 고통과 가족 갈등" 11 : 165-183, 2000

      30 양해경, "경제위기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한국여성민우회 가족과 성 상담소 1998

      31 도미향,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가족복지정책"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63-81, 2010

      32 윤홍식,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27, 2004

      33 김승권, "가족해체의 발생원인 및 규모추정과 정책방안" 68-, 2002

      34 박재규, "가족해체가 남녀의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142-169, 2010

      35 김명중, "가족해체 예방을 위한 가족상담 방안연구" 건양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36 장수미, "가족유형과 가족지지가 노인 당뇨병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2) : 35-66, 2008

      37 오제은, "가정해체의 원인 및 실태파악과 가족정책 개선방안" 13 : 2006

      38 Larso, Jeffrey H., "The effect of husband’s unemployment on marital and family relations in bule-collar families" 33 : 503-511, 1984

      39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7 (7): 5-25, 1999

      40 김흥규, "Q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41 김순은, "Q 방법론과 사회과학" 도서출판 금정 2007

      42 김헌수, "Q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43 McKeown, B., "Q methodology" Sage Pub 1988

      44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45 Kerlinger, F. N., "Foundation of behavioral research(3rd ed.)" CBS College Publishing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ocial Policy Review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al Policy Review ->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Polic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6 1.54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